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여성5

[2017 가을독서문화축제] 저자 강연에 대한 간단한 안내사항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부산 2017 가을독서문화축제가 오는 9월 2일 토요일부터 9월 3일 일요일까지 진행됩니다. 일요일에는 강연 소식이 있죠! 『쓰엉』의 서성란 작가님과 『감천문화마을 산책』의 임회숙 작가님 강연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시간과 장소 잘 기억하시고 자리에 함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강연명 : 부산을 읽다, 감천을 느끼다 강연자 : 임회숙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2008년 부산일보 신춘문예 소설 당선. 현 부산소설가협회 사무국장. 저서로는 『길 위에서 부산을 보다』(2012) 『감천문화마을 산책』(2016)이 있다. 일 시 : 9월 3일(일) 오전 11시~12시 30분 장 소 : 놀이마루 1층 인문학콘서트실 강연명 : 세상의 모든 쓰엉과 함께 강연자 : 서성란.. 2017. 8. 24.
아시아필름마켓 'E-IP 마켓' 참가작 18편 발표 2017 북투필름에 선정된 서성란 작가님의 『쓰엉』이 언급된 따끈따끈한 기사입니다~^^ *** 2017 아시아필름마켓이 E-IP(Entertainment Intellectual Property, 엔터테인먼트 지적재산권) 마켓의 주요 행사인 '북투필름'에 참가할 도서원작 9편과 'E-IP 피칭'에 참가할 웹콘텐츠 9편을 각각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18편의 도서, 웹툰 등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는 오는 10월 14일 열리는 피칭 행사와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영상·엔터테인먼트 관계자를 만나 작품의 영화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중략) 그 외 노동과 성의 이중 희생양인 결혼 이주여성의 이야기를 심리적 공간에 압축한 '쓰엉'(산지니), 미라 특별전을 계기로 변화하는 두 남녀를 그린 '위안의 서'(은행나무 출판.. 2017. 8. 23.
지금, 소설을 읽는다는 것의 의미 《장미화분》 지금, 소설을 읽는다는 것의 의미 《장미화분》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소설을 읽는다는 것에 무슨 함의가 담겨 있을까. 과연 소설이 킬링타임용이 아닌, 한 독자에게 있어 어떤 가치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책 본연의 기능을 충실하고는 있는 걸까. 편집자로 일하면서 소설 원고를 받을 때마다 늘 드는 생각이었다. 소설의 주요한 가치는 ‘재미’에 있음을 부정하지 않지만 재밌는 원고를 나름 출판하였음에도 사실 독자들은 소설보다는 에세이나 다른 교양도서에 관심 있는 게 통계에서도 드러난 사실이니까. 그렇게 문학작품에 과연 어떤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 회의가 들 무렵, 『장미화분』 원고를 접하고 천천히 읽어 내려갔다. 캄보디아에서 맨몸으로 시집와 고난의 한국생활을 겪는 이주여성의 삶이 담긴 표제작 「장미화분」은 그 무렵.. 2013. 2. 14.
세상을 향해 비추는 밝음과 어둠의 서사들 『장미화분』 가장 추운 새벽에 피어나는 크로아티아 장미처럼, 김현 소설집 『장미화분』 출간 2010년, 『봄날의 화원』을 출간하였던 소설가 김현이 2년 만에 총 일곱 가지의 각기 다른 이야기를 모아 소설집을 출간하였다. 김현의 이번 단편집의 이름은 『장미화분』이다. 강력하게 뿌리를 내리고 어둠 속에서 천천히 피어오르는 크로아티아 장미처럼, 『장미화분』에 실린 작품 속 주인공들은 한결같이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그들만의 ‘장미’를 피우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젊음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잉여인간으로 치부되는 노인의 삶이 담긴 「소등」이나 「7번 출구」가 그러하며, 열한 살 이후로 주어진 일생의 절반을 바다에 담그며 남편의 외도와 폭력을 겪어왔던 기구한 제주 해녀의 일생을 담은 「숨비소리」, 희생된 이들 못지않게 .. 2013. 1. 8.
이주민과 함께 살아가기 『이주민과 함께 살아가기』 | 학술 | 정치 사회 이주노동자와 연대하는 전일본 네트워크 지음 | 이혜진,이한숙 옮김 출간일 : 2007년 5월 25일 ISBN : 9788992235174 신국판 | 256쪽 한국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를 맞은 일본 NGO의 다민족 공생사회를 향한 정책 제언. 이주자를 단지 불쌍하고 동정적인 시선으로만 바라보는 한국사회로서는 공생사회를 위한 이들의 조언이 의미심장하다. 지금은 다문화를 이해하려는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가 늘어나면서 다문화 가정은 새로운 가족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2006년 말 기준으로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숫자는 91만 명으로 이 중에는 이주노동자도 40만 명에 달한다. 또 2006년 결혼한 부부 8쌍 가운데 1쌍 꼴로 국제.. 2010.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