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취재후기]<왜성, 재발견>후일담

EP.2 간절곶엔 포켓몬만 있는 게 아니에요!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9. 2.

[취재후기] <왜성 재발견>후일담


EP.2 간절곶엔 포켓몬만 있는 게 아니에요!

 

 

  요즘 포켓몬 모바일 게임 때문에 더 유명해진 울산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에서 멀지 않은 곳에 진하해수욕장이 있다. 부산 해운대나 광안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작은 규모의 해수욕장이지만 회야강 하구와 연결된 주변 경관이 참 ‘이쁜’ 곳이다. 이 해수욕장을 끼고 있는 마을 서쪽 야산으로 조금만 오르면 서생포 왜성을 만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왜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에 이어 두 번째로 조선에 쳐들어왔던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 쌓은 성이다.

 

▲ 서생포 왜성,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의 표지 사진이기도 하지요.

 

 

  1990년대 초에 기사 취재 때문에 처음 이 서생포 왜성을 찾아보고 받았던 강렬한 인상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성벽의 보존 상태나 규모도 그랬지만 세 곳으로 구획된 각 성곽의 안으로 들어갈 때마다 ㄱ 또는 ㄴ 자 형태로 꺾이도록 쌓은 출입구 구조와 사선 또는 포물선 형태를 한 성벽 모서리의 선형을 보고는 탄성이 절로 나왔다.


  이 왜성이 있는 곳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을 찾아가면 서생포 수군만호진성 터가 나온다. 임진왜란 전까지 조선 수군이 주둔했던 성인데 왜란 때 파괴돼 지금은 일부 구간에 성벽 밑부분인 기단석 정도만 남아 있을 뿐이다. 왜란 때 이 성을 점령한 가토의 왜군이 이 성의 성벽을 헐어낸 뒤 그 돌을 옮겨다 서생포 왜성을 쌓았다고 한다. 왜란이 끝난 뒤에도 조선의 이 전통 수군 진성은 복구되지 않았다. 대신 조선 수군은 왜군이 이 성을 허물고 쌓았던 서생포 왜성을 진성으로 사용했다.  진하해수욕장 이름도 ‘진성 아래에 있다’(鎭下)는 뜻에서 불려진 것이다.


 

  서생포 왜성과 관련한 이러한 사실을 하나씩 알아가게 되면서 더욱 이 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됐고, 울산에 이 곳 말고 가토의 부장이 쌓은 왜성(울산왜성)이 하나 더 있고 부산과 경남 일대에도 왜성이 여러 곳 남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 울산 왜성

 

  ‘왜성 재발견’ 취재는 바로 이렇게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남아 있는 왜성들을 찾아 이들과 관련한 임진왜란사를 재조명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부산 울산 경남에서 취재활동을 하고 있는 한겨레 후배기자들과 뜻이 맞은 데다 마침 부산박물관에 왜성 전문가(나동욱 박사)까지 선뜻 나서줘 취재는 전반적으로 큰 무리 없이 순조롭게 이뤄졌다.

 

  하지만 30여개에 이르는 전체 왜성을 10차례로 나눠 함께 답사하다 보니 하루에 3~4개 성을 훑어가는 식으로 취재할 밖에 없었던 한계도 있었다. 필자가 직접 집필을 맡았던 울산왜성과 서생포왜성, 기장 죽성리와 임랑포 왜성은 모두 하루만에 답사를 끝낸 곳이다. 결국 기사를 제대로 쓰기 위해선 전문가와 기자들이 함께 한 기본답사 외에 필자 개인의 별도답사와 보충취재가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막상 신문에 기사가 나온 뒤에도 그랬지만 이를 보완해 책으로 낸 뒤에도 여전히 내용이 미진하다는 생각을 떨쳐 낼 수가 없다.


  특히 각 왜성의 특성과 이에 얽힌 임진왜란 역사 및 사연을 알리는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 이 왜성을 어떻게 찾아가서 무엇을 봐야 할지에 대한 정보 제공에 너무 소홀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걸린다. 부산과 근교에 있는 왜성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충분히 주변의 관광지나 유적지 명승 등과 함께 둘러볼 만한 곳이 많다.

 

  기장 죽성리 왜성은 시내버스를 이용해 기장 청강리 사거리에 내린 뒤 기장문화원과 남산봉수대를 거쳐 가벼운 산행을 하며 찾아갈 수 있다. 기장문화원과 죽성리 왜성 근처 소름요 도자기 공방에선 임진왜란이 왜 일본에서 일명 ‘도자기 전쟁’이라고도 불리는지 이해할 수 있는 유물과 흔적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 기장 죽성리 왜성

 

  양산 증산리 왜성은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증산역에 내린 뒤 걸어서 15분 정도면 닿을 수 있는 증산공원에 있다. 증산공원 산책길을 한바퀴 돌며 왜성 터도 살펴보고 정수장 쪽으로 하산하면 물금역으로 갈 수 있다. 물금역에선 기차가 아니더라도 부산 덕천동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가 있고 근처 용화사와 임경대와 같은 관광지도 둘러 볼 수 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이렇게 대중교통을 이용해 왜성과 주변 볼거리를 찾아 보고 즐길 수 있는 내용을 소개하는 글을 써보고 싶다.

 

글 | 신동명 기자

 


  ◀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저자 3인방

   (왼쪽부터) 김영동 기자, 신동명기자, 최상원 기자


  *본 후기는 저자가 직접 실제 '왜성' 취재 이야기를

   작성해주셨습니다.   

 

 


 



왜성 재발견 - 10점
신동명 외 지음/산지니


:: 언론스크랩 

<한겨레21> 『왜성 재발견』 신간 소개 -  http://goo.gl/WMHtPY

<한겨레> 왜성은 치욕의 물증 아닌 전리품이다 - http://goo.gl/6RitYW

<연합뉴스> [신간들춰보기] 『왜성 재발견』 - http://goo.gl/etKqfK

<전남일보>왜성,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 - http://goo.gl/LtTSOH

<경상일보> 왜성 31곳 발로 뛰며 확인한 임진왜란의 전리품 - http://goo.gl/eBXtWw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