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 그 이후에도 이어지는 삶의 조각들'
이번 대담자로 나서 주신 정미숙 문학평론가는 이 카피가 조명숙 작가님의 작품을 잘 나타낸다고 말했습니다. 소담스럽게 차려진 작품들 안으로 비치는 삶의 민낯들은 아프고 치열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조명숙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계속해서 삶을 이어갈 희망과 이상을 만나게 해줍니다. 66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은 아프지만 따뜻했던 소설집『조금씩 도둑』의 조명숙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저자: 조명숙
1958년 김해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국어국문과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1996년 『진주가을문예』와 2001년 『문학사상』을 통해 문단에 나왔다. 창작집 『헬로우 할로윈』, 『나의 얄미운 발렌타인』, 『댄싱 맘』(2012 향파문학상 수상)과 장편소설 『바보 이랑』, 『농담이 사는 집』 등을 썼다. 2006년 장편동화 「누가 그랬지?」로 14회 MBC창작동화대상을 받았으며, 그림동화책 『샘바리 악바리』, 『아기뱀 꼬물이』를 냈다. 그 외에 산문집 『우리 동네 좀머씨』가 있고, 아내들을 위한 연시집 『하늘 연인』을 엮었다.
이번 저자와의 만남에서는 대담자로 정미숙(문학평론가) 선생님께서 참석해 주셔서 보다 유쾌하고 재밌는 시간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정미숙(이하 정)
오늘 부부의 날인데 공교롭게도 조명숙 선생님과 최영철 선생님을(조명숙 선생님과 최영철 선생님의 소설가 시인 부부이십니다.) 함께 만나게 되어 영광입니다. 더불어 모범적인 문인 부부를 보며 본받아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웃음)
조명숙 선생님의 작품들은 문체가 친밀하고, 탄탄한 구성을 통해 집요하게 타자들의 삶과 상처를 바라보고 있습니다.『조금씩 도둑』도 예상을 벗어나지 않고, 참으로 치열하고 따뜻한, 그리고 아픈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제작인 <조금씩 도둑>은 제목의 참신함에 반했고, 동성애적인 코드와 여성연대, 견딤을 만나며 참으로 아름답게 읽었습니다. 이외에도 조명숙 선생님의 『조금씩 도둑』에는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치로와 한나절>의 주인공은 '고아'로 설정되어 있고, <점심의 종류>는 시대적 상처인 '세월호 사건', <러닝 맨>은 '자식을 잃을 위기의 아버지', <가가의 토요일>은 '사랑이 모두 과거에 끝난 쓸쓸한 여성', <사월>은 '실질적으로 결혼 생활이 끝난 여성' 등 행복하지 않은 인물들의 집요하고 다양한 이야기들에 놀랐습니다. 그리고 문맥을 쉽게 건너뛰지거나 과장하지도 않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습니다. 몸도 마음도 피폐해진 사람들이 현실을 직시하는 모습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절망-희망, 현실-이상의 변주를 읽을 수 있었습니다.
먼저, 표제작 <조금씩 도둑>에서 띠띠와 피융의 동성애 코드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동성애, 결혼, 여성주의는 어떤 것입니까?
조명숙(이하 조)
페미니스트냐, 동성애자냐를 떠나서 기본적으로 여자인 내가 어떻게 여성을 보는가? 그 관점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여자로 살아가면서 제 존재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 봤던 것 같고요.
정
선생님의 소설들에서는 (남성적인) 남성이 드러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혹시 '남성은 믿을만한 존재가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시는 것인가요? (웃음)
조
(웃음) 남자에 대한 신뢰도가 굉장히 낮습니다. (웃음) 개인적으로는 집의 중심은 여자라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제가 배우기로는 여자는 남자보다 약하다고 배웠는데 살아가면서 느끼는 바로는 그 반대인 것 같습니다. 어떤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것도, 가정을 지켜 나가는 것도 여자의 영향이 더 크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남자들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물질적인 것보다 여자, 아이들이 가지는 문제에 대한 깊은 공감이 우선돼야 하지 않나 싶어요. 그것이 삶 전체를 포용하는 여성성이라 생각하기도 하고요.
