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 2018년의 마지막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이 있었습니다.
『우리들,킴』의 저자 황은덕 작가와의 만남으로 시작한 2018년 저자와의 만남이
한 해동안 부지런히 달려 어느새 89회가 되었습니다.
소설로 열었던 2018년을 소설로 마무리하게 되었네요.
2018년 저자와의 만남 대미를 장식해주신 저자는 바로,
『방마다 문이 열리고』의 최시은 작가님입니다.
성탄절과 연말을 앞두고 모두가 분주했던 가운데,
많은 분이 작가님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자리를 채워주셨습니다.
아쉽게 참석하지 못한 여러분들을 위해 그날의 후끈후끈했던 이야기를 지금, 공개합니다!
행사가 시작되기 전, 진행에 관해 이야기 나누시는 최시은 작가님과 김대성 문학 평론가님.
-김대성 문학 평론가(이하 김)
첫 책 『방마다 문이 열리고』를 내신 소회가 궁금합니다.
-최시은 작가(이하 최)
저는 사실 작가라는 말이 아직 익숙하지 않아요. 최시은은 필명인데, 아직 동료들이 필명을 부르면 생소합니다.
집에 도착한 책을 쌓아놓고 한참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마치 늦둥이를 낳은 기분이랄까요? 애비 없는 늦둥이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저게 어디서 왔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요. 교정 과정에서 글을 계속 보다 보니까 늦둥이인데 보기 싫은 늦둥이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하지만 지인들에게 어떤 반응을 얻을까, 하고 설레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작가라는 말이 아직 익숙하지 않고 아직은 붕 떠 있는 기분입니다.
-김 │제가 빚을 내서 아파트를 사고 입주해서 밤에 거실을 가만히 보고 있으니까, 어리벙벙하더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아요. 책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그런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있는 것 같아요. 그 감정이 글 쓰는 이가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감정이자 특권적인 감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최 │ 특권적인 건 아닌데? (웃음)
특별하고 낯선 감정이 맞는 것 같아요.
잘 됐든 못 됐든 오랜 시간에 걸쳐서 책을 냈다는 게 뿌듯한 느낌도 있어요.
-김 │ 특권적이라는 말은 실언은 아니었고요. 왜냐하면, 글을 쓰는 사람들은 보상받을 길이 많이 없거든요. 주위에서는 뭐길래 그렇게 열심히 하느냐... 라고 말하기도 하고.
그런 조건 속에서 글을 쓰고 결국 책으로까지 엮어냈을 때, 외부에서 보상받지 못하지만 그 감정이 특권적이라고 생각했어요.
-최 │ 작가로서 책을 내고 느끼는 뿌듯한 감정을 특권이라고 표현하셨다면, 네. 특권적인 감정 맞습니다.
-김 │8년 전, 5년 전에 써두신 소설을 다시 엮으며 문장을 고치고 덧붙이고 빼는 과정에서 느꼈던 감정이 궁금합니다. 책을 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공부의 시간이었을 것 같은데요.
-최 │소설 「잔지바르의 아이들」이 그 경우에 해당할 것 같아요. 써 놓고 한참을 넣어둔 작품이에요. 출판사에 원고를 넘기며 다시 소설을 보았을 때, 너무 가슴이 아팠습니다. 일주일을 교정을 보며 헤맸어요. 경향신문의 짧은 기사를 가지고 소설을 만든 것인데, 기사 속 여자를 볼 때 마음이 참 안되었어요.
죗값을 치른다는 것이 어떤 것일까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봤어요. 소설 속 남자에게 감옥에 있는 것은 죗값을 치르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내가 생각했을 때 죗값을 치르는 것은 감옥에서 나와서 가족을 제대로 부양하는 것이었죠.
소설은 질문의 형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답을 주는 소설은 재미가 없죠. 「잔지바르의 아이들」이 소설적으로 썩 훌륭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그 안에 질문이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김 │소설집 중에서 마음에 들고 뿌듯함을 느낀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최 │일곱 편 중 두세 편이 마음에 들어요. 소설적 완성도 면에서는「누에」가 마음에 들어요. 3인칭 관찰자 시점이라 모든 것을 다 설명해줘야 했기 때문에 집필할 때 힘들었어요. 전자발찌를 찬 30대 남성의 심리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사실 경찰서를 통해서 실제 성폭행범을 만나 보려고 하기도 했는데 쉽지는 않더라고요.
-김 │소설집 제목이 '방마다 문이 열리고'인데요. 이 구절이 수록 작품「누에」에서 따 오신 거로 압니다. 이 표제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최 │소설적 상황을 보자면 '문이 열리기 전'에는 엄마가 아파서 집에 누워 있죠. 엄마에게 필요한 건 아버지이고, 아버지에게 필요한 건 그 여자입니다. 아버지가 그 여자를 데리고 집에 왔습니다. 아버지로 인해 엄마는 생기를 얻고, 집에도 생기가 돕니다.
아버지가 옴으로 방에 문이 열리고, 봄이 와서 산벚꽃이 피듯 집에 봄이 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자가 수동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시대에는 그런 엄마들도 분명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김 │이 소설의 남성들이 굉장히 전형화되어 있습니다. 성적인 본능에 충실한 모습으로 말이죠.
젠더의 위계가 전형화되어 있는데, 이는 작가가 의도하고 쓰신 것이라고 보입니다.
