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취재후기]<왜성, 재발견>후일담

5화-왜군, 진해에 수군기지를 건설하다-진해 웅천, 안골, 명동, 자마 왜성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5. 27.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5화 :: 왜군, 진해에 수군기지를 건설하다

-진해 웅천, 안골, 명동, 자마 왜성


 

 

  진해는 한·일 교류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는 전쟁 기간 내내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의 격전지였다. 서해로 진출하려는 왜군이나, 왜군 본거지인 부산을 되찾으려는 조선 수군이나 진해 앞바다를 피해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1592년 5월7일 거제 옥포에서 벌인 첫 전투(옥포해전)에서 대승리를 거둔 조선 수군은 달아나는 왜군을 진해 앞바다까지 쫓아가 왜선 5척을 격침(합포해전)시키고 회군했다. 같은 해 7월9일 한산도해전에서 또다시 대승리를 거뒀을 때도 조선 수군은 진해 안골포까지 왜군을 쫓아가 왜선 30척을 불사르고 철수(안골포해전)했다. 조선 수군은 다음해 3월3일부터 4월3일까지 한달 동안 진해에 주둔해 있는 왜군을 격파하기 위해 7차례나 출격(웅포해전)했다.

 

  고니시를 중심으로 그의 사위이자 쓰시마 도주였던 소 요시토시(宗義智) 등 여러 장수들은 진해에 웅천왜성, 안골왜성, 명동왜성, 자마왜성 등을 쌓아 조선 수군을 견제했다.

 

■ 왜군 제2거점, 웅천왜성

 

  웅천왜성은 해발 184m 진해 남산 꼭대기에 있다. 성벽 둘레 1250m에 면적 1만7930㎡로, 전체 왜성 가운데 울산 서생포왜성 다음으로 크다. 웅천왜성은 안골포, 마산, 가덕도, 거제도 등과 육로와 해로 모두 연락하기 좋은 위치에 있으며, 일본으로 철수하기에도 좋은 위치이다. 왜군은 이곳을 부산 다음의 제2거점으로 삼았다.

 

 웅천읍성은 세종 16년(1434년)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와 제포왜관의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축조됐다. 하지만 삼포왜란 때는 왜인들에게 함락돼 동문이 불탔고, 임란 때는 왜군에게 함락돼 웅천왜성의 지성으로 사용됐다. 성벽 둘레에는 폭 4m가량의 해자가 있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 4차례 조사가 이뤄졌는데, 적이 넘어오지 못하도록 바닥에 박아놓은 나무말뚝(목익)과 들었다 내렸다 할 수 있는 나무다리(도개교)가 해자에서 확인됐다. 웅천읍성에는 동서남북으로 4개의 대문이 있었는데, 현재 동문인 견룡문과 주변 성벽이 복원된 상태이다. 경남도 기념물 제15호로 지정돼 있다.

 

 천주교 신자였던 고니시는 웅천왜성 완공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당시 일본에서 활동하던 스페인 출신 그레고리오 데 세스페데스(Gregorio de Cespedes) 신부를 웅천왜성에 초청하기도 했다. 세스페데스 신부는 1593년 12월27일 부산에 상륙해 다음날 웅천왜성에 와서 1595년 6월 초순까지 1년6개월가량 머물며 웅천왜성과 주변 왜성에 있던 왜군 천주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미사 집전과 교리 강론을 하고 이교도들에게 세례를 주는 등 사목활동을 폈다.

 

 세스페데스 신부도 웅천왜성에 도착한 직후 일본의 포르투갈인 신부 루이스 프로이스(Luis Frois)에게 보낸 편지에서 “웅천성은 난공불락으로 조만간 거대한 성벽과 망루와 치성을 가진 대단한 공사가 마무리될 것입니다. 이 근처에는 아우구스티뉴(고니시 유키나가의 세례명) 휘하의 모든 중신과 병사, 동맹자, 종속자가 머물고 있습니다. 이들 모두는 매우 잘 지은 넓은 저택에서 지내고 있으며, 더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의 저택은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라고 웅천왜성의 웅장함과 화려함을 소개했다.