정
개인적으로는 오랜 신뢰에 기반한 동성애적 코드가 인상적이었는데요. 저 역시도 동성애를 관계에서의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조금씩 도둑>에서 조금씩 진행되는 동성애(사랑)가 굉장히 현실적으로 받아지면서, 한편으로는 여성주의와 맞물려 있다고 보는 것에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선생님 소설에는 '헤나 냄새', '시큼한 시장 골목 냄새'와 같이 후각이 많이 드러나는데 이는 굉장히 감각적이란 느낌을 줍니다. 작중 인물들이 대부분 몸이 아픈 상태로 등장하는데, 이는 오히려 세상과 더 밀착되어 있고 정신과 감각이 더 열려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감각적 표현들이 인물들의 아픔을 더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는 '몸', '아픈 몸'은 어떤 의미인가요?
조
정신이나 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 몸이 잖아요. 제가 나이가 드니까 그런게 보이더라고요. 어느날 한의원에 갔는데 어르신들이 누워 있는 모습을 보면서 몸이 아니라 마음이 아픈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이 아픈 것은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잖아요. 그래서 이 사람의 아픈 부분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아픈 몸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렇게 함으로서 그 사람의 내면적인 고통을 조금 더 또렷하게 나타낼 수 있었고요.
정
선생님의 소설이 잔잔하게 와닿는 것은, 초심을 잃지 않는다고 할까요? 고통의 감각을 잃지 않는 느낌을 받아요. 조명숙 선생님도 이제 '나 조명숙이야'라고 할 수 있는 위치에 오르셨는데, 이전 작품들에서도 느꼈던 아픈 여성들을 바라보는 그 감각이 여전하단 생각이 듭니다. 반면 몸의 문제를 여성과 인간의 경계로 바라보는 것은 굉장히 성숙되었단 느낌을 받았고요.
조
일상 속에서는 어느 평범한 아줌마로 살면서도, 작가로서 놓치면 안되겠다고 생각한 것은 사건이나 사람에 대해 공감하는 태도였습니다. 작년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 뒤, 서울에 몇 번 간 적이 있는데 그때마다 광화문에 안 갔어요. 안 갔다고 해야 하나, 못 갔다고 해야 하나 헷갈리지만... 제가 좀 그런 것 같습니다. 깊이 공감하고 혼자 막 눈물도 흘리는데 실제로 행동은 안되더라고요. 지난 4월에 일어난 세월호 사건 때문에 굉장히 혼란스럽고 힘들어 하고 있을 무렵에 저 역시도 어린 생명을 보내야 하는 일이 생기더군요. 그때 제가 그랬어요. "그래도 우리는 편안하게 보냈잖아. 그 바다를 보면서 보낸 사람들... 그 사람들은 마음이... 어떨까" 이후에 사건이 수습되는 과정과 몇몇 사람들의 몰지각한 행동들을 보며서 인간으로서 느끼게 되는 모독감 같은 것을 느꼈던 것 같아요. 지금도 생각하면 눈물이 납니다.
정
제가 <점심의 종류>에서 세월호에 대한 이야기를 부탁 드릴려고 했는데, 이렇게 눈물을 흘리며 이야기해 주시니 바로 이야기 해야 겠네요. 선생님의 소설 대부분들이 과거에 이뤄졌고 현재에 반추하는 형식인데 <점심의 종류>는 10년 후의 미래에 와 있더라고요. 미래에 존재하는 여자가 밥을 잘 못 먹는 상황을 보면서 박완서 선생님의 나목이 떠올랐습니다.
조
제 스스로는 <점심의 종류>가 작위적인 부분이 많아서 (세월호) 유족 분들한테 죄송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으로는 인간으로 느꼈던 분노, 모멸감을 느끼면서 '아직도 나는 이것밖에 안되는가?'라는 생각도 했고요.
정
다른 소설들에서 결혼 생활이 피폐적으로 끝나지만 대안적인 가족이 생기지 않습니까? 그런데 <점심의 종류>를 읽으면서 선생님께서 얼마나 충격을 받으셨는지 느껴졌던 것 같아요. 동생의 위로도 10년이란 시간이 흘러도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보면서 어떤 대안이나 여지가 없는 것이구나... 싶기도 했고요. 또 한편으론 문제는 가족 안으로, 쓸쓸함의 패턴으로 가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선생님의 소설에서의 보잘 것 없는 남성들을 작파하고 남성과의 연대를 통해서 한 번 휘젓고 싶은 바람도 있습니다.(웃음)
조
(웃음) 선생님은 참 용감하신 것 같습니다. (웃음)
정
제가 좀 용감하지요? (웃음) 선생님의 소설이 좋은 말로 하면 성숙하지만 나쁜 말로 하면 여성주의에 상처 받아서 기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
제가 많이 늙어서 그런 것은 아닐까요?