이 문제는 앞으로 이 소설을 이야기할 때 계속 언급이 되고 쟁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 │ 그러게요. 왜 그럴까요. 왜 남자를 그렇게 그렸을까요... (웃음)
-김 │ 왜 인물들을 이렇게 그렸어야 했는가를 이야기해보자면, 인물들이 대부분 도시 빈민이에요. 생존이 최우선인 삶의 조건에서 가치 있는 행위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요즘 통념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이 처한 삶의 조건을 이해하면서 인물의 행동을 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최 │페미니즘이 많이 언급되는 이 시대에 제 소설 속 캐릭터는 낡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알고는 있지만 어쩔 수 없이 밥 때문에, 먹고 사는 문제 때문에, 그렇게 살 수밖에 없는 여성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상황을 직접 목격도 했고, 그런 상황을 보며 눈물이 날 때도 많았어요.
-김 │ 소설 속 아버지, 남편, 아들, 애인 등 남성들은 성적대상으로 여성을 욕망하는 데 집중하고 있고, 여성들은 존중받지 못하는 돌봄 노동 속에서 학대당하고 폭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여성들은 그런 남성들에게 사랑을 갈구하고 있지요. 젠더적 위계성이 굉장히 도식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 │글이라는 것은 내 의식의 반영입니다. 두 번째, 세 번째 소설에서는 조금 다른 여성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독자 질문│제가 「환불」을 읽었는데, 작가가 독자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애매모호했습니다. 작가의 의도를 듣고 싶습니다.
-최 │ 이것은 밥 이야기입니다. 밥 먹는 이야기이자, 밥 먹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제 의도는 그렇습니다.
-김 │ 소설 속 '수진'이라는 인물을 묘사할 때 ‘헤픈 육체’라 표현을 쓰셨는데, 전체 소설집 중 수진이라는 등장인물이 가장 자유로운 인물이라고 생각해요.
-최 │ 그 말을 듣고 보니 그렇네요. 수진에게 다시 찾아가 봐야겠습니다. (웃음)
-김 │작가도 계속 공부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설을 쓰고 책을 내는 것은 작가 자신을 성숙하게 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요. 이후에 작가님 소설 속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관계 맺게 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최 │ 소설 쓰면서 인간 됐다는 말 많이 해요. 작가일 때와 독자일 때가 참 다르더라고요. 소설을 쓰면서 자유로워졌어요. 내가 인간이 되었다는 것에 보람을 느낍니다.
어떻게 하면 좀 잘 쓰고 제대로 된 작품을 쓸까 고민하고 있고요. 쓰고 있는 장편이 잘 되면 좋겠습니다.
-김 │소설 속 인물들도 인간이 되어가면 좋겠습니다. 소설 속 인물들이 너무 고착되어 있어서 좀 안타까웠습니다. 작가님이 자유로워졌듯이, 작품 속 인물들도 자유로워지면 좋겠습니다.
-최 │그 사람들이 인간이 되면 소설이 될까요? (웃음)
-김 │ 인물들을 잘 보내주는 것도 작가의 몫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질문 │요리가 작품마다 중요하게 나오는데요. 작가가 일상생활에서 요리로 치유를 받은 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최 │요리를 먹으면서 위로가 많이 받습니다. 저는 술을 좋아해요. 혼술도 좋아하고요.
머릿속에 떠오르는 메뉴를 만들어서 먹으면 내가 치유가 돼요.
작품 속에 고등어탕이 나옵니다. 엄마가 해준 고등어탕을 먹으면 모든 근심이 사라질 것 같아요. 요리가 인간의 상처를 치유하는 능력이 굉장히 크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제가 요리를 잘하기도 합니다. (웃음)
-김 │첫 번째 소설을 내시는 것이 제목과도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작가가 닫힌 문을 열고 나오는 거라면, 방을 나온 작가와 인물이 어디로 가는지 지켜봐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최 │네, 늘 잘 쓰려고 머릿속에서 소설이 떠나지 않죠.
그런데, 앞으로 어떤 소설을 쓰고 싶은지는 안 물어보시나요? (웃음)
어느 행사에 가니까 마지막에 물어보시길래 준비해왔는데...
저는 쥐스킨트의 『향수』를 너무 좋아해요. 제가 지향하는 것은 장르와 정통문학을 결부시켜 잔인하면서 슬프고도 아름다운 작품을 쓰는 거예요.
그렇게 신들린 것처럼 쓰는 것은 힘들겠지만 그게 제 목표입니다.
한 해 동안 열심히 달려왔던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이 이렇게 마무리되었습니다.
2019년의 첫 번째 저자와의 만남은 창작동화 『해오리 바다의 비밀』과 함께 시작합니다.
[행사 알림] 90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 http://sanzinibook.tistory.com/2663
조미형, 박경효 작가님과의 만남에 많은 분들 참석 기다리겠습니다. :)
모두 따듯한 성탄절 보내세요!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방마다 문이 열리고 - 최시은 지음/산지니 |
(10% 할인, 3권 이상 주문시 택배비 무료)
'저자와의 만남 |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는 쓰레기통이 아니야!" 환경 동화『해오리 바다의 비밀』조미형 & 박경효 작가와의 만남 (2) | 2019.01.08 |
---|---|
[행사 알림]90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조미형/박경효 작가) (0) | 2019.01.03 |
[행사알림] 89회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 『방마다 문이 열리고』최시은 저자 (0) | 2018.12.20 |
행동하는 도시사회학자, 故 윤일성 교수님을 추억하다 (4) | 2018.12.05 |
[출판도시 인문학당]『부산 탐식 프로젝트』의 최원준 작가님과의 만남 (0) | 2018.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