 

 하지만 성의 웅장함과 달리 웅천왜성에 주둔해 있던 왜군의 처지는 매우 곤궁했다. 조선 수군이 남해안 제해권을 철저히 틀어쥐고 있어 본국으로부터의 보급이 끊기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고니시는 사실상 조선 수군과의 맞대결을 포기하고, 성에 틀어박혀 농성전으로 버텼다.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세스페데스 신부는 루이스 프로이스 신부에게 두번째 보낸 편지에서 “굶주림, 추위, 질병 등 일본에서 상상하는 것과는 너무도 다른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 가톨릭교도들의 고난은 너무나도 가혹합니다. 관백 전하(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식량을 보내준다 해도 이곳에 도착하는 양은 실로 보잘 것 없어서, 전군을 먹여 살리기에 턱없이 부족합니다. 일본에서 지원은 이미 중단된 지 오래이며, 최근 2개월 동안은 도착한 배도 없습니다”라고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 왜군 해군기지, 안골왜성

 

  고니시 유키나가가 웅천왜성을 쌓을 때,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 등은 해발 100m의 동망산 꼭대기에 안골왜성을 쌓았다.이들은 왜군 수군을 대표하는 장수들로, 해전에서 거듭 타격을 입고 일본으로부터 보급이 원활하지 못하자 조선 수군을 막기 위한 수군 기지로 삼기 위해 안골왜성을 쌓은 것이다.

 

  왜군은 안골왜성을 쌓을 때 인근에 있던 조선 수군기지인 안골포진성의 성벽 돌을 가져다 썼다. 안골포진성 서쪽 성벽 일부는 아예 안골왜성의 성벽으로 이용됐다. 안골포진성은 성종 21년(1490년) 건설됐다. 앞서 이곳엔 세조 8년(1462년) 김해 가망산에 있던 만호진이 옮겨와 주둔해 있었다. 하지만 임란 때 제포진성처럼 왜군에 함락됐다.

 

  안골왜성은 웅동만을 사이에 두고 웅천왜성과 마주보며, 부산의 길목인 가덕수로를 지키는 구실을 했다. 현재 가덕수로는 부산신항 건설로 매립돼 대부분 메워졌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안골왜성을 고적 ‘웅천안골리성’으로 지정해 관리했다. 현재는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지정돼 있다.

 

 

  명동왜성은 웅천왜성의 지성으로, 1593년 마쓰우라 시게노부(松浦鎭信)가 진해 명동마을 주변 구릉에 쌓고, 소 요시토시가 주둔했다. 마쓰우라는 일본 규슈지역에 있던 히라도번의 번주로, 고니시가 사령관으로 있던 왜군 제1군에 소속돼 있었다.

 명동왜성은 진해만 동쪽과 거제만 북쪽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크게 4개의 성곽으로 이뤄져 있다. 명동마을 앞 바다에 접한 나지막한 구릉에 성곽이 하나 있고, 명동마을 뒷산인 성실봉 꼭대기에 또 성곽이 하나 있다. 성실봉 꼭대기 부근에 외성으로 추정되는 성곽이 2개 더 있다. 명동마을 앞 구릉에 있는 성곽과 성실봉 꼭대기에 있는 성곽 가운데 어느 것이 먼저 축성됐는지 명확하지 않으며, 어느 성곽이 주 성곽인지도 불명확하다.

 

 

  웅천왜성의 또다른 지성인 자마왜성은 와성만 북쪽 해발 240.7m인 자마산 꼭대기에 세워졌다. 애초 이곳엔 삼국시대 때부터 산성이 있었는데, 소 요시토시가 기존 산성을 일부 고쳐 왜성으로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거진 숲에 파묻혀 성곽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태이지만, 산 위에서는 지금도 조선식 돌담이 발견된다. 자마왜성 터에서는 바다는 물론 웅천읍성 지역을 훤히 내려다볼 수 있다.

 

>>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6월 출간 예정 << 

 

곧 출간되는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을 통해

더 자세한 왜성 이야기와 사전답사로 둘러보지 못한 왜성들을 만나보세요!

 

 

* 본 게시물의 순서와 책의 목차는 상이합니다.

* 게시물의 내용은 책 본문의 내용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