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삼림2 두 정체성의 갈등과 충돌 _ 『사라진 홍콩』이 월간 조선 뉴스룸에 소개되었습니다. 우리에겐 영화 의 배경으로 유명한 홍콩. 가게에서 일하는 여주인공 뒤로 영화 OST인 이 흘러나올 때, 우리는 오묘함을 느낍니다.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공간, 누구도 누구에게 사상이나 이념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으며 선택하라고 강요받지 않는 공간 즉, 홍콩의 정체성이 느껴진달까요. 홍콩 특유의 '애매함'과 '남다름'은 국적을 불문하고 세계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홍콩을 매력적으로 느끼게 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으로의 주권 반환을 기점으로 홍콩인들은 자신들의 신분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었고, 더 이상 '애매한 공간에 머무르지 않겠다'는 의지가 점점 강해졌습니다. 중국 국가주의와 민족주의 의식으로 철저하게 무장된 중국인, 영국식 자유를 맛보고 스스로 ‘영국인’이라고 생각한 홍콩인의 갈등은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그.. 2025. 4. 8. 왕가위, 발 없는 새를 위하여 왕가위, 발 없는 새를 위하여 왕가위, 그의 영화를 봤던 사람이라면, 일명 왕가위 영화라 불리는 그의 영화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게 나뉜다. 지루한 스타일을 참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그의 이를을 듣자마자 거부 반응을 보일 것이며, 애잔한 스토리와 아름다운 화면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그와는 정반대일 것이다. 이렇게 세상은 왕가위 영화를 싫어하는 사람과 왕가위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양분된다. 그리고 나의 경우는 후자라고 할 수 있다. 어렸을 때는 참 사소한 것들 가지고도 상처를 받곤 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타인은 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일까. 항상 친구라는 이름으로 함께 하는 이들에게도 같은 취향을 가지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소통할 수 없는 현실에 답답해하던, 그런 시절이 있었다. 그 후 좀더 자라서야.. 2012. 11.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