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쓴맛이 사는 맛 / 최정란(대구일보)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12. 15.

쓴맛이 사는 맛 / 최정란

 

 

 

 

 

 

통이 비었다 쓰지 않는다 생각했는데/ 이따금 큰 숟갈로 썼구나/ 시간이 없는데 식탁을 차려야할 때/ 급한 불을 끄듯 설탕을 더한다// 그때마다 요리를 망친다/ 손쉬운 달콤함에 기댄 대가다// 마음이 허전하고 다급할 때/ 각설탕 껍질을 벗기듯/ 손쉬운 위로의 말을 찾는다// 내가 나를 망치는 줄도 모르고/ 임시방편의 달콤함에 귀가 썩는 줄도 모르고// 생의 시간을 털어가는 달콤한 약속들은/ 내 안이 텅 비어/ 무언가 기댈 것이 필요할 때/ 정확히 도착한다// 내 안에 달콤함을 삼키는 블랙홀이 있다/ 주의하지 않으면/ 언젠가 생을 통째로 삼킬 것이다.

- 시집 『사슴목발 애인』 (산지니, 2016) 

 

 

‘쓴맛이 사는 맛’ 경남 양산의 기숙형 자율학교인 효암고등학교 앞 큰 돌에 새겨져 있는 글이다.
이 학교의 재단 효암학원 이사장은 우리에게 ‘거리의 철학자’, ‘당대의 기인’, ‘파격의 인간’이라 불리며 시대의 어른으로 존경받아온 채현국 선생이다. 
대구 부농의 독자로 태어난 그와 관련한 여러 일화들이 전해지는데 <창작과 비평>의 운영비가 바닥날 때마다 뒤를 봐준 후원자였으며, 셋방살이하는 해직기자들에게 집을 사준 파격적인 분이었다. 
유신시절 수배자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여러 민주화운동단체에 자금을 댄 익명의 운동가였다.
이 돌은 원래 교명을 쓰려고 가져왔는데 한 귀퉁이가 깨져있었다고 한다.
깨진 돌에 교명 쓰는 게 뭣해서 다른 말 한마디를 새겨볼까 하다가 그 말이 생각났다.
쓴맛조차도 사는 맛이고, 오히려 인생이 쓸 때 거기서 삶이 깊어지니까 그게 다 사람 사는 맛 아니겠냐는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다보면 숱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마련이다.
쓰다고 뱉어버릴 수 없는 것이 인생이라면 말씀처럼 쓴맛도 사는 맛이라고 생각하며 끌어안으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리라.  
채현국 선생의 삶 자체가 고난과 굴곡이었다. 
하지만 선생처럼 굴종과 타협을 강요받았던 시대에도 당당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분은 그리 흔치 않다. 
서울대 철학과를 나온 선생의 생활철학은 ‘시시하게 살면 행복해질 수 있다’이다.
‘쓴맛이 사는 맛’이란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이하 생략)

 

 

2016-12-15 | 대구일보

원문읽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