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지금 들어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카스트로의 말들(오마이뉴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12. 6.

지금 들어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카스트로의 말들

 

카스트로 부고 소식에 들춰본 책 두 권 <들어라! 미국이여> <체 게바라 평전>

 

 

 

얼마 전 페이스북에 누군가 글을 썼다. '카스트로'가 죽었다고. 순간, '어? 카스트로가 아직까지 살아 있었나?' 이런 생각이 들면서 혼자 막 민망해진다. 쿠바를, 쿠바혁명을 좋아한다고 생각해 왔는데, 쿠바의 수장을 50년 넘게 맡았던 카스트로가 살았는지 죽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니.

모르는 건 부끄럽지 않지만 모르는 걸 알려고 하지 않는 건 부끄러운 일이라고 누가 그랬지. 책장에 꽂은 지 한참 지난, 아직 읽지 않은 카스트로 연설 모음집 <들어라! 미국이여>(피델 카스트로 지음, 강문구 옮김, 이창우 일러스트, 산지니, 2007)를 얼른 꺼낸다. 그리고 또 한 권, 카스트로와 함께 혁명을 일구어 낸 '체 게바라', 그이와 너무 잘 어울리는 빨간색 책 <체 게바라 평전>(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실천문학사, 2000)도 함께.

쿠바혁명을 승리로 이끈 뒤에 한 사람은 아흔 살까지 살았고, 또 한 사람은 서른아홉 살에 세상을 떴다. 카스트로의 죽음 앞에, 혁명의 열매를 맛보기보다는 새로운 혁명의 열매를 맺기 위해 길을 떠난 체 게바라가 저절로 떠오른다. 카스트로는, 더 넓은 혁명을 꿈꾸며 먼저 세상을 떠난 뜨거운 혁명 동지 체 게바라에게 부끄럽지 않게 살았을까. 마구 궁금해진다. 

쿠바혁명은 국민을 위해 이런 일을 했다

 

<들어라! 미국이여> 첫 장은 유네스코 전 총재 '마요르'가 카스트로를 인터뷰한 글을 담았다. 유네스코 총재는 아무나 하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 어쩌면 그렇게 마음에 드는 질문만 꼭 짚어서 했던지. 예를 들면 이런 거.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0년이 된 지금, '사회주의'라는 용어는 아직도 의미가 있는가?"(17쪽) "이렇게 오래 버티는 이유는 무엇인가?"(20쪽) 질문은 이렇게 곧바로 파고들어야 좋다. 빙빙 에두르지 말고.

"나는 과거 어느 때보다 오늘날 사회주의가 더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고 확신한다." (17쪽)

"국민과 더불어, 또 국민을 위한 쉼 없는 투쟁과 노동 때문이다. 우리가 신념을 가지고 행동해 왔다는 사실, 우리가 인간을 신뢰하고, 우리 조국의 주인이 아니라 종이 되고자 했던 신념이 그 해답이다. (…) 우리는 정치 및 행정상의 최고 책임을 맡고 있는 자들의 지고지순한 정직을 믿는다. 우리는 정치를 경건한 의무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20쪽)

단도직입 물음에 굵고 선명한 대답. 특히 '우리는 정치 지도자들의 지고지순한 정직을 믿는다'는 말이 서럽게 다가온다. 내가 사는 이 나라에선 감히 생각도 해 볼 수 없는 말이기에. 카스트로의 단호한 목소리에 젖어들면서 어느새 희미해진 것도 같았던 '꿈' 하나가 슬금슬금 고개를 내민다.

늦은 밤, 남몰래 읊기에도 너무나 벅찬 그 말, '사회주의' 그리고 '혁명'. 1959년 사회주의 혁명으로 새로운 사회를 연 쿠바. 50년 넘게 여전히 혁명 체제를 이끌고 있는 이 나라. 그 혁명의 결과가 구체로 어떤 모습인지 카스트로의 목소리로 좀 더 들어봐야만 하겠다. 

