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 부도 사태 이후’ 출판·서점계 목소리
중소규모 출판사들 ‘재앙’…지역 고통 배가
POS시스템, 표준공급률 등 근본대책 필요
책을 공공재가 아닌 상품으로만 보는 정부
“형편 나은 대형 출판사와 달라” 문제제기도
송인 서적 부도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사진은 경기 파주시 송인 서적 창고 앞에 쌓인 책 무더기. 파주/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대응방법? 없다.”
(중략)
2005년 창사 이래 <부산을 맛보다> <지역에서 행복하게 출판하기>처럼 지역성을 살린 도서 등 400여 종의 책을 내온 부산의 산지니. ‘지방출판사’의 가능성을 실증해 온 이 출판사가 송인 부도에 걸린 돈은 부도어음 4천만원에 책 잔고 8500만원. 연간매출 5억원의 지역출판사로서는 감당하기 버겁다. 다급해진 강수걸(50) 대표와 직원들은 지금 동분서주 중이다. 1월 초 채권단 실사 때 확인된 산지니 책 실제 잔고는 501권, 500만원 남짓. “1억2500만원 모두를 손실로 잡을 수밖에 없다”는 강 대표 역시 “대응방법이 없다”고 했다. 1.25% 저리에 1년 거치 2~3년 상환의 출판진흥재단 기금 2천만원 대출 신청이 지금으로선 거의 유일한 실질적 대책.
“출판사 시작 초기 다른 도매상들은 3~5종 이상의 책을 납본 조건처럼 달았으나 송인은 2권만 내도 받아주었다. 송인의 120일(4개월) 어음은 다른 도매상들보다 불리했으나 군소 출판사들에 비교적 후한 송인의 그런 조건 때문에 송인과의 거래비중이 커졌다.” 25개 정도 되는 부산지역 군소출판사들 다수가 송인 부도로 1천만~3천만원씩 날리게 생겼다. “송인 부도는 중소규모 출판사에는 재앙과도 같다. 특히 지역출판사들 고통은 배가된다.”(중략)
작년 8월 주디스 버틀러의 <혐오 발언> 등 철학서를 포함한 인문·사회과학 도서를 고집스레 내온 6년차 1인출판사 알렙도 잔고 2천만원을 포함해 4천만원 정도의 피해를 봤다. 조영남 대표는 “결국 빚이라 언 발에 오줌 누기지만, 그래도 출판진흥재단 기금 대출을 받으면 어음부도 손실분은 처리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송인 사태 이후 일원화가 풀리니 여기저기서 책을 달라는데 모두 공급가를 깎으려고만 한다”며 “공정한 공급률(정가 대비 도서매입가격 비율) 룰을 다소 강제로라도 확립해야 하며 거기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업관계’인 이재민(52) 대표의 너머북스와 김상미(48) 대표의 너머학교가 입은 피해액도 어음부도액 4200만원, 책 잔고 3800만원 등 총 8천만원. 7억이 채 안 되는 ‘너머’의 연간매출에 견줘 역시 큰돈. 김기협의 <해방일기>, 이정철의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 미야지마 히로시의 <나의 한국사 공부> 등을 낸 ‘너머’의 장부상 잔고액은 3800만원이지만 실제로 창고에 남아 있는 책은 300권도 채 안 됐다. 김 대표는 “서점에 나간 우리 책이 얼마나 팔렸는지 그걸 우리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이 대표는 “어음 부도 내역과 출판사별 책 잔고를 먼저 공개해야 한다”고 했다. 그래야 공급률·유통현대화 등을 위한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대형 출판사들이 입을 닫고 있다”며 “이번 사태의 핵심교훈은 공정성”이라고 했다.
(중략)
1억원이 걸린 서해문집 김흥식 대표도 공급률과 유통시스템 개선, 이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공적자금 100억원만 투입돼도 출판계 고질적인 문제들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며 “그게 안 되는 건 정부가 출판물을 문화공공재가 아니라 그냥 장사꾼들 상품으로 보기 때문”이라며 그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고 했다. 조선업 구조조정 등에는 조 단위의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출판엔 한 푼도 정부 돈을 투입할 수 없다는 논리에 대한 반박이다. 지역 동네서점들은 송인 부도로 책 공급자와 반품할 곳이 없어졌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충주에서 1992년부터 ‘책이있는글터’를 운영해온 이연호 대표는 송인 부도로 지역중소서점들 거래조건이 더 나빠져 다른 도매상으로 거래선을 돌리려 해도 더 불리한 계약조건을 감수해야 할 공산이 커졌다고 했다. 예전에 30여개를 헤아리던 충주지역 서점들은 2014년 도서정가제 시행 전에 이미 10여 곳으로 줄었고 학습참고서가 아닌 일반 단행본 서점은 서너곳에 지나지 않는다며, 송인 부도 이후 책 공급선이 끊어진 충주 동네서점들이 중형서점인 책이있는글터에서 책을 받아간단다. 서점연합회 유통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종복 한길서적(서울 방배동) 대표도 “강자에게 유리한 출판계 내 거래의 공정성·도덕성 문제를 짚어봐야 한다”며 “표준 공급률, POS, 거점물류체제 도입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2017-01-31 | 한겨레 | 한승동 선임기자
원문보기
'기타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인서적 부도 한 달…도서 유통구조 다듬을 계기로 (0) | 2017.02.06 |
---|---|
위기의 지역출판사들 (1) | 2017.02.02 |
아이히만의 신문조서 보고 웃었다고? 『탈학습, 한나 아렌트의 사유방식』 (0) | 2017.01.31 |
계급의 죽음까지 선언하는 시대, 다시금 제안된 계급에 대한 진지한 토론 『계급 이해하기』 (0) | 2017.01.26 |
이규정 소설가 불운의 걸작 '먼 땅 가까운 하늘' 재출간된다. (0) | 2017.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