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문학

아름다움의 正名을 찾아가는 여정 :: 유익서 소설집 『고래 그림 碑』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6. 15.

 

암각화와 피카소, 승전무와 아쟁 산조를 관통해

아름다움의 正名을 찾아가는 여정

 

유익서 소설집

『고래 그림 碑』

 

 

  1974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래 꾸준히 예술의 존재 이유와 예술가의 삶에 대한 소설을 발표해온 작가 유익서가 새로운 소설집을 펴냈다. 한산도에 칩거한 지 7년, 치밀한 연구와 함께 예술의 본질에 대한 사유를 정제해온 작가는 여덟 편의 신작을 담은 이번 소설집에서 자신의 예술론을 집대성한다.

 

  현대인의 삶에서 가장 결핍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아름다움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래 그림 碑』의 주인공들은 아름다움의 참 이름을 찾아 나선다. 반구대 암각화와 피카소, 승전무와 아쟁 산조를 관통하는 이 작품집을 통해 작가는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예술은 어떤 것이며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 또 ‘아름다움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대해 과감하면서도 진중하게 답한다. 

 

 

삶의 필요에서 발생하는, 삶을 바칠 만한 예술

 

  『고래 그림 碑』에 수록된 소설들은 예술에 대한 성찰과 실천이라는 구심점을 중심으로 삼아 펼쳐진다. 표제작은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한 고고미술학도의 도전적인 해석을 다루는데, 주인공이 봉착하게 되는 좌절의 체험담 안에 가파른 석벽 위에 고래 그림이 그려지게 된 과정에 대한 고고인류학적 상상이 펼쳐진다. 미치광이로 오해받으면서도 암각화를 새기는 인물 ‘올’의 절실함은 생활과 예술이 같은 근원에서 나온다는 것을 반추하게 만든다. 먹고살기 위해 하는 고래 사냥과 마찬가지로 바위 위에 그림을 새기는 일 또한 삶의 필요에 응답한다. 이러한 고대의 예술가와 대비되는 오늘날 고고미술학도의 좌절은 생활과 예술이 완전히 분리되어 삶의 전체성 안에서의 조화를 상실하게 된 현실을 비추고 있다.

 

  궁금증을 자아내는 제목의 「소리무늬 山」은 한국적 산수화의 진경(眞境)을 추구하다 그림을 그리던 자세 그대로 생을 마감한 기구한 천재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높은 벼슬에 오를 수도 있었으나 속세를 등지고 살아간 젊은 화가는 우리 화가들이 중국의 서화첩에서 본 것을 흉내 내기만 하는 것을 지탄했다. 자신의 목숨을 바칠 정도로 그는 오로지 아름다움만을 추구했고, 아름다움 자체와 그에 대한 구도(求道)적 추구의 자세를 체화한다. 권오룡 문학평론가는 『고래 그림 碑』의 이러한 주인공들이 ‘삶의 미학화’라는 주제를 실현한다고 말한다.

 

깊이의 차원에서 ‘삶의 미학화’는 어느 순간 광기와도 통하게 됨은 물론이고 (…) 삶 자체를 송두리째 내던져야 한다는 무서운 역설의 요구에 직면하게 되기도 한다. (…) 이러한 극단적 실천에 의해 예술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초월하여 영원히 이어지는 불멸성을 추구하는 작업이 된다. (…) 예술은 삶과 죽음을 연결하여 하나로 이어지게 만듦으로써 영원불멸의 생명 사상을 수립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 ‘삶의 미학화’로 표출되는 유익서의 독특한 예술관이다. (288쪽)

 

 

서사 속에 녹여낸 철학

“예술의 본질은 형태에 머물지 않고 정신에까지 통해야 한다”

 

  천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물성을 지닌 옻칠회화에 대한 소설,「1000년 그림」은 천년이 지나도록 불변하는 가치를 지닌 그림이란 무엇일까 질문하게 한다. 작품 속 주인공인 소설가 ‘나’는 이를 “물상의 본질적 기운을 그려내”는 것이라 표현한다. 『고래 그림 碑』의 작품들에서는 악기와 목소리 (「레닌의 왼발」), 육신 대 영혼 (「바리데기 꽃등」), 삶과 죽음 등의 대립쌍이 등장하지만 이들을 이분법적으로는 파악할 수는 없다. “물상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형질은 비가시적인 기운으로 운동하고 있기 마련”(「1000년 그림」)이라는 주인공의 말에서 볼 때 이 대비되는 개념들은 대립이 아니라 순환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소리무늬 山」의 주인공 고강은 “형상만을 고스란히 그린 것은 그림이라 할 수 없”으며, “그 형상 안에 내재해 있는 어떤 보이지 않는 핵(核)을 불러내 그려내야만 그림으로 불릴 가치를 지니는 것”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자신이 그리는 그림마다 흠을 찾아내 작품을 찢어버리는 주인공 고강은 생전에 만든 작품 중 남긴 단 하나의 그림에서 형태만이 아니라 소리를 느낄 수 있도록 산을 표현해냈다.

