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를 보내며 날씨의 변화를 체감하고, 계절이 바뀌어 가고 있음을 실감하는 요즈음입니다. 전해와 다른 올해를,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마주하며 나이 듦을 실감하고 있다고나 할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점이 있다면 매일의 반복되는 습관 같은 거겠죠. 가령 저는 퇴근하면 집에 가서 침대에 앉아 아이돌이 등장하는 프로그램을 보는 게 유일한 낙이 되어버렸어요. 그들의 자연스러운 젊음과 상냥하고 밝은 미소에 하루의 시름을 잊고, 사이좋은 친구들과 교실에서 즐겁게 떠들고 놀던 십대의 추억을 회상하기도 합니다.
데뷔 전 트와이스 멤버.
하지만 친구들과 아무 생각 없이 즐겁게 놀아야 할 의무가 있는 십대의 날들부터 혹독한 연습에 내몰려 생활했던 아이돌의 아픔은, 사실 방송에 비춰지지 않는 한 제가 알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렇게 어린 시절부터 무한 경쟁 속에 내몰려 데뷔를 하고, 일상에 지쳐 있는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소소한 즐거움을 주기도 하는 거겠죠. 요즘의 연예가 세태도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연습생 시절부터 대중들에게 끊임없이 노출되고, 데뷔를 위해 연습생 시절부터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혹자는 수많은 연습생들의 방송 노출과 데뷔를 향한 경쟁 시스템을 두고 아이돌 비정규직 양산이라며 걱정하는 눈초리를 보이기도 하더군요.)
식스틴 방송 당시 연습생들
작년 JYP엔터테인먼트의 걸그룹 데뷔 프로젝트 <식스틴(SIXTEEN)>도 이러한 흐름에서 기획된 방송입니다. 매번 주어지는 과제에 탈락자가 선정되고 최종 데뷔 멤버를 선정하기까지, 자본주의 시대 속 하나의 ‘상품’을 어떻게 하면 잘 판매할 수 있을지, 그 상품을 잘 배치하고 기획하기까지 연예기획사에서 펼쳐지는 기획 과정을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씁쓸한 광경이 다소 잔혹하게 펼쳐지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상품’으로 구성되는 사람은 ‘소속사 연습생’입니다. 문제는 감수성이 예민한 10대 여학생으로 대다수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었어요.)
<식스틴> 방송의 출연진들은 다시 <트와이스>라는 그룹으로 데뷔를 하고, 데뷔하지 못한 멤버들은 또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아이돌의 꿈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거나,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하는 등 다양한 절차를 밟으며 진로를 바꾸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한동안 잊고 있었던 그들의 이야기가 몇 주 전 대만멤버 쯔위의 국기 논란으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대중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마리텔 방송(왼쪽)과 중국가수 황안(실제로는 대만출신이라고 합니다.)
사건의 전말은 이러했습니다. 출연진들이 각자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여 경쟁하는 방송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트와이스의 외국인멤버 미사모쯔(미나, 사나, 모모, 쯔위)가 출연하면서 각각 일본국기, 대만국기를 쥐어주며 방송을 진행하게 했던 게 사건의 발단입니다. 중국 가수 황안이 이를 자신의 SNS계정 웨이보에 올리며 쯔위가 대만의 독립운동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고요. SNS의 특징상, 이 소식은 중국과 대만을 비롯한 전 세계에 발 빠르게 퍼져 나갔습니다. 때마침, 대만의 총통선거 기간이 겹쳐 대만정치인들은 쯔위의 행동을 정치적 행위로 규정한 뒤 이를 선거유세에 활용하기도 했고요.
당선자 차이잉원 대만 총통.
하지만, 대체 16세 소녀가 대만과 중국(양안관계) 관계에 대한 어떤 정치·외교적 사상을 품고 대만 국기를 흔들었을까요. 실제로 대만 독립에 대한 사상이 쯔위에게 있었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대중들에게 굳이 노출해야 할 권리는 없습니다. 정치사상은 종교사상의 자유와 마찬가지로 존중받아야 할 개인적 ‘자유’의 소산이기 때문이지요.
