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총서 39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책소개
✍ 일본어 인식이라는 새로운 열쇠
근대 중국의 대일정책을 재편하다
중국의 전통적 대외관계는 자국을 세계의 중심에 두고 그 바깥 지역에게 문명의 은혜를 내리는 화이사상을 바탕으로 주변국과 조공과 책봉의 관계로 의례화되었다. 그러나 1842년 영국과의 불평등 조약으로 알려진 남경조약(南京條約)을 시작으로 청조는 조약체제에 편입되었고, 한편으로는 종래의 조공체제를 유지하여 청조의 ‘이중외교’ 체제가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이 같은 흐름 속에서 1860년대 당시 조공국도 조약국도 아니었던 일본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자리매김했는가. 또 일본이 서구열강과 달랐던 점은 과연 무엇인가.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의 주요 과제는 1860~80년대까지 일어난 외교체제의 전환 과정에서 중국이 어떻게 일본과의 근대적 관계를 새롭게 확립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사실 조공과 조약이라는 체제로 동아시아 근대사를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저자 옌리는 ‘청조 관료의 일본어 인식’이라는 특별한 열쇠를 통해 이 시기 발생한 국가 간 국제정치적 문제를 고찰한다. 지금까지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조약의 정문규정과 언어문제라는 측면에서 근대 중일관계를 살핌으로써 우리는 근대 중국과 주변국과 맺었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는다.
✍ 조규국에서 조약국이 되기까지
일본은 열강과의 ‘조약’과는 차이를 둔 ‘조규국’이 되었지만 이후 타이완출병(1874년), 강화도사건(1875년), 류큐병탄(1879년)을 거쳐 부단히 조공체제에 도전했고, 갑오전쟁(甲午戰爭=청일전쟁)에서 청조를 패배시키자, 1895년 <시모노세키조약>에 서명하고, 마침내 중국과 대등한 ‘조규국’으로부터 열강과 같은 ‘조약국’으로 변했다. 그 결과가 있기까지 일본의 자리매김을 분석한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이 책의 토대인 청조의 다언어체제와 대외관계 변용을 고찰한다. 다민족을 통합시킨 청조는 만문을 국어의 위치에 두면서도 한문세계의 위치 또한 온존시키고, 비한문세계 역시 관심을 두었다. 이 장에서는 조공국의 언어학습, 복수의 언어로 체결된 국제조약, 러시아어학교, 사절단 내방 회견의 다언어 사용 등에 대해 기술하며 다언어체제의 구조를 분명히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1860년대 막부의 상해통상 요구에 대한 청조 측 대응의 전말을 더듬는다. 개국 후의 일본은 청조의 약세와 서양 열강국의 강세를 읽어내고 종래의 질서인 조공무역이 아닌, 서양의 모방을 통한 상해통상으로 경제불황을 타개하려 했다. 하지만 청조는 일본의 요구에 응할 시 주변 국가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폐해가 클 것이라 우려했고 공식적으로 통상 요구를 거부했다.
제3장은 일청수호조규의 체결을 논한다. 일본정부는 메이지유신 직후 야나기와라 사마미츠를 청조에 파견해 조약체결을 타진했다. 이홍장을 대표로 하는 양무파는 일본을 조공국으로 볼 것이 아니라 조약체제하에서 새로운 관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동시에 최혜국대우와 영사재판권 등의 불평등 내용은 삽입하기를 반대하면서 열강과의 ‘조약’과는 차이를 둔 ‘조규’라는 단어를 채용했다. 이 시기 양무파의 대일인식을 검토함으로써 조약국이 아닌 ‘조규국’이 된 일본의 위치짓기를 구명한다.
제4장에서는 일청수호조규의 정문규정에 초점을 맞춰 한문이 주도적 위치로 규정된 경위를 더듬고, 일청 쌍방의 초안(草案)에 대해서 분석함으로써 청조관료의 일본어 인식, 즉 한문과 일본어의 위치짓기가 어떠했는가에 대해 고찰한다.
