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폐교 문화로 열리다6

사라져버린 학교에 문화를 그려내는 이들의 이야기:: 『폐교, 문화로 열리다』 사라져버린 학교에문화를 그려내는 이들의 이야기 양아름 | 산지니 편집자 내게 있어 ‘학교’는 집 근처의 가까운 동년배의 아이들과 함께 추억을 쌓던 곳으로 여전히 기억되는 곳이다. 예전 살았던 동네를 방문하면 그곳에서 교복을 입고 언덕에 있던 학교를 오르내리던 기억이 절로 떠오르는 까닭도 그런 연유에서이다. 그렇게 고향과 동의어로 추억되는 학교를 몇 년 전 다시 찾은 적이 있었다. 주말에 찾은 학교의 풍경은 학생들이 없어 쓸쓸한 느낌이 있었지만 아직도 변함없는 학교 앞 서점과 문구점, 학교 안의 조경들을 통해 십 대의 내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충분한 다리가 되어주었다. 그런데 이런 공간이 사라져버린다는 건, 과연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게 되는 것일까? 얼마 전 출간되었던 『폐교, 문화로 열리다』는 제목.. 2015. 7. 3.
“폐교는 복합멀티 문화공간입니다” (한국기자협회) 학생 수의 급격한 저하로 사라지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다. 문을 닫는 학교, 휑뎅그렁하게 텅 빈 폐교는 어딘가 쓸쓸한 느낌을 자아낸다. 백현충 기자도 1978년 문을 닫은 부산 초장국민학교의 마지막 졸업생이다. 마지막 졸업식 때 펑펑 울었던 그는 사라진다는 것의 두려움과 서글픔을 그 때 이미 알아버렸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폐교 문화공간에 관한 책을 쓰기 위해 지난해 여름부터 주말마다 전남 해남에서 강원도 화천까지 전국을 떠돌았다. 그 여정에서 그는 깨달았다. 사라진 것에 대한 추억은 비단 자기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를 제공했던 폐교사랑모임의 결성도 그런 생각에서 이루어졌다. 2011년 3월 예술인과 언론인, 행정가 등이 폐교 활용의 좋은 사례를 연구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하자는.. 2015. 6. 16.
'폐교'에 문화를 덧씌우니 '쓸모'가 보였다 (울산CBS) -폐교에 ‘쓸모’ 부여한 사람들과 그 공간에 대한 에피소드 담아 -폐교 활용한 경북 영천 ‘별별미술마을’·‘밀양연극촌’ 인상적 -복합문화공간으로 인기…산골 오지의 폐교가 사람 모아 -성공보다 실패 많아…콘텐츠 선정·운영에 신중 기해야 -해당 지역 주민과의 유대감 형성이 성패 좌우 -교육부·교육청 폐쇄적 정책이 폐교 운영 걸림돌 ■ 방 송 : 울산CBS FM 100.3 (오후 5시 5분~5시 55분) ■ 방송일 : 2015년 6월 9일(화) 오후 5시 5분~5시 25분 ■ 진 행 : 이은정 PD ■ 출 연 : 백현충 (부산일보 기자) - 울산CBS 홈페이지 '이은정의 보이는 라디오'에서 방송 다시 듣기가 가능합니다. '폐교, 문화로 열리다'의 저자 백현충 부산일보 기자.◇ 이은정> 학생 수가 줄어 학교 통.. 2015. 6. 16.
문화 공간으로 살아난 전국 폐교 답사기-『폐교, 문화로 열리다』(백현충) 폐교, 문화로 열리다 문화 공간으로 살아난 전국 폐교 답사기 상상력과 소통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한 폐교 활용 사례를 담다 어린 시절, 누구에게나 친구들과 함께 뛰놀던 ‘학교’에서의 추억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간 학생 수의 급격한 저하로 사람들에게 외면당하며 사라지는 학교가 많았다. 이러한 폐교를 재활용하여 다른 공간으로 전환한다면 어떨까? 이 같은 발상을 통해 폐교를 재활용한 문화공간이 전국에 상당하다. 현재 폐교된 부산 초장국민학교를 졸업한 저자는 ‘폐교사랑모임’을 결성하며 발품을 팔아 전국 곳곳에 숨겨진 폐교의 현황을 조사해왔고, 관계자를 인터뷰하며 폐교 운영의 사례와 어려움, 주민과 소통하는 공간으로서의 폐교의 모습을 포착했다. 그 결과물을 이 책 『폐교, 문화로 열리다』로 엮어 출간하였.. 2015. 6. 12.
폐교, 주민과 소통하는 문화공간으로 되살아나다 (경기신문) 학생들이 떠난 곳에 숨을 불어 넣어 상상력 공간으로 탈바꿈 화산초 개조 시안미술관 운영…월산초→밀양연극촌 거듭나 마을사람과 함께 창작·전시·공연·체험·휴식공간으로 활용 교육부에 따르면 2014년 6월 30일 기준으로 폐교는 전국 3천595곳에 달했고 그 중 어떤 용도로든 활용되고 있는 폐교가 999곳에 이른다. 현재 폐교된 부산 초장국민학교를 졸업한 저자는 ‘폐교사랑모임’을 결성하며 발품을 팔아 전국에 숨겨진 폐교의 현황을 조사하고 관계자와 인터뷰하며 폐교 운영의 사례와 어려움, 주민과 소통하는 공간으로서의 폐교의 모습을 포착해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 폐교는 문을 닫은 학교지만 학생들이 떠난 곳에 숨을 불어 넣어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책에서는 이처럼 닫힌 공간에서 상.. 2015. 6. 9.
『폐교, 문화로 열리다』의 저자 백현충 기자님과의 만남에 초대합니다. 문화 공간으로 살아난전국 폐교 답사기 폐교, 문화로 열리다 안녕하세요. 산지니 출판사입니다.혹시 TV 예능 프로그램 ‘아빠! 어디가?’의 배경으로 등장했던 충주 맥타가트도서관을 기억하시나요?이곳은 이곳은 지금은 문을 닫아 폐교가 된, 동량초등학교가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데요.폐교가 도서관으로 탈바꿈해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캠핑을 오면서 수많은 캠핑족들의 인기 장소로 거듭난 공간이기도 합니다.소, 염소, 토끼, 닭 등의 가축을 도서관에서 자유롭게 키워 캠핑족들과 함께 지낼 수 있도록 한 점이 이채로운데, 가족행사가 많은 5월이나 방학에는 20개 가까이 되는 텐트가 운동장에 진을 친다고 하지요.^^실제로 『폐교, 문화로 열리다』를 집필하신 백현충 기자님도 폐교가 된 부산 초장국민학.. 2015.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