정
성숙이죠! (웃음)
조
제가 작중 인물들을 힘없이 설정한 것은 어찌보면 불가항력적인, 우리가 정말 많이 싸우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쳐지지 않은 결과들이 모여서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정
이상하게 요즘은 자갈을 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문학으로서나마 꿈틀거림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
얼마 전, 양아름 편집자의 남자친구가 제게 정면으로 물어보더라고요. 문학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한다고 생각하냐고. 저는 그냥 솔직하게 말했습니다. 문학의 힘이 크다고 생각하며 시작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요. 지금은 기대가 많이 없어진 것 같아요.
정
얼마 전, 늦둥이 아들이 박종철 관련 책을 읽고는 열사라면서 열변을 토하더라고요. 그것을 보면서 책(혹은 문학)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것인지 새삼 느꼈습니다. 아들과 세대차이가 제법 나는데 그것도 극복하고 말이죠. (웃음)
조
(문학에 대한 기대가 없다)이렇게 말하면 안되는데, (웃음) 소설 쓸 때는 저의 마음이 솔직하게 드러나는 것 같아요. 후배 작가들은 문학의 힘을 믿고 발휘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정
<나비의 저녁>에서 결국 남편이 죽고 오윤이 혼자 남겨져 종이를 만들다 기계 속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굉장히 상징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조
많은 분들이 그 부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은데 저는 정말 신나게 썼습니다. 이 부분은 저의 지인이 종이 공장에서 근무를 할 때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대요. 그래서 '이거 소설감이다' 싶으면서도 '거짓말 아니냐'고 물었는데, 실제로 신발만 남겨져 있었다고 이야기 하더라고요. 3년 뒤에 소설이 나오고 읽어나 보라고 보냈는데, '그냥 뻥을 친 건데 거기에 뻥이 더해져 이렇게 작품이 됐네.'라고 이야기 하더라고요. (웃음) 그리고 저는 이 작품이 실패했다고 생각한 이유가 연애소설이라고 생각하고 썼거든요.
정
선생님, 연애... 연애는 아닙니다.
조
안 그래도 다른 분들도 연 애소설이 아니라 예술가 소설이라고 하더라고요.(웃음)
정
저는 가끔씩 선생님의 글을 읽다 보면 소설이지만 굉장히 비유나 시적인 표현이라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혹시 남편 분인 최영철 선생님의 영향인 것인지요?
조
제가 등단이 늦지 않습니까? 저는 작품 활동의 공백도 있었고요. 제가 십 몇년이 지난 후에도 다시 글을 쓸 수 있었던 것은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는 남편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한편으로는 문학의 성취를 이룬 시인하고 사는 것이 힘들기도 하고, 열패감도 들고... 그래도 '저 사람은 내 손바닥 안이다' 싶은 위로를 하기도 해요. (웃음)
이번 저자와의 만남에는 웃음과 눈물이 함께 했던 진한 시간이었습니다. 시간 관계상 더 많은 이야기와 조명숙 선생님께 드리고픈 질문은 접어둬야 했지만, 조명숙 선생님의 작품으로 더 깊게 만나보기로 약속하고 아쉬움 마음을 달랬습니다.
▶▶ 조명숙 작가님의 작품을 만나보세요!
'저자와의 만남 |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 :: 구모룡『은유를 넘어서』 (0) | 2015.05.22 |
---|---|
늦깎이 산악인, 하지만 마음만은 언제나 청춘:: 이상배 저자 출간기념회 현장 답사기 (1) | 2015.05.22 |
세상아, 시를 춤추고 노래하게 하라 -『금정산을 보냈다』최영철 작가와의 대화 (3) | 2015.05.21 |
청춘, 권력에 대항하는 자세 :: 사공일 저자와의 만남 (0) | 2015.05.18 |
66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 조명숙『조금씩 도둑』 (0) | 2015.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