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6/05/252

전쟁 유령과 생존자, 그 생동하는 관계의 문화인류학::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전후 베트남, 떠도는 영혼에 대한 대중적 상상과 역사적 성찰『베트남 전쟁의 유령들』인류학계의 최고 상 중 하나인 ‘기어츠 상’의 수상자 권헌익 교수의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이 마침내 국내 출간되었다. 캠브리지대학교의 석좌교수인 권헌익은 냉전 시대 베트남에서 발생한 잔혹한 폭력과 대규모 죽음의 비극적인 역사를 인류학자의 치밀하면서도 따뜻한 인간적 시선으로 조명해왔다.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은 1980년대의 경제개혁 이후 베트남 사회에서 뚜렷한 문화현상으로 부각된 전쟁유령에 관한 의례에 초점을 맞추어 베트남 전쟁의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기념행위가 갖는 사회적, 정치경제적, 종교적 함의를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세계 석학들로부터 “놀라울 정도로 감동적”, “어떠한 학자도 시도하지 않은 방식”, “인류학적.. 2016. 5. 25.
고슴도치 시대에 여우를 상상하며-『고슴도치 시대의 여우』(책소개) 『고슴도치 시대의 여우』가 드디어 출간됐습니다.작고 가볍지만 내용은 묵직합니다. 우리 사회 견고한 구조주의를 타파하기 위한새로운 지침서. 저자분이 오랫동안 글과 생각을 다듬으며 준비한 책입니다.성실하게 집필하신 만큼 한 문장 한 문장 곱씹으며 읽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고슴도치 시대에 여우를 상상하며구조론에서 탈구조론을 논하다 포스터모더니즘이라고 일컫는 지금의 시대에 왜 다시 구조주의일까? 정치 사상가 이사야 벌린은 자신의 저서 『고슴도치와 여우』에서 톨스토이를 고슴도치가 되고자 한 여우로 설명했다. 이 말은 고대 그리스의 시인 아르킬로쿠스의 시라고 전해지는 구절, “여우는 작은 것을 많이 알고 있지만, 고슴도치는 큰 한 가지를 안다”에서 가져왔다. 벌린은 사상가들의 사유 방식을 하나의 체계적 사상을 지향.. 2016.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