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 구모룡 교수의 최신작은 시 평론집『은유를 넘어서』입니다.
"많은 시인들은 필생의 과업을 은유로 생각한다"고 시인(!)하는 이로써
이런 제목의 책을 낸 데에는 어떤 배경이 있을까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지난 화요일에 열렸던 저자와의 만남에서 탐색해 볼 수 있었습니다.
바야흐로 장미의 계절. 지인분들께서 축하 화환도 준비해주셨어요.
행사 전 주부터 메르스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있어
행사를 진행해도 될지 걱정스러웠지만, 많은 분들께서 참석하셨습니다 :)
이 날 행사는 『은유를 넘어서』에 등장하는 작가 최정란 시인과
『문학을 탐하다』의 저자인 최학림 부산일보 기자와의 대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최정란 시인은 "시와 시인 자체가 소통이 되지 않고, 또 시와 독자가 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시와 독자가 소통되지 않는 그 이면에 평론가의 역할이 있지 않은가" 생각한다며 대담을 여셨습니다. 또 구모룡 교수가 '미래파'와 '극서정시'라는 두 극단이 아닌 그 사이에 있어 평론가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시들을 다루고 있는 점에 주목하셨습니다.
이에 구모룡 평론가는 "양끝만 보이는" 진자운동이 아니라 "이 사이에 무수한 궤적들"이 있기에 그 "구체적인 궤적들을 추적"하고자 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최학림 기자는 구 교수의 글에서 "은유의 도서관에서 나와 진실 속으로 나아가자. 시쓰기는 자신의 바깥으로 나가는 과정이다"라는 부분을 인용하며 제목의 의미에 대해 물으셨는데요.
구모룡 평론가는 "영어로 하면 실존이란 existence입니다. 그런데 existence의 ex가 바깥이란 듯이거든요. 실존은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 있는 것입니다."라며 말문을 트셨습니다.
아래에 이어지는 답변에서 '은유를 넘어선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을까요?
"사실 언어가 은유죠. 그런데 많은 이론가들이 시는 은유라 말하거든요. 실존의 욕구라는 것은 외부기 때문에 들어가기 위해서 바깥의 사물에 대해 은유를 만들어냅니다. 그런데 이건 어떻게 보면 굉장한 동일성의 확대재생산일 수 있다는 거죠.
은유를 넘어선다는 건 단지 언어의 차원이 아닙니다. 주체의 문제인데, 서정시인이 가장 먼저 극복해야될 게 나르시시즘입니다. 시인이 자기 이야기 속에 갇혀 있으면 안됩니다."
이에 대해 최정란 시인이 "나약한 시인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가"며 웃자
구모룡 평론가는 "시인은 나약하지 않다"며
오히려 "자기만의 고통이 아니고 타자들의 고통"에 대해 말하는 시로 나아가기를 바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리얼리즘 시과 서정시, 일상시와 정치시, 생태시 등 여러 구분을 넘어서
그동안 많은 시인들은 우리 사회에서 '잠수함의 토끼' 역할을 해 왔습니다.
용산 참사에서 4대강 사업, 세월호 사건까지,
시인들의 방식으로 낮은 곳에서, 약한 이들과 함께해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두운 시대에 '문학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묻고
시와 시인에게 세상을 변화하기를 주문하는 것은, 그만큼
시의 힘을 믿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은유를 넘는 것 또한 어려운 일이겠지만
시, 그리고 시인이 전혀 '나약하지 않다'고 믿는 이에게서 오는 부탁이자
함께하겠다는 약속이지 않을까요?
참석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자와의 만남 |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시작하는 끝』조갑상 작가와 함께한 문학 톡! 톡! 현장을 다녀오다! (2) | 2015.07.31 |
---|---|
다들 퇴근하고 뭐하시나요? - 시민과 함께하는 문학 톡!톡! (2) | 2015.07.24 |
『폐교, 문화로 열리다』출간 기념 저자와의 만남 현장 답사기 (0) | 2015.06.11 |
함께 읽는 시의 느낌 :: 구덕도서관 최영철 시인 초청 강연회 (1) | 2015.06.05 |
『폐교, 문화로 열리다』의 저자 백현충 기자님과의 만남에 초대합니다. (0) | 2015.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