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학살된 '비정상적 죽음'을 기억할 이유_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8. 24.

 

 

한겨레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빨갱이'가 된 인간의 뼈, 그리고 유해발굴

노용석 지음/산지니·2만5000원

 

전쟁의 가장 큰 희생자는 군인이 아니라 민간인이다. 종교나 이념 대립, 민족 갈등, 권력쟁탈전 등의 무력충돌에선 종종 ‘국가’의 이름으로 대규모 학살이 동반된다. 우리 현대사에서도 한국전쟁, 4·19혁명, 5·18광주항쟁 등 비극적 국가폭력의 피해자가 100만명이 넘는다. 그들의 죽음을 기억하고 진실을 드러내고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어두운 과거사 청산과 공동체 회복의 필수 조건이다.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는 국가폭력 연구자인 노용석 부경대 교수가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의 실태와 반세기 만에 이뤄진 유해발굴 사업의 과정과 결과를 되짚고 그 상징적 의미를 고찰한 책이다. 지은이는 2006년부터 진실화해위원회와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을 이끌었다.


 지은이는 먼저 “한국전쟁을 전후한 민간인 학살이 전쟁 와중에 우연히 발생한 게 아니라 조직적으로 계획되었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집단학살이 전쟁 발발 석 달 새 국민보도연맹을 중점 대상으로 신속하게 이뤄졌다는 점이 근거다. 진실화해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희생 중 진실규명이 된 것만도 8187건, 희생자 수는 1만2364명에 이르지만, 이조차도 전체 피해자 규모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 중 한국 군경과 예비검속 및 보도연맹, 미군 관련 사건이 78.4%, 적대세력 관련 사건이 21.6%다. 피학살자 5명 중 4명은 한국군과 미군의 손에 죽은 셈이다.

 

 

 2015년 2월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피해자의 유해를 피해자유족회 등 민간공동위원회가 발굴하는 모습. 대전/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지은이는 유해 발굴은 단순히 법의학 지식과 기술로 땅속에 묻힌 유해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내는 것 이상으로, 한 사회의 기억과 기념 정치의 상징적 표상이라고 말한다. 1990년대 후반까지도 한국사회의 학살 개념이 ‘양민’, 즉 좌익 혐의가 없는 깨끗하고 착한 백성에 한정됐던 것도 주목할 만하다. 2000년대 들어서야 학계와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피학살자의 범주를 ‘비무장 민간인’으로 재규정하고 나서야 ‘빨갱이 기피증’ 같은 이념적 이분법을 벗어났다.


 지은이는 죽음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필립 아리에스와 뒤르켐 등의 선행연구를 인용해, 피학살자의 죽음을 ‘비정상적 죽음’으로 분류한다. “생물학적으로는 사망과 같지만 사회적 규범을 어기거나 의례과정이 생략돼 죽은 자와 산 자 모두 새로운 지위를 부여받지 못한 죽음”이란 얘기다. 유해 발굴이 진실의 복원을 넘어 ‘기념’과 ‘위령’이라는 의례로서 의미를 갖는 이유다.


 이같은 ‘기억의 정치’는 주체와 방식이 중요하다. 지속적 발굴과 위령사업은 국가의 참여가 필수적이되, 형식적이고 획일화된 방식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 지은이는 “거대한 위령탑과 추모공원을 동반한 ‘양민성’의 부각이 아니라 국가주의를 넘어 ‘비공식적 역사’ 속에 잠재돼 있던 수많은 기억들을 자유롭게 추념하는 사회적 기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 조일준 기자

 

 

기사원문 보러가기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노용석 지음 | 320쪽 | 25,000원 | 2018년 7월 31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연구와 유해발굴 사업을 주도해온 노용석 교수가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를 출간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전쟁 전후기 국가폭력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의 전개과정을 밝히고, 더불어 피학살자들의 유해발굴 과정과 그 상징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책 주문하기 >> https://goo.gl/cUJW3o

*산지니 출판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