제5장에는 청국초대주일공사단의 일본어 체험을 거론한다. 초대주일공사단의 일본어에 대한 관심과 통번역자 부족에 대한 고민을 통해 일본어 학교의 개설이라는 제안이 검토되는 상황과, 이 전개 속에서 내일(來日)한 외교관들의 일본어 인식, 그와 아울러 공사단(公使團)의 참찬(參贊)으로 근무한 황준헌(黃遵憲)의 일본어 연구와 일본어 가나에 대한 그의 인식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 일본이 서구열강과 달랐던 점은 무엇인가
위 다섯 장의 내용을 통해 우리는 청일 관계에 있어 다음과 같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청조는 국제상황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는 방식으로 끊임없이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속에서 청일관계의 맥락을 짚기 위해 염두에 두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청조의 대일외교에 대구미(對歐美)와는 달리 조공이념(중화사상)이 쌍방 암암리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이홍장 등의 양무파를 필두로 일본을 대등한 국가로 인식하는 대일관이 드러나기도 했지만 이 또한 일본을 ‘제한’하는 일면을 가지고 있었다.
1860년대 이후 청조와 서양 국가 사이에서 체결된 일부의 조약은 한문과 외국문 쌍방을 정문으로 간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와는 대조되게 일청수호조규에 있어서는, 청조는 처음부터 정문규정의 일본어 사용을 일본 측의 오만이라 비판했고 결국 한문 우위의 조규로 마무리되었다. 이 때문에 외국어학교에 일본어과가 설립되지 못했으며 일본어 학습자는 매우 적을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청국공사관 내에는 일본어통역의 부족이라는 문제가 발생했고 일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이를 실감한 공사들도 최종적으로는 경사동문관(京師同文館) 등의 외국어학교에 일본어과를 설치하자고 제안하지는 않았다. 우리는 이를 통해 청조가 기존의 화이사상에 입각한 구시대적 동아시아 질서를 여전히 완벽히 타자화하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다.
✍ 동아시아는 한자문화권인가
동아시아 아이덴티티를 둘러싼 강박을 해소하다
평소 우리는 대한민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문화권을 당연하게 한자문화권으로 엮어 언급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단순한 대입이 동아시아 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보여주고 있을까?
이 책은 당시 동아시아의 청조라는 시간적, 공간적 배경 속에 존재한 언어적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는 달리 이야기하면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얼마나 무리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명청조의 만어, 한문, 비한문 세계를 포괄하는 다양한 상호 접촉과 교류를 증명하는 1장의 서술만 보더라도 이는 자명하다. 5장에서 볼 수 있었던, 일본이 중국과 ‘동문’을 사용한다고 여겼지만 막상 일본의 서적을 전혀 읽을 수 없었던 청조 관료들의 당혹스러운 현실 또한 마찬가지다. 동아시아적 아이덴티티를 한자·한문에서 찾고자 하는, 난감하지만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시도와 부정확한 인식이 역사적 현실 및 언어적 사실과 얼마나 어긋나는 것인지를 이 책의 서술 속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동아시아 아이덴티티를 둘러싼 강박증을 해소할 계기를 마련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문화권에 대한 인식을 시공간적으로 한층 넓힐 수 있게 된다.
