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크리티카&총서15

량치차오가 상상했던 신중국의 모습은 어디까지 실현되었나 _ 『신중국 미래기』 중국근현대사상총서 네 번째 책, 『신중국 미래기(新中國未來記)』를 소개합니다.  『신중국 미래기』 를 쓴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는 중국 근대 전환기를 살면서 끊임없이 시대를 이끌어간 대표적 지식인입니다. 신문·잡지 발행, 교육을 기반으로 변법유신을 도모하고, 근대화된 서구 문명을 선전함으로써 폐쇄된 중국에 새로운 개혁의 바람을 일으켰습니다. 탁월한 계몽주의 사상가, 정치가, 언론인, 교육자, 문학가로서 중국 문화사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신중국 미래기』는 캉유웨이(康有爲)와 함께 했던 무술변법이 실패한 후 일본으로 망명한 량치차오가 중국의 미래를 위해 집필한 두 편의 저서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입헌국가가 된 중국의 미래를 상상하는 정치공상소설로 중국의 20세기를 여는 소설이.. 2024. 7. 25.
격변하는 정치상황 속, 서양 문화에 대한 중국 지식인들의 대응 _『과학과 인생관』 카드뉴스 근현대사상총서의 세 번째 도서 『과학과 인생관』을 소개합니다.천두슈(陳獨秀, 1879~1942)는 안후이 성 출신으로 언론인, 교육자, 문필가, 혁명가, 공산당 지도자로서 20세기 중국혁명의 한복판에서 활동했던 실천적인 지식인입니다. 그는 신문화 운동과 오사운동을 모두 주도한 인물로 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중국공산당 창당에 중심적인 역할을 맡았습니다. 『과학과 인생관』은 1923년 중국 사상계에서 첨예하게 벌어졌던 '과학과 인생관 논전' 혹은 '과학과 현학 논전'에 참가했던 각 분야 지식인들의 논문 29편을 모아 펴낸 책입니다. 과학과 인생관 논전은 베이징대학 교수 장쥔마이의 '인생관' 강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청년들에게 과학을 기초로 한 인생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내용의 강연에 서양의 과학문화와 물질문.. 2024. 7. 11.
1차 세계대전 후, 새로운 문명 조건에 대한 량치차오의 예언 _『구유심영록』 카드뉴스 근현대사상총서의 두 번째 도서 『구유심영록』을 소개합니다.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는 청말, 중국 초기 계몽 사상가이자 문학가로, 서구 자유주의의 편향인 개인주의와 과학만능주의, 약육강식을 비판하며 상호부조와 인격론을 통한 협력과 소통이 필요함을 통찰하였습니다. 그는 1895년 “공거상서(公車上書)”를 올린 것을 계기로 변법유신운동에 뛰어들었으며 『시무보(時務報)』 발간, 『서정총서(西政叢書)』 편집 등 활발한 계몽활동을 하였습니다. 량치차오가 평화회의가 열리는 유럽을 방문하며 관찰하고 느낀 것을 기록한 『구유심영록』은 세계 변화에 대한 통찰과 새로운 문명의 탐색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사상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량치차오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와 자세를 볼 수.. 2024. 6. 19.
소용돌이치는 시대를 타파하기 위한 담사동의 ‘인(仁)의 학(學)’_『인학』 카드뉴스 근현대사상총서의 첫 번째 도서 『인학』을 소개합니다.담사동은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 변법자강운동을 전개한 중국 정치개혁의 중심인물입니다.  담사동이 1896년부터 1897년 사이에 집필한 『인학』은 그의 개혁사상을 집약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담사동은 『인학』을 통해 만물과 세계는 하나라는 관점에서 ‘평등’과 ‘통일’을 지향했습니다. 일원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중국 전통의 유교, 서구의 자연과학, 정치학, 경제학을 더했으며, 동서를 아우르는 사상적 증명을 이루고자 불교를 가져왔습니다. 여기서 ‘인(仁)’은 가장 최상위 개념으로 쓰이는데, 낡은 봉건 사회의 질서를 지키는 이념이 아니라 근대 세계를 설명하는 ‘자유’와 ‘평등’ 그 자체였고, 이를 실천하는 도덕의 의미도 내포합니다.『인학』은 단순히 근대적 가치를.. 2024. 5. 9.
[중국근현대사상총서009] 중국 윤리사상 ABC 중국근현대사상총서009중국 윤리사상 ABC ▶ 중국 전통 윤리사상의 개념과 근대적 전환 과정을 살펴보다20세기 초 중국 사상가 셰푸야가 저술한 윤리학사로, 중국 윤리사상의 기본 관념, 중국 윤리의 최고 이상, 의무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중국에서 윤리학은 일본에서 가져온 외래어로, 청말 전에는 윤리학이라는 말이 없었다. 윤리학이라는 말이 없었다는 것은 서구적 의미의 ‘윤리학’에 해당하는 실질이 없었고, 순수한 윤리학사도 존재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이후 중국에서는 1911년 신해혁명과 1919년 5.4신문화운동을 거치면서 서양 윤리학을 소개하고 중국 윤리학사를 서술하려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일어났다.그러나 윤리학에 관한 중국의 기존 저술은 철학과 정치학 등 다른 분야의 학설이 잡다하게 섞여 있.. 2020. 6. 8.
[중국근현대사상총서 008] 『중국문화요의』 (책소개) [중국근현대사상총서 008] 『중국문화요의』_인류사에서 본 중국문화의 특수성 ▶ 중국문화의 특수성에 비추어 인류사회를 통찰하다 중국 사상가이자 현대신유학의 창시자 량수밍이 ‘과거의 중국을 인식하여 새로운 중국을 건설하자’라는 구호 아래 중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술한 책이다. ‘사상에 근거하여 행동하는 인물’이라는 량수밍 자신에 대한 평가에 가장 적합한 저술로, 인류 사회와 문화에서 중국사회와 문화가 지니는 의의를 중국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해명한다. 동아시아출판인회의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 100권의 책’에 량수밍의 『중국문화요의』를 선정했고, 책은 근대 중국을 이해하는 중요한 저작으로 손꼽힌다. 량수밍은 책에서 크게 중국문화의 범위, 중국인의 가정, 집단생활과 서양인, 중국인의 집단생활 .. 2020.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