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 사태와 문학권력 논란 여파로 비평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가운데 오길영(왼쪽)과 서영인의 신작 평론집은 비평의 위의를 지키고자 하는 고투를 보여준다.
표절사태가 부른 비평 위기론
공감 가장한 정실비평이 문제
회의와 불신 속에서 희망 찾기
공감 가장한 정실비평이 문제
회의와 불신 속에서 희망 찾기
오길영 지음/산지니·2만5000원문학의 불안
서영인 지음/실천문학사·2만원“요즘 신인들의 글을 보면 다들 너무 똑똑하다. 이미 문단에 나올 때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느낌이다. 어떻게 써야 등단을 하고 어떻게 써야 문학상을 받는지 영악하게 알고 있다. (…) 결국 선생님들의 시선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뜻이다. 그 시스템이 반백 년 넘게 문단을 지배하고 있다.”“당신은 작가가 먹고살기 위해선 선생님들이 사라져야 한다고 말한다. (…) 당신이 은밀하게 감추고 싶어하는 현실, 그건 그 세계에서도 여전히 누군가는 어떤 방식으로든 평가하고 분류하고 선택과 배제를 계속하리란 사실이다. 그 시스템에서 당신 마음에 들지 않는 자는 당신의 분류법으로 ‘선생님’이다.”앞의 인용은 작가 천명관이 격월간 문학잡지 <악스트> 창간호(7·8월호)와 인터뷰에서 한 말이고, 뒤의 것은 평론가 손종업 선문대 교수가 <근대서지> 2015년 상반기호에서 천명관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쓴 글이다. ‘선생님’이라 일컬어지는 문학평론가의 역할과 존재 의미에 대한 생각이 판이하게 다르다.신경숙 표절 사태의 여파로 비평에 대한 회의와 불신이 팽배한 가운데 그래도 비평의 위의를 지키고자 하는 비평집 두권이 반갑다. 저자들은 최근의 표절 및 문학권력 논란 한가운데에서 자주 이름이 오르내렸던 이들이다.오길영의 평론집 <힘의 포획>은 “지금 비평은 거의 대부분 ‘칭찬’의 비평”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비평(criticism)은 곧 비판(critique)”이라는 것이 그의 믿음이다. ‘공감의 비평’으로 포장된 정실비평과 주례사비평에 그는 비판적이다. 2010년에 쓴 ‘베스트셀러와 비평의 위기-신경숙론’은 지난 한달여 한국 문단을 달군 표절과 문학권력 논란을 예견하기라도 한 것처럼 읽힌다. 신경숙의 두 소설 <엄마를 부탁해>와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는 “두 작품 모두 나는 실망스럽다고 느꼈다”며 “신경숙은 (…) 이제 대중문학으로 완연하게 넘어갔다”고 쓴다. “아름답게 포장된 미문의 감상주의” “주인공들의 삶, 고통 속으로 작가의 시선이 깊이 들어가지 못하고 표면만을 그린다”는 것이 그 근거다.더 큰 문제는 이 작품들에 대한 평론가들의 평이다.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이던 임규찬은 <전화벨>을 가리켜 “‘청춘’이라는 식상하기 쉬운 소재에 남다른 소설적 육체와 창조적 생기를 불어넣”었다고 평했고, <문학동네> 편집위원인 신형철은 <엄마를 부탁해>를 두고 “한국 특유의 가부장제 가족구조가 근대화, 산업화 과정과 만나면서 어머니라는 존재의 고유한 내면성을 말소해온 맥락과 그 결과를 냉정하게 반영”했다고 상찬했다. 그러나 오길영이 보기에 <전화벨>은 “소설의 구조를 지탱하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입체적이지 못하고 작가의 감상적 세계인식을 전달하는 도구에 머”무르며 <엄마를…>은 “모성에 대한 어떤 새로운 인식도 독자에게 주지 않는다.” 안목 있는 비평가로 생각해 온 두 사람이 이런 글을 쓴 까닭을 그는 “작품 외적인 데”에서 찾는다. 출판상업주의에 대한 평론가의 종속이다.서영인은 <문학의 불안> 서문에서 “상품으로서의 문학작품과 문학주의라는 이율배반 그리고 비평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밝힌다. 오길영과 마찬가지로 비평의 무기력 또는 일탈이 문학의 위기를 부추긴다는 판단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의 근거를 찾으려는 노력이 가상하다. 2000년대 젊은 작가들 소설에서 압도적 경향으로 자리잡은 ‘환상’에 대해 그는 이해는 하면서도 아쉬움을 표한다. 현실을 직시하는 대신 우회적·간접적 방식으로 접근하려는 이 태도가 “문학의 다양성이나 현실의 탐구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치명적인 퇴행이 되는 것은 아닐까.” 쌍용자동차 문제를 파고든 르포 <의자놀이> 그리고 사형문제를 다룬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의 작가 공지영을 두고 “사회성과 대중성의 미묘한 접점에 서서 그 가치와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평하는 데에서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놓지 않으려는 안간힘이 느껴진다.
최재봉 | 한겨레신문 | 2015-07-23
힘의 포획 - 오길영 지음/산지니 |
'기타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말라야는 나이를 묻지 않는다' 에세이집 발간 산악인 이상배 씨 (부산일보) (1) | 2015.07.28 |
---|---|
첫 소설처럼 '다시 시작하는 끝'에 선 작가 (국제신문) (0) | 2015.07.28 |
빼앗긴 사람들의 이야기- 아시아 개발 속 희생된 사람들 알려 (여성신문) (1) | 2015.07.17 |
'2015 원북원부산 선정 작가' 최영철 시인 "꿈꾸는 시인이 없다면 세상은 너무 삭막하지 않을까요?" (부산일보) (0) | 2015.07.17 |
"끝에서 다시 피어나는 소설의 시작"…'다시 시작하는 끝' (뉴시스) (1) | 2015.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