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영화9

2024부산국제영화제 도서추천 ② :: 영화 보는 시야를 넓혀주는 산지니 도서 추천! 여러분은 국제영화제 좋아하실까요?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는 다가오는 10월 2일~11일까지 2024부산국제영화제가 개최된답니다! 63개국이 참가하여 정말 다양한 영화들이 소개되는 자리인데요, 여러분은 영화제를 어떻게 즐길지 생각해 두셨나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화를 좋아하는 독자분들을 위해! 영화를 100배 더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산지니 책 7권을 소개합니다! 📚영화제에서 다양한 국가의 영화가 상영되는 만큼 여러 나라의 영화사(史), 영화 인물을 다룬 책을 읽고 그 나라의 영화를 관람한다면, 조금 더 풍부하고 깊은 맛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영화에 진심인 분들, 또는 영화를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보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들을 가져왔답니다! 내용이 너무 진지할 것 같다구요? 그런 분.. 2024. 9. 25.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 ④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 ④ 산지니에서는 중국 티벳 출신 영화감독이자 소설가 페마 체덴의 소설 작품집(원제: )을 준비 중입니다. 페마 체덴은 최근 영화 활동을 주로 하고 있지만, 그의 예술적 근원은 소설로부터 시작됩니다. 그에게 있어 영화와 소설은 둘이 아닌 하나로 통하는 길이니까요. 총 7회 연재될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는 2016년 출간된 (강내영 지음)에 실린 글입니다. 이를 통해 페마 체덴의 소설집 출간 전, 그의 작품 세계를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페마 체덴의 티벳영화 페마 감독은 2002년 본격적으로 영화 연출을 시작하였는데, 그의 첫 단편영화 〈성스러운 돌(靜靜的嘛呢石)〉의 시나리오와 연출을 맡았다. 이 영화는 그가 베이징영화학원 진수생 1년차.. 2018. 6. 28.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 ①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 ① 산지니에서는 중국 티벳 출신 영화감독이자 소설가 페마 체덴의 소설 작품집(원제: )을 준비 중입니다. 페마 체덴은 최근 영화 활동을 주로 하고 있지만, 그의 예술적 근원은 소설로부터 시작됩니다. 그에게 있어 영화와 소설은 둘이 아닌 하나로 통하는 길이니까요. 총 7회 연재될 '중국영화의 특이한 빛 - 페마 체덴과 티벳영화'는 2016년 출간된 (강내영 지음)에 실린 글입니다. 이를 통해 페마 체덴의 소설집 출간 전, 그의 작품 세계를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중국영화’, 혹은 ‘티벳영화’라는 이중적 속성 중국 티벳 출신 영화감독 페마 체덴(혹은, 완마차이단) 에 대한 작품을 소개하고 그의 ‘티벳영화’에 대한 사회맥락적(context) 의미를 분석하여 제시하.. 2018. 6. 7.
영화로 보는 중국의 문화정책과 이데올로기-『상업영화, 중국을 말하다 』(책소개) 임청하가 이쁠까 이미연이 이쁠까? 얼마 전 인기리에 종영된 tvN 드라마 에서 남자 주인공들이 를 보면서 임청하가 얼마나 이쁜지 열변을 토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임청하가 이쁜지 이미연이 이쁜지 심각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귀엽기까지 했습니다. 1990년대 초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임청하와 한때는 홍콩 영화가 극장가를 휩쓸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던 때가 있었죠. 저도 아주 어릴 때 티브이에서 주말 특선 영화로 본 기억이 납니다. 바람을 가르고 손으로 구슬을 튕기며 화려하게 무술을 펼쳤던 홍콩 영화를 생각하면 아직도 신기하기만 합니다. 그때는 단순히 화려한 액션이 펼쳐지는 무협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영화 가 1990년 전후 홍콩 반환으로 불안한 홍콩 사회를 투영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2016. 2. 22.
경성대 강내영 교수, '중국영화의 오늘' 출간 (CNB뉴스) 정책·산업·작품 관련 유기적 분석 바탕 '중국영화의 오늘' 소개 경성대학교(총장 송수건)는 연극영화학부 교수이자 아시아영화연구소 소장인 강내영(사진) 교수의 신간 (산지니출판사)이 출판됐다고 10일 밝혔다. 은 2012년 세계영화시장 2위로 올라선 중국영화의 최근 동향을 영화정책, 영화산업, 작품 동향이라는 정부-시장-작품의 3중주의 시각에서 분석한 대중적 학술서이다. 저자는 그간 , , 등의 공저를 통해 중국과 아시아영화를 꾸준히 연구해온 신진 영화학자이다. 이 책은 감독론, 작품론 등 기존 중국영화에 대한 파편적인 연구성과를 넘어, 중국의 독특한 문화체제에 기반해 정책, 시장, 작품을 유기적으로 분석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거의 최초의 본격적인 중국영화 소개서라 평가받고 있다. .. 2015. 8. 11.
중국영화의 오늘을 해부한 탁월한 혜안 -『중국영화의 오늘』(책소개) 아시아 총서 16 영화대국에서 영화강국으로 중국영화의 오늘 정책, 산업, 작품에 대한 유기적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영화의 오늘’을 소개한다 중국은 21세기 들어 영화대국의 길을 걷고 있다. 영화시장, 극장 수 등 영화산업 분야에서 매년 놀라운 성장속도를 보이고, 작품 면에서도 다원화되고 다채로운 발전상을 보여준다. 『중국영화의 오늘』은 이러한 중국영화의 현재를 담았다는 점에서 시의성이 크다. 그동안 중국영화에 대한 연구나 저술은 과거 기념비적인 작품이나 저명 감독들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 책은 이러한 파편적인 주제와 중국영화에 대한 비대칭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동시대의 중국영화를 담고 있다. 또한 중국영화의 특성인 사회주의체제 정부의 역할과 산업의 관계, 산업과 작품의 유기적 .. 2015.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