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극심해지는 외세의 침투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막부는 조정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이전까지 막부가 유일한 국가의사 결정기구로 작동했던 것과는 달라진 상황이었다. 하지만 대외 위기와 내부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통합된 의사결정기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천황을 중심으로 한 조정이 쇼군을 정점으로 한 막부를 타도하고 새로운 군주제를 창출하는 과정은 이렇게 시작됐다. 막부 중심의 체제가 수백년간 지속되면서도 천황의 종교적, 학술적 권위를 존속시킨 것은 새로운 정치체제 형성에 유리한 조건이었다.
고종(왼쪽)과 일본 메이지 천황 모습. 출처: 세계일보
막부를 무너뜨린 메이지유신의 관료들은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천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전국을 순행(巡幸)하게 하고 천황의 사진, 초상과 같은 시각적인 장치들을 활용했다. 또 하나 주목한 것이 천황릉이었다. 천황 지배의 정당성을 ‘만세일계’(萬世一系·천황가의 혈통이 단 한 번도 단절된 적이 없다고 주장)라는 관념을 통해 확보하기 위해 능을 조작했던 것. 신무천황릉은 없던 것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근대 서구의 충격과 동아시아의 군주제’(박원용 등 지음, 산지니)는 19세기 이전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동아시아 각국의 군주제가 서양 세력과 대면하면서 겪은 변화 과정을 추적한 책이다. 비교적 빠른 시기에 메이지 유신을 통해 강력한 입헌군주제를 성립시킨 일본을 비롯해 조선, 중국, 러시아, 티베트의 사례를 분석한다.
조선의 경우 고종은 명성황후의 국장을 지연시키며 ‘국모 복수론’을 확산시켰다. ‘존왕론’을 강화시키고자 한 의도였는데 고종 자신을 중심으로 외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논리였다. 책은 “고종은 황제에 즉위한 후 정치체제를 황제 중심의 전제정치체제로 만들 수 있었다. 이런 전제군주론이 바로 19세기 서구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이 구상했던 ‘구본신참’ 또는 ‘법고창신’의 정치적 표현이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강구열 기자│2014-11-06
원문 읽기: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11/06/20141106003749.html?OutUrl=naver
왕좌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 『근대 서구의 충격과 동아시아의 군주제』(책소개)
'기타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종은 왜 명성황후 복수에 집착했나? (0) | 2014.11.10 |
---|---|
근대 서구의 충격과 동아시아의 군주제 (0) | 2014.11.10 |
요르단행 아들 품에 통째로 보낸 금정산 / 국제신문 (0) | 2014.10.14 |
문학 기자들이 찜한 최영철 시인의 『금정산을 보냈다』 (0) | 2014.09.19 |
[리더스경제] “백성을 위한 정치…다 같이 잘 살자” (0) | 2014.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