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

『거리 민주주의: 시위와 조롱의 힘』서평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7. 31.

 

안녕하세요! 8월 한 달간 산지니출판사의 인턴으로 활동하게 된 우파jw입니다!

오늘은 저의 첫 출근 날 이었습니다. 첫 출근과 동시에 산지니출판사의 따끈따끈한 신간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 그림인지 사진인지 모를 강렬한 표지가 눈에 들어옵니다. 화려한 색감 때문에 자칫 그림으로 오해를 받을 수도 있는 이 표지는 20165월 마케도니아 스코페의 색깔혁명의 한 장면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라고 합니다. '혁명'이라는 단어에서 의아함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실제 혁명의 한 모습이라고 합니다.

혁명이라는 단어에서 감이 오셨겠지만 이 <거리의 민주주의: 시위와 조롱의 힘>은 우리가 흔히 아는 폭력적인 시위가 아닌 색다른, ‘이런 것도 시위라고?’ 할 만한, 전 세계에서 일어났던 시위들을 기록한 책입니다.

인권운동가로 오랜 기간 활동한 저자는 언론인으로 활동한 경력을 살려 시위 정황을 차분히 정리하면서도 이야기가 지나치게 경직되지 않도록 자신의 경험과 의견을 선명한 사진과 함께 책에 적절히 녹여내고 있습니다. 직접 그 시위 현장에 가있지 않았더라도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변화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변화를 촉구하는 세계 각국 사람들의 감정과 표현, 그 요구와 목소리까지 생생하게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시위가 아닌 거닐기

 

 

그저 한 곳만을 응시하며 가만히 서있거나, 샌드위치를 사먹는 행위 역시 시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하면 여러분은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물론 이 예시들은 실제로 각각 이스탄불과 태국에서 일어났던 시위’의 한 방법입니다. 그 나라의 국민들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 보이는, 지극히 평범해보이는 행동으로 정부를 위협하고, 정부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정부가 제 발을 저린 거겠지만요.

 

 

두 번째 이야기. 작은 행동으로 큰 주제 전하기

 

 

<전 세계의 많은 여성들은 문화적·종교적인 이유로 머리스카프를 쓴다. 그 외 다른 여성들은 머리스카프를 두르지 않는다. 두 집단 모두에게 그것은 그들의 권리이다. 많은 이란 여성들은 정부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머리카락을 보이는 '나쁜 히잡' 운동을 통해 꾸준히 저항해왔다.> p.52

 

 

만약 21세기 대한민국에서 '히잡'을 쓰도록 강요하는 지도자가 나타난다면 과연 사람들은

순순히 받아들일까요? 당연히 저항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히잡을 쓰고 안 쓰고는 강제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개개인이 선택해 결정을 내려야하는 사항입니다. 즉, 옳고 그름이 아닌 선택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강요해왔던 히잡을 '벗어버리는 것'은 어찌보면 별 것 아닌 행동으로 보이지만, 이는 그 이상의 의미를 담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세 번째 이야기. 폭력에 맞서기

 

 

(책 p.70)

 

 

<이 사진을 찍은 사진작가 마르크 리부는 "잔로즈 카스미르가 총검을 두려워한 것보다 군인들이 그녀를 더 두려워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수십 년이 지난 후, 카스미르 자신도 그와 유사한 생각을 했다고 회상했다.> p.71

 

 

꽃 한 송이가 총검을 이겼다. 이 사진과 함께 책의 설명을 들은 순간 든 생각이 이것이었습니다. 즉, 비폭력적이고 연약한 것이 폭력적이고 강인한 것을 꺾어버렸다는 것이지요. 이 부분을 다시 곱씹어보고 있으니 꼿꼿한 나무와 휘어진 나무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강한 바람에 꼿꼿하게 맞선 나무는 끝내 꺾여버렸지만, 바람에 적절히 대응한 나무는 꺾이지 않고 휘어서 꺾이지 않았다는 그 이야기 말입니다. 이는 국가적인 상황 뿐만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삶을 살아갈 때도 머릿속에 새기고, 늘 떠올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네 번째 이야기. 진실을 듣게 하기

 

 

<정부의 권위는, 비록 내가 기꺼이 순종하려는 정부의 권위일지라도 아직까지는 순수하지 못하다… 엄정하게 말하면, 정부는 피통치자의 허락과 동의를 받아야 한다. - 헨리 데이비드 소로> p.105

 

 

다섯 번째 이야기. 모든 악조건에 맞서기

 

 

악조건에 맞서기. 우리가 흔히 아는 '시위'에 가까운 형태가 아닐까 싶습니다. 마치 대한민국에서 2016년 10월 말부터 약 4개월간 서울 광화문에서 이루어진 촛불 시위처럼 말입니다. 꼭 촛불 시위가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모여 같은 목적을 위해 조용히 행동하거나 한 목소리로 소리치는 것. 아무리 정부에서 압력을 가해도 그들만의 방식으로 끝까지 맞서 싸우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의 저항이자, 시위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섯 번째 이야기. 예술과 저항

 

 

예술 중에서도 특히 음악은 저항 정신이나, 조롱을 우회적 또는,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가장 좋은 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한창 인기가 뜨거운 '힙합', '랩'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하고요. 사실 음악 뿐만이 아니라 정치적 상황을 풍자한 그림이나 문학작품 역시 조용히 일침을 가하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예술작품들은 과거부터 꾸준히 사용되어 온 민중들의 '합법적인'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한 압박이 그들의 숨통을 조여와도 그들은 직접적인 폭력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펜을 들고, 몸짓을 하며 그 압박에 저항해 나가는 것입니다.

 

 

<'책과 모든 형태의 글들은 진실을 탄압하려는 사람을 두려움에 떨게 만든다.' - 윌레 소잉카> p.147

 

 

일곱 번째 이야기. 변화를 위한 조롱

 

 

조롱 역시 악조건에 맞서기와 더불어 우리가 생각하는 가장 대표적인 시위 수단이 아닐까하고 생각합니다.  예술작품에서도 자주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1989년 천안문 광장 대학살 사건을 '플라스틱 오리'를 통해서 조롱했습니다. 탱크 대신에 커다란 노란색 플라스틱 오리를 합성한 사진이 유행하였다고 합니다. 이후 중국 정부는그 단어의 검색 결과를 보지 못하게 하였고, 웨이보에서 그 단어는 차단되었지만 이는 결국 작은 승리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도전은 우리 모두에게 달려있다. 그리고 개인들이 어떤 것도 바꿀 능력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단지 핑계거리를 찾는 일일 뿐이다. - 바츨라프 하벨>

 

 

부족한 솜씨지만 열심히 생애 첫 서평글을 써보았습니다! 책의 주제가 가볍지만은 않았기에 어떻게 서평을 제 나름대로 써 나갈지 여러모로 걱정도 하고 고민도 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차근차근 서평글을 써 나가며 앞으로도 더욱 발전하는 인턴 우파jw가 되겠습니다!ㅅ!

 

 

 

거리 민주주의 - 10점
스티브 크로셔 지음, 문혜림 옮김/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