네, 사건의 일단락은 여기서 끝이 났습니다. 황당했던 것은 소속사의 대응이었습니다. 쯔위를 내세워 중국민들에게 ‘양안은 하나다. 죄송하다. 잘못 판단했다.’는 식의 사과 동영상을 유투브에 게재한 것입니다. 이처럼 ‘연애 자유’, ‘아이돌 복지’에 많은 시스템을 구축했던 JYP의 기존 대응과는 다르게 ‘정치 사상’은 소속사 연예인들에게 억압되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아무래도 대만 연예시장보다 중국의 연예시장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기획사 측의 판단이 개입된 것으로 보입니다만, 개인이 아니라 수출 ‘상품’으로 분류되는 아이돌로서의 정체성은 개인의 정치적 사상과는 다르게 흘러갔던 점이 크게 아쉬웠습니다. 무엇보다 IS동영상처럼 우울하게 전개되는 사과동영상에 그저 경악할 수밖에 없었네요.
『중국 민족주의와 홍콩 본토주의』의 저자 류영하 교수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 민족주의와 홍콩 본토주의의 쟁점은 민족 문화의 동일한 정체성에 동의하지만, 법치・제도・민주・자유에 대해서는 큰 시각차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소수는 다수와 직접적인 충돌을 일으킨다는 것이고, 그것이 국민국가에 의해 거부되고 있다는 것은 현실임이 분명하다. 티베트나 신장 지역의 경우를 보더라도, 소수는 국민국가라는 대의명분 앞에서 자신을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향후 대만의 미래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즉 중국 내 56개 소수 민족 또는 소수 문화가 각기 개별적으로 존중되고 있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국민국가의 정치경제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그것의 영속성을 달가워하지도, 지켜주지도 않는다. 티베트와 중국의 충돌, 신장과 중국의 충돌은 문화적 정체성에서 출발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에서 오는 갈등일 뿐이다. 바야흐로 홍콩인은 차국민으로서 중국 내 새로운 소수민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즉 홍콩 본토주의의 가장 큰 상징인 법치·제도·자유 그리고 민주를 향한 열망은 국민국가라는 막무가내의 당위성 앞에서는 그저 힘겹다. _296-297쪽. |
주지하다시피, 중국은 50여 개에 이르는 소수 민족과 한족이라는 다수의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입니다. 그러나 다민족 각자에 이르는 다양성을 존중받기보다, ‘하나의 중국’, ‘하나의 종교’, ‘하나의 사상’을 각 민족들에게 강요하는 것이 중국의 현실입니다. 현재 대만은 자국 통화를 갖고 있고 군대를 보유하면서 정치·경제·행정에서 완벽한 자치를 실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맥락 속에서 ‘대만’을 세계 내 주권국가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는 측면이 존재합니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 우산 혁명 당시.
이 책을 집필한 저자 류영하 교수는, 세계사에 깔린 올바르지 않은 민족주의 이념을 걷어내고 중국의 중화주의로 인해 ‘국가’로서 인정받지 못하는 티베트, 신장, 홍콩 등 다양한 민족의 가치를 역사 속에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국가 이데올로기에 눌리어 제대로 발언하지 못하는 대만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홍콩'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정 역사관을 두고 전개된 홍콩 역사박물관의 상설전시 <홍콩스토리> 전
저자가 몇 차례에 걸쳐 답사한 홍콩역사박물관의 ‘홍콩 스토리’ 전시 뒤에 깔려 있는 중국의 국가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 진정한 '민족주의' 사관에 대해 성찰하고 있는데요. 연예 기획사부터 시작해 결혼 이주여성 등 최근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를 맞이함에 있어 어떤 식으로 ‘민족주의’를 바라보고 접근해야 하는지를 홍콩과 중국, 신장, 대만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쯔위의 사태는 소속사의 발 빠르지 못한 대응으로 아쉽게 결론이 났지만, 앞으로 제2, 제3의 쯔위와 같은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때 우리가 대응해야 할 자세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저는 『중국 민족주의와 홍콩 본토주의』 책에 제시된 바대로 중국의 국가 이데올로기로 민주주의의 위협을 받고 있는 공간인 대만과 신장, 홍콩 등을 중국과는 달리, 독립적인 '본토'로 이해하고 인정하며 그들의 문화를 학습하고 함께 공유하는 작업이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 민족주의와 홍콩 본토주의 - 류영하 지음/산지니 |
'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욕을 자극하는 노래 추천 (4) | 2016.02.12 |
---|---|
새해 읽기 좋은 책 추천? (0) | 2016.02.05 |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이야기 (10) | 2016.01.29 |
교도소에서 온 편지: 책 읽기의 기쁨에 대하여 (1) | 2016.01.12 |
모란디와의 조우:: 그릇 하나에, 병 하나에 우주의 신비를 담다 (3) | 2016.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