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itamus 우리는 생각한다
웃음 1―어이없음: 요즈음 웃는 횟수가 많아졌다. 뉴스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길을 걷다가도 문득문득 웃는다. 문제는 기분 좋은 일이 있어서 웃는 게 아니라는 데 있다. 너무나 비상식적이고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태연하게 일어나고, 그걸 또 밑밥 삼아 별의별 ‘썰’들을 만들어 내어 보도하고 소비하는 걸 보고 있자니 ‘失笑’를 금할 길이 없다. 특히 악의적으로 생산되는 가짜 뉴스들과 그것을 철썩 같이 믿는 주변의 어르신들을 보면서, 미디어 과잉시대의 ‘여론’이라는 것의 허망성을 목도하면서는 더욱 그렇다.
(중략)
이때 아렌트는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끌어냈다. 악이란 뿔 달린 악마처럼 별스럽고 괴이한 존재가 아니며, 사랑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우리 가운데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다 이러는데” “나 하나만 반대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 “나는 명령받은 대로 하기만 하면 돼”라고 자기합리화를 하면서 스스로 사유하기를 그만둔다면, 파시즘의 광기로든 뭐든 우리에게 악을 행하도록 계기가 주어졌을 때, 평범하고 선량한 우리는 언제든 악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
마리 루이제 크노트는 『탈학습, 한나 아렌트의 사유방식』(배기정·김송인 옮김, 산지니, 2016)이라는 책에서 웃음, 번역, 용서, 표현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범주화해 한나 아렌트만의 독특한 사유방식을 파헤치고 있다. 크노트는 ‘악의 평범성’을 설명하면서 아렌트가 이 유례가 없는 통찰에 다다른 건 ‘웃음’의 힘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아렌트가 예루살렘에서 아이히만의 재판이 시작되기 전 그에 대한 자료를 읽으면서 보인 가장 첫 반응은 ‘웃음’이었다고 한다. 아렌트에게 웃음은 ‘암울한 시대의 경직된 사고에 새로운 전환을 가져오게 하고, 이것은 곧 해방과 자유의 영토에’ 이르게 하는 것이었다. 아렌트에게 아이러니가 섞인 유머란 실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바라보는 데 방해가 되는 자신의 습관이나 편견과 거리를 두기 위해 선택한 하나의 방법이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독일어와 영어, 두 언어로 집필했던 아렌트에게 ‘번역’이란 무엇이었을지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세 번째 장에서는 아렌트가 정치이론에서 시도한 탈학습의 중심 개념 중 하나인 ‘용서’에 대해 논의하며, ‘용서는 죄악을 잊지 않되 저지른 죄악으로부터 미래에 끼치는 영향력을 없애기 위한 것’이라는 개념까지 확장해 나가는 사유의 과정을 보여 준다.
마지막 장은 ‘표현’에 대해 다룬다. 아렌트는 과장을 좋아했다. 이미 알려진 것을 뛰어넘는 언어의 과도함은 극적인 표현을 통해 익숙한 궤도를 따르는 사유방식을 새로운 모험 속에 빠뜨리도록 한다. 아렌트에게 생각하고 쓰는 일은 낯선 세계를 만나고 완전히 새로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웃음 4―다시 봄이다: 아무 생각 없이, 스스로 사유해 보겠다는 의지조차 없이 상사의 지시사항만을 수첩에 빼곡하게 받아 적는 아이히만 같은 사람들은 떨쳐 버리자. 그 대신 자기의 역할을 기꺼이 감당하고 있는, 풀숲에서 환한 웃음으로 봄을 열고 있는 조그마한 ‘노루귀꽃’을 만나러 가보자. 광기와 폭력의 시대였음에도 ‘공공성’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핍박받고 추방되고 오해받는 삶을 살면서도 사람과 공동체에 대한 사랑을 놓지 않았던 그 한나 아렌트를 생각하면서.
2017-03-24 | 교수신문 | 김정규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문화원·시인
원문읽기
탈학습, 한나 아렌트의 사유방식 -
마리 루이제 크노트 지음, 배기정.김송인 옮김/산지니
'기타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방네 책도 많네요” 한국지역출판문화잡지연대, 국내 최초 전국 규모 ‘2017제주한국지역도서전’ (0) | 2017.04.05 |
---|---|
"자유로운 춤놀이는 치유이자 예술의 본령이죠" (1) | 2017.03.27 |
"선함과 진실함"…'생을 버티게 하는 문장들' (0) | 2017.03.17 |
해양 남방문화권으로 살핀 제주도 건축 (0) | 2017.03.10 |
"대한민국 헌법 근간인 바이마르 통해 민주 가치 찾길" (1) | 2017.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