책속으로
P. 21
이처럼 근대중국의 대외관계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서양중심론’으로부터 ‘중국중심론’으로의 추이에 따라 연구대상이 청조와 조약국의 관계로부터 청조와 조공국의 관계로 확대되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1860년대에 조약국도 아니고 조공국도 아니었던 일본이 어떻게 위치지어졌는가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큰 과제이다... 더보기
P. 191
이홍장 등의 대일방침은 고정적이지 않고 변동적인 것이었음을 알았다. 또, 청조 측은 늘 장래(일본이 서양에 의존하는 것과 조공국 조선을 지키는 것)를 염두에 두고 그 방위대책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대일외교에서 주도권을 쥘 수 있었는데, 상황의 변화와 함께 일본의 자리매김이 ‘무조약상해통상국’에서 ‘장정국’, 나아가서는 ‘조규국... 더보기
P. 236
이홍장을 비롯한 양무파는 일본과 조약을 맺을 필요성을 인식하고 형식상에서는 청조와의 동격관계를 인정했지만, 일본어에 대해서는 한문과 동격관계를 인정하지 않았다.
P. 315
1860년대에 구미열강국과의 사이에서 상실된 한문의 우월성은 1870년대에 일본에 대해서 구해지고, 1890년대에 들어와 일본과의 사이에서 상실된 한문의 우월성이 이번에는 조선에 요청되었다고 파악할 수 있다.
저자, 역자 소개
지은이 옌리(閻立)
1968년 중국 북경에서 출생하였고, 남경대학(南京大學)을 졸업했다. 일본에 유학 후, 2004년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중일근대관계사이다. 2006년 오사카경제대학(大阪經濟大學)에 부임하였고, 현재 같은 대학 경제학과 교수이자 일본경제사연구소 소장이다.
옮긴이 최정섭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론
1. 이 책의 과제
2. 이 책의 구성과 개요
1장 청조의 다언어체제와 대외관계
1절 청조의 다언어병존구조
2절 조공체제에서의 대외관계와 언어학습
3절 조약체제와 외국어학교
2장 에도막부의 상해파견에 대한 청조의 대응
1절 센자이마루의 상해 내항
2절 겐쥰마루의 상해 내항
3절 나가사키 부교로부터 온 서간
3장 일청수호조규의 체결
1절 청조관료의 일본관
2절 ‘장정국’에서 ‘조규국’으로
4장 청조관료의 일본어인식-일청수호조규의 정문조규를 둘러싸고
1절 조약의 정문규정
2절 야나기와라 사키미쓰의 초안
3절 청국 측의 초안
4절 일청수호조규의 정문규정
5장 청국초대주일공사단과 일본어
1절 청말이전의 중국서적으로 보는 일본어
2절 초대주일외교관이 본 일본어
3절 초대주일공사단의 일본어통역
결론
후기
역자후기
옌리 지음ㅣ최정섭 번역ㅣ352쪽ㅣ
148*225ㅣ9788965457688ㅣ28,000원ㅣ2021년 12월 20일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
중국의 전통적 대외관계는 자국을 세계의 중심에 두고 그 바깥 지역에게 문명의 은혜를 내리는 화이사상을 바탕으로 주변국과 조공과 책봉의 관계로 의례화되었다. 그러나 1842년 영국과의 불평등 조약으로 알려진 남경조약(南京條約)을 시작으로 청조는 조약체제에 편입되었고, 한편으로는 종래의 조공체제를 유지하여 청조의 ‘이중외교’ 체제가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이 같은 흐름 속에서 1860년대 당시 조공국도 조약국도 아니었던 일본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자리매김했는가. 또 일본이 서구열강과 달랐던 점은 과연 무엇인가.
'산지니 책 > 아시아총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오키나와, 유구를 바라보다 -『유구 한문학』 (0) | 2022.05.09 |
---|---|
일본의 모순된 역사 인식, 그 근원을 살펴보다―『일본의 각성』책소개 (1) | 2021.12.29 |
기록으로 남은 16세기 아시아 노예무역, 『대항해시대의 일본인 노예』:: 책 소개 (0) | 2021.10.22 |
건륭제의 문화프로젝트『이미지 제국』(신간소개) (0) | 2021.03.09 |
[아시아총서37] '전후 일본'의 전쟁기억, 표상, 젠더 『망각된 역사, 왜곡된 기억, '조선인 위안부'』:: 책소개 (0) | 2020.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