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문학

젊은 작가 12인과 문학을 얘기하다

by 산지니북 2011. 3. 30.

소설을 읽는 사람보다 영화나 드라마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많고, 시를 읽는 사람보다 시를 쓰는 사람이 더 많아졌다. 예전의 그 위대한 문학은 끝장났고 이제 문학은 기껏 오락거리가 되어버렸다고 푸념하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사실이 그렇다. 하지만 몰락과 종언의 온갖 풍문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홀로 자기의 길을 가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문학을 둘러싼 그 추문들의 한가운데서 정결한 마음으로 글 짓는 일에 몰두한다. 마치 그것만이 그 어떤 지독한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위안이라도 되는 것처럼. (『불가능한 대화들』, 6쪽)




염승숙 :
부끄럽게도 소설을 읽고 또 쓰면서, 저는 매일 국어사전을 들고 다니는 학생이었어요. 수업을 들을 때도, 도서관을 갈 때도, 집으로 돌아올 때도, 언제나 국어사전을 손에 쥐고 있었죠.


김숨 :
오후 두 시. 그것은 내 출근시간이다. 프란츠 카프카. 그는 오후 두 시에 퇴근을 했다지. 그는 오후 두 시에 퇴근해 한숨 낮잠을 자고 일어나 독서를 하고 새벽까지 글을 썼다지.



김이설 :

다섯 살, 두 살 아이를 키우다 보니 소설을 쓸 수 있는 시간은 밤 외에는 없다. 아이들을 재우고 부지런히 책상 앞에 앉아도 10시 부근. 몇 문장 쓰지 못했는데도 어느새 자정이다. 여지없이 출출하다.

김재영 :

나는 소설을 통해 무언가를 가르치려 들진 않았던가. 그렇지 않다고 장담할 수 없어 난감했다. 처음 소설을 쓰려고 마음먹었을 때 내 나이 이미 서른이었다. 나는 무엇에 이끌렸던 걸까. 이미 두 아이의 엄마였으며 아내이자 한 집안의 외며느리였다.

정한아 :

출판사에서 전화가 온 것은 오후 무렵이었습니다. 방금 오토바이 퀵 배송으로 책을 보냈으니까 두 시간이면 도착할 거라는 말이었지요. 저는 집 안을 서성거리다가 견디지 못하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김사과 :

처음 소설을 쓰기 시작했을 때 내가 의식적으로 했던 훈련은 하루키적 세계관과 스타일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사실 아주 처음에는 아무 생각이 없었다. 그냥 써지는 대로 썼다. 처음엔 쓰는 것만으로도 벅찼다.

김언 :

저 스스로에게도 자주 하는 말이고 시를 처음 배우는 친구들에게도 자주 하는 말입니다만, 제발 자유롭게 쓰자는 주문을 많이 합니다. 시만 놓고 보자면, 흔히들 시를 좋아하기 때문에 시인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안현미 :

시가 아니면 죽을 것 같은 시절을 지나면서 썼던 시들이 첫 번째 시집에 묶인 시들이라면, 시가 아니면 쓸 수 없을 것 같은 것들을 적어 내려간 것이 두 번째 시집에 묶인 시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최금진 :

시를 쓸수록 그것이 자꾸 욕망과 허영을 동반하는 것을 봅니다. 시를 잘 쓰고 싶은 욕망과 사람들 앞에서 그 시가 인정받기를 바라는 마음은 결국 동일한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문학은 결국 독자를 전제로 하는 것일 테니까요.

김이듬 :

독자들이 자유롭게 상상하고 멋대로 읽으시길 원합니다. 제 맘에 드는 시보다 그렇지 않은 시를 좋아하시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독자들에게 의미와 논리를 말하고 싶지 않고, 말할 수 있는 자격도 없습니다. 다만 저는 의미와 논리를 지우려고 씁니다. 진실, 그런 게 있다면 그것을 말하기보다 그 진실을 지키려고 애씁니다. (205쪽)


박진성 :

뼈저리게 반성하고 또 스스로 경계하는 일이지만 시를 쓰는 사람에게 가장 나쁜 습관 중의 하나는 스스로의 시를 복제하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병에 대한 시를 계속 복제해내는 나의 시작(詩作)에 환멸을 느꼈고 자폐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나의 생활이 지겨웠습니다. (234쪽)


이영광 :

나는 내가 시를 쓰면서도 시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시하고는 아무 상관없는 딴 짓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시인들 사이에 끼여 있으면 내가 이 사람들과는 다르게 생겨먹은 인간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불가능한 대화들 - 10점
염승숙 외 지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