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거대 권력에 맞섰던 민초에 바치는 헌사 (부산일보)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8. 27.


▲ '청산되지 못한 역사,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 김유철 작가가 제주 4·3항쟁을 소재로 한 장편소설 '레드 아일랜드'를 쓴 이유다. 부산일보 DB

1948년 절망의 땅 제주를 품고 살아온 지 10여 년. 무자비한 시대의 소용돌이에 등 떠밀려 들어간 사람들의 아픈 이야기는 마침내 한 권의 책이 됐다.

김유철 작가 네 번째 장편소설 
신간 '레드 아일랜드' 발간 
제주 마을 곤을동 모델로 
4·3 항쟁에 희생된 군상 그려


'레드 아일랜드'(사진·산지니)는 김유철(44) 작가의 네 번째 장편소설. 제주 4·3 민중항쟁을 통해 들여다본 '변하지 않는 세상과 변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1948년부터 1954년 사이 제주에서는 3만 명 가까운 사람들이 희생됐다. 작가는 "제주 4·3 항쟁은 당시 제주 인구의 10분의 1이나 되는 무고한 사람들이 우리나라 경찰과 군인에 의해 희생된 기막힌 역사"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역사를 되돌린 순 없으니 제대로 기억이라도 하기 위해" 수많은 자료를 찾고 무수한 발품을 팔았다. 

소설 속 마을 곤지동은 당시 실존했던 제주 마을 곤을동을 모델로 했다. 해안가 마을 곤을동에선 실제 수많은 주민이 영문도 모른 채 떼죽음을 당했고, 마을 터는 지금도 억새풀 가득한 폐허로 남아 있다. 

소설은 시대의 비극 속 인물들의 선택에 집중했다. 이유 있는 민중 항거에 대한 무자비한 진압.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목숨을 담보로 남이냐 북이냐 선택을 강요당하는 사람들. 보복이 더 큰 보복을 부른 제주는 법도 윤리도 없는 땅으로 변해갔다. 어린 시절부터 친구로 자란 김헌일과 방만식은 이데올로기가 장악한 시대의 파도 속에 서로 총을 겨눠야 하는 처지가 된다. 

친일지주계급 집안에서 부유하게 자란 김헌일은 돌아가는 정치 상황에 비판적이었지만 결국 '내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으로 무고한 제주 민초들을 진압하는 경찰이 되고 만다.

주인집 둘째 아들 헌일 대신 일본 강제 노역에 징집된 방만식. 제주의 자연을 좋아하고 천성이 순하고 사려 깊었던 청년은 '없이 태어난 죄'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며 모순덩어리 세상을 직시하게 된다. 그는 '제주 사람들이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행복한 세상'이 이렇게 오기 어렵다면 '스스로 새로운 세상을 만들겠다'고 나섰다. 

'양키 밑에서 권력 행사하는 놈, 친일 했던 놈들'로부터 진정한 해방을 위해. "중요한 건 지금의 세상이 잘못됐단 거우다…. 게매 이렇게 행동하고 있주. 여기서 죽도록 맞으멍 속느니 희망을 가지멍 싸우는 게 더 좋은 거 아니우꽈." '살기 위해' 총을 들 수밖에 없었던 방만식은 후회 없이 목숨을 던진다.

세상을 바꾸는 데는 관심이 없었지만 사랑하는 여인과 자신의 양심은 지킨 나약한 지식인 홍성수와 전형적인 기회주의 자본가 김종일도 있다. 

힘없는 이들은 무자비한 권력 앞에 무고하게 죽어갔고, '우파의 위장과 좌파의 입'을 가진 배운 자들은 체제에 순응하며 비루하게 살아남았다. 소설은 우리 현대사 고비고비마다 거대 권력의 음모에 당당히 맞섰지만 역사에 이름조차 남기지 못했던 '수많은 방만식들'에게 바치는 헌사이기도 하다. 작가는 "2015년 대한민국의 정치 사회적 상황이 1948년 제주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절망스럽다"고 했다.

소설은 오는 10월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영화 소재를 찾는 국내외 감독, 제작자와 원작 출판물을 연결시켜주는 '북 투 필름(Book To Film)' 행사에 후보 10편 중 하나로 선정됐다.

강승아 | 부산일보 | 2015-08-27

원문 읽기

레드 아일랜드 - 10점
김유철 지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