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구5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유구 한문학>이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선정한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이 선정되었습니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은 어떤 책일지 함께 알아볼까요?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오키나와, 유구를 바라보다' 책의 이름이 ‘오키나와 한문학’이 아닌 ‘유구 한문학’인 이유는 1879년 일본에 의해 합병되기 전 독립 왕국이었던 유구를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책은 현재의 오키나와, 예전 류큐왕국으로 불린 독립국 유구의 한문학 생성과 발전과정, 특히 조선과 조선 문인과의 교류를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한문학의 연구 영역은 조선과 중국, 일본 본토로 한정적이었다. 오키나와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과 역사학에만 치중되어 있었다. 저자는 동아시아 한문학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해 유구 한문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이.. 2022. 10. 6.
국제신문에 <유구 한문학>이 소개되었습니다. [박현주의 신간돋보기] 한문학 시선으로 본 오키나와 外 # 한문학 시선으로 본 오키나와 유구 한문학- 이성혜 지음 /산지니 /3만2000원 한자문화권에서 생성된 한문학의 연구 영역은 조선과 중국, 일본 본토로 한정적이다. 그동안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유구 한문학의 생성과 발전 과정, 조선과 조선 문인과의 교류를 밝히는 책이다. ‘유구’는 현재의 일본 오키나와현이다. 류큐왕국으로 불렸던 독립국으로 1879년 일본에 의해 합병됐다. 유구는 동아시아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퍼즐 조각이다. 조선과 유구, 혹은 한국과 오키나와는 일제 식민지와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복잡하게 얽힌 가슴 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저자는 유구의 문학, 예술, 조선과의 외교를 한문학의 시선에서 바라본다. ▶.. 2022. 7. 15.
부산일보와 교수신문에 <유구 한문학>이 소개되었습니다. “오키나와 근대 서예 1인자 운세키, 해강 김규진 제자였다” “2015년이었어요. 수십 년치 〈매일신보〉를 몇 년간 읽고 〈한국 근대 서화의 생산과 유통〉을 출간한 뒤 일본 후쿠오카 현립도서관에서 유구 한문학 관련 책을 접했을 때 머릿속에 번쩍하고 불이 켜졌어요. 한 달간 매일 가서 그 책을 읽었고, 이후 방학 때마다 오키나와에 가서 자료를 찾았지요.” 7년 공력이 들어갔다. 이성혜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이 최근 출간한 〈유구 한문학〉(산지니)이 그것이다. ‘유구 한문학의 배경’ ‘유구 한문학의 인물과 사상’ ‘조선 문인과 유구 문인의 만남’, 3부 구성으로 13편 글이 실렸다. 유구(琉球)는 1429년 개국해 1879년 ‘유구처분’에 의해 일본에 합병되기 전까지 무려 450년간 지속한 ‘류큐왕국.. 2022. 6. 10.
연합뉴스에 <유구 한문학>이 소개되었습니다. [신간]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 ▲ 유구 한문학 = 이성혜 지음. 과거에 '유구'(琉球·류큐)로 불린 오키나와의 한문학 발전 과정을 한문학 박사이자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이 분석했다. 저자는 역사학이나 민속학 관점에서 주로 조명됐던 오키나와를 한문학 관점으로 바라보고, 일본에 편입되기 전 '유구'와 조선 문인이 교류한 양상을 고찰했다. 그는 오키나와에서 14세기부터 1469년까지를 한문학 도래기로 규정한다. 이어 1470년부터 1608년까지는 승려 문사 활약기, 1609년부터 1879년까지는 관인 문학 전성기로 구분한다. 시기가 변하는 시점에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 조선 초기 망명해 온 인물인 승찰도(承察度)에 대해서는 고려시대 삼별초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또 오키나와에서.. 2022. 5. 27.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오키나와, 유구를 바라보다 -『유구 한문학』 책소개 ▶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오키나와, 유구를 바라보다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 한문학의 지평을 넓힐 『유구 한문학』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현재의 오키나와, 예전 류큐왕국으로 불린 독립국 유구의 한문학 생성과 발전과정, 특히 조선과 조선 문인과의 교류를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한문학의 연구 영역은 조선과 중국, 일본 본토로 한정적이었다. 오키나와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과 역사학에만 치중되어 있었다. 저자는 동아시아 한문학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해 유구 한문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이러한 노력은 감춰진 중국 한문학 수용 국가를 드러내는 동시에 한반도의 새로운 상호교류사를 만들었다. 유구 한문학에 대한 연구는 ‘동아시아 한문학’이란 시각에서 필요하다. 우리 한문학계는 중국 한문학에 지나치게 경.. 2022.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