"나는 우리가 가난하지 않다거나, 우리에게 부족한 게 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우리의 가난과 재산을 가능한 한 공평하게 분배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입니다." (103쪽)

"기초약품 가격은 40년 이전의 1959년 가격과 같습니다. 1959년에, 가격을 절반으로 인하했는데, 그것은 혁명이 이룩한 첫 번째 업적 중 하나였습니다. 필요한 사람들은 병원에서 무상으로 약품을 제공받습니다. 심장이식, 간이식, 또는 고비용의 수술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약품은 언제나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혁명은 국민을 위해서 이러한 일을 했던 것입니다." (103쪽)

"42년의 혁명기간 동안 쿠바에서는 국민을 향해 단 한 차례의 최루탄 가스도 사용한 적이 없고, 국민을 진압하는 폭동 진압기구, 말이나 무장한 차를 이용한 경찰 모습도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 여러분은 쿠바 내 어디든지 여행하면서, 시민들에게 물어보고, 단 한 건의 증거라도 찾아보기 바랍니다. 혁명정부가 그러한 행동을 지시했다거나 눈감아 주었다는, 단 한 건의 사례라도 있는지 찾아보기 바랍니다. 만약 여러분이 단 한 건이라도 발견한다면, 나는 다시는 대중 앞에 서지 않을 것입니다." (196쪽)

아직은 우리에게 '꿈'처럼 여겨지는 무상의료. 쿠바는 진짜로 하고 있다. 쿠바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여러 나라들에도 무상의료의 손길을 보내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집도 무상이고,  쿠바에 유학 온 다른 나라 학생들도 무상교육을 받는다. '혁명은 국민을 위해서 이런 일을 했다'고, '혁명정부의 잘못된 모습을 단 한 건이라도 발견한다면 다시는 대중 앞에 서지 않겠다고' 말하는 노 혁명가 카스트로.

진실 여부는 더 자세히 따져봐야겠지만, 저렇게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정치가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쿠바가 한없이 부럽기만 하다. 부러우면 진다고 하던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가 보다. 부러우니까 자꾸 '꿈'을 꾸게 된다. 저런 세상에 살고 싶다고, 저런 세상을 만들고 싶다고. 

 “체 게바라는 인류 역사상 가장 훌륭한 인간이었다. 그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가장 신선하고, 순수하고, 혁명적인 방식으로 실천하였다.” 체 게바라의(사진 왼쪽) 죽음 앞에 카스트로가(사진 오른쪽) 남긴 말. 이는, 카스트로가 혁명 동지 체 게바라에게 갖고 있는 굳은 신념이었다.

 

 

"나는 신념을 가진 마르크스주의자이자 사회주의자입니다."

"가장 고귀한 원칙 중 하나는 연대의 원칙이므로 우리는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공동의 비극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인간과 인간의 고귀한 감정에의 잠재력, 그리고 선행과 이타주의에 대한 능력을 믿지 못하는 자들은, 우리가 쿠바의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아이티,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아프리카, 세계 모든 나라 어린이들의 고통에 대해 함께 아파한다는 사실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인간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전혀 느끼지 못하면서 지고의 정신을 획득할 수는 없습니다." (98쪽)

"도덕과 명예로운 행동의 가치는 무한합니다. 그것이야말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입니다. (……) 나는 여러분에게 단 하나의 원칙과 나의 생명을 바꾸지 않을 것이고, 단 한 번의 불명예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며, 단 한 번의 위협에도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얘기할 수 있습니다." (121쪽)

"나는 신념을 가진 마르크스주의자이자 사회주의자입니다." (152쪽)

연설문을 따라갈수록 심장이 자꾸만 뛴다, 뜨거워진다. '연대, 이타주의, 도덕, 신념,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잊은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내 마음에 작은 불씨로 여전히 살아 있는 말이었다, 행동이었다.

 

 

(이하생략)

 

 

16-12-05 | 오마이뉴스 | 조혜원 시민기자

원문읽기

 

 

 

들어라! 미국이여 - 10점
피델 카스트로 지음, 강문구 옮김, 이창우 그림/산지니

 

ad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