 

  눈앞의 그림이 속삭이고 있는 저 아름다운 음률을 내 가슴이 지금 분명히 듣고 있지 않은가. 산수를 그릴 때에는 뜻이 붓 앞에 있어야 한다 했는데 외형의 산이 아니라 산의 음률로써 우주의 끝을 노닐게 하지 않는가. (280쪽)

 

 

순수하고 투명하면서도 깊은 경지에 이르는 미학적 탐색

 

  유익서의 소설들은 많은 작중인물들이 지금 머물러 있는 한산도라는 섬의 지리적 의미를 상징화의 모태로 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외부세계, 즉 육지와는 바다로 절연된 작은 섬에서 유익서는 이 단절과 협착을 글쓰기 작업의 조건으로 받아들이면서 오로지 삶과 예술의 일치라는 문제에만 천착하여 순수하고 투명하면서도 깊은 경지에 이르는 미학적 탐색의 노력을 끈기 있게 이어나간다.

 

  『고래 그림 碑』의 작품들은 ‘미학화’라는 삶의 방식을 추구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오늘날 현실에 대한 미학적 반성을 불러온다. 저자는 우리의 삶에서 가장 결핍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아름다움이라는 미학적 요소라고 본다. 「수선화의 방」에는 주인공인 ‘그’가 그를 고성에 초대한 강 선생이라는 인물과 알게 된 경위를 소개하기 위해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죽도 마을회관에서 열렸던 강연의 일화가 액자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다.

 

  사실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연제로 무슨 이야기를 더 새롭게 할 수 있겠는가.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그 당위성을 밝혀 정의를 내린 바 있는 너덜너덜한 낡은 주제였다. (…) 게다가 요즘 책보다 유익하고 흥미로운 것이 세상에 얼마나 많이 널려 있는가. (109쪽)

 

  ‘그’는 이 강연에 대해 “케케묵은 연제”이고 “너덜너덜한 낡은 주제”라 표현하는데 이것은 책의 궤도를 넘어 예술의 위상이나 운명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현대 사회에서 예술의 운명과 책의 운명은 제유적 관계에 놓여 있다. 책을 지키기 위해서 책의 취약점을 되짚어 나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현실을 되짚고 이에 저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술의 가능성을 끝까지 탐색해야 한다.

 

  『고래 그림 碑』에 수록된 유익서의 소설들은 모두가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예술과 존재 방식에 대한 작가의 성찰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고래 그림 碑』는 소설을 통해 예술의 본질과 현상, 가능성과 가치, 의의 등 미학적 탐색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가 소설의 계보에 자리를 잡는다.

 

 

▶ 글쓴이 : 유익서

 

 

  1974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부곡(部曲)」, 197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우리들의 축제」로 문단에 나온 후, 고도의 상징과 알레고리로 시대상황을 적실히 비춰낸 『비철 이야기』『표류하는 소금』『바위 물고기』『한산수첩』 등의 소설집, 그리고 우리 전통음악의 우수성과 고유한 아름다움의 근본을 밝혀 미학적으로 승화시킨 『새남소리』『민꽃소리』『소리꽃』 3부작을 비롯하여 『아벨의 시간』『예성강』『세 발 까마귀』 등의 장편소설을 세상에 내놓은 바 있다. 한동안 동아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단국대학교 대학원과 동의대학교 등에서 소설을 강의했고,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이주홍문학상, 한국PEN문학상, 성균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차례

 

 

 

 

고래 그림 碑

유익서 지음 | 국 | 13,800원

978-89-6545-357-4 03810 | 2016년 6월 20

 

  한산도에 칩거한 지 7년, 치밀한 연구와 함께 예술의 본질에 대한 사유를 정제해온 작가는 여덟 편의 신작을 담은 이번 소설집에서 자신의 예술론을 집대성한다.

현대인의 삶에서 가장 결핍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아름다움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래 그림 碑』의 주인공들은 아름다움의 참 이름을 찾아 나선다. 반구대 암각화와 피카소, 승전무와 아쟁 산조를 관통하는 이 작품집을 통해 작가는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예술은 어떤 것이며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 또 ‘아름다움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대해 과감하면서도 진중하게 답한다.

 

 

 

 

고래 그림 碑 - 10점
유익서 지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