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해고되고, 사라지고…여전히 안 괜찮다…전태일, 그 후 50년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 5. 6.

해고되고, 사라지고…여전히 안 괜찮다…전태일, 그 후 50년

50주기 맞아 11개 출판사

공동출판 프로젝트 ‘너는 나다’
책 11권 노동절 맞춰 출간

“전태일이 분신 항거하며 세상을 바꾸는 촛불이 된 지 50년, 우리 사회는 그동안 무엇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돌아보게 됩니다. 빈부의 격차는 더 심해지고 그때의 시다는 비정규직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주변에 넘쳐나고, ‘근로기준법을 지켜라!’라는 외침은 지금도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다시 전태일을 부르고 전태일과 손잡고 우리 모두 전태일이 되자고 나서고 있습니다.”(전태일재단 이수호 이사장)

전태일은 생전 ‘대학생 친구 한 명만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한자투성이 어려운 노동법 책을 읽기 위해서였다. 그는 1969년 재단사 친구 10여명과 함께 ‘바보회’를 꾸려 엄혹한 평화시장의 노동 현실을 바꾸려 했다.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50주기를 맞는 2020년 열한 개 출판사들이 뜻을 모아 우리 시대 전태일을 응원하는 열한 권의 책을 냈다. 1일 노동절에 맞춘 ‘전태일 50주기 공동 출판 프로젝트-너는 나다’ 시리즈이다.

시작은 2018년 12월11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10여곳의 출판인들이 모여 2020년 전태일 50주기를 기념해 책을 한 권씩 내기로 결의를 다진다. 앞서 전태일 40주기 때는 출판사 네 곳이 힘을 합쳐 <너는 나다-우리시대 전태일을 응원한다>라는 책 한 권을 펴냈다.

50주기에는 여러 출판사들이 공통의 주제 의식으로 각각의 책을 펴내자는 의견이 모였다. 주제는 ‘더불어 살기’. 전태일의 친구들처럼 갈마바람, 나름북스, 리얼부커스, 보리, 북치는소년, 비글스쿨, 산지니, 아이들은자연이다, 철수와영희, 학교도서관저널, 한티재 등 열한 개 출판사가 1년5개월 준비 과정을 거쳐 우리 시대 전태일의 정신을 알리는 각양각색의 책을 펴냈다.

전태일이 살아있다면 오늘의 현실을 보고 어떤 이야기를 할까. “정규직 노동자는 해고되고, 비정규 노동을 하던 이는 사라졌다. 두 사람은 닮은꼴이다. 고용 형태가 다른데도 자꾸 나풀나풀 가벼워지라는, 아니 저렴해지라는 노동시장의 요구를 받다보니 닮아버렸다. … 가벼워진 노동을 덧입은 우리는 어디론가 사라질 것만 같다. 이대로 괜찮지 않다. 그래서 기록한다. 사라지기 전에. 아니 사라지지 말라고.” 굴뚝에 올라 400일 넘게 버티고, 아스팔트 바닥을 오체투지하며 기고, 한 뼘 천막에서 단식 농성을 하는 노동자들이 있다. <여기, 우리, 함께>는 우리 시대 전태일들을 다룬 노동 현장의 기록이다. 50년 전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세상을 꿈꿨던 전태일의 꿈은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가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이유다.

“가난했던 어린 노동자에게도 팬덤이 있습니다. 50년 전 그날 이후 그를 따르는 무리입니다. 그는 땀 흘리며 눈물짓는 불입니다. 그를 모르는 모든 나에게 나는 너라고 외치는 소리가 천지사방으로 번져 모든 나는 그와 하나가 되었습니다.” <JTI 팬덤 클럽>은 역대 전태일문학상 수상자 여섯 명의 창작 작품집이다. 전태일(JTI)을 떠올리며 “모두 다 같이 소리 질러 외치는 함성”을 담았다.

이렇게 노동자 투쟁기, 창작소설집, 기본소득 안내서, 중국여성노동자 이야기, 곤충그림책, 청소년을 위한 노동인권수업, 노동자문학, 진보정당 이야기, 노동인문학, 편집자가 쓴 <전태일 평전> 독후감, 다큐멘터리 만화책 등 다채로운 결과물이 나왔다.

프로젝트를 기획한 박정훈 철수와영희 대표는 “우리 사회를 더불어 사는 사회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고 싶은 ‘바보 같은 출판사’ 열한 군데가 모여 책을 펴냈다”면서 “제목 하나를 정하는 데만도 여러 말이 나올 수 있는데 어떠한 갈등도 없이 민주적인 과정을 통해 진행됐다는 점이 뿌듯하다”고 말했다.

이어 “내용이 뻔하지 않도록 다양한 기획을 시도했다”며 “오늘날 전태일정신이 어떤 의미일지 확장하고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전태일 열사 기일인 11월13일까지 이들은 함께 사업을 이어간다. 도서마다 인세 1%를 전태일재단에 기부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