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자와의 만남 | 이벤트

오늘의 비평에 대한 성찰 -『폐허의 푸른빛』 구모룡 평론가와의 만남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9. 12. 13.

 

지난 12월 5일, 산지니 2019년 마지막 저자와의 만남 시간에는

구모룡 평론가와의 따뜻한 만남이 있었습니다.

추운 날인데도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는데요,

특히 지역 문단의 시인과 소설가분들이 많이 와주셔서

문인들의 사랑방이 된 것 같았답니다. :)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함께 보실까요?

 

 

구모룡 평론가(이하 구):

비평가로서 제 비평의 길을 돌아보자면, 가장 노력했던 시기가 1980년대였던 것 같습니다. 1980년대는 시와 소설을 쓰는 친구들과 같이 어울리고 활동하면서 얻은 게 굉장히 많은 시기였습니다. 전두환 체제 속 서정시가 좌절된 시대에 새로운 서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최영철 시인, 정일근 시인과 함께 ‘신서정’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나름대로 낭만적으로, 혁명적으로 개념을 새로 쓰는 노력을 했습니다. 이때의 일들은 곁에 시 쓰는 좋은 친구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1990년대에 와서는 대학교수가 되고, 비평가로서 게을러졌습니다. 문학과 멀어진 동아시아지역학과에 있다 보니 비평가로서 제대로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반성도 해봅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후반까지는 특별히 80년대처럼 열정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만든다든가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모든 이론가가 마찬가지이겠지만 저는 비평가는 새로운 개념을 만드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시대에 맞추어서 뭔가 이야기를 하고 제시를 해줄 수 있는 사람 말입니다. 요새 와서 그런 역할을 하기에 많이 늦었다고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이제부터 제대로 해야겠다는 생각도 합니다. 나이 육십이 되어서 철이 든 것 같습니다. (웃음)

그런 활동 중 하나가 올해 산지니x공간에서 ‘월요일에 만나는 문학과 비평’을 5회 진행했다는 것입니다. 11월, 12월은 쉬었지만, 내년 1월부터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아직은 시인 소설가분들을 모시고 그분들의 문학을 같이 이야기하는 정도라 미흡하다고 생각되어, 내년에는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무엇이 있어야 되겠다는 생각도 합니다.

 

 

구: 한국 문학이 세계로 나아간다고 하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문학은 침체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지역문학은 더욱 침체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외적인 상황이 문학을 힘들게 만든 건 틀림없지만, 우리 문인들이 그것을 핑계 삼아 더 안일해진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오히려 문학은 더 악조건 속에서 나올 수 있는 게 아닐까요?

어차피 뉴미디어 시대에 글로서 무언가를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인문학을 통해 생산된 것들은 미디어를 통해 전시 효과만 상승되고, 정말 진정한 문학을 추구하지 못한다는 것이 뉴미디어 시대의 폐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시대적 이유를 핑계 삼기보다는 맞서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구: 시인과 소설가는 본인의 삶을 살면서도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삶을 꿈꾸는 사람입니다. 다른 자아를 내세워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소설가와 시인은 같은 길을 가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각각 은유, 허구를 통해서 만들어간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근본적인 지향은 같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소설가들이 시를 계기로 소설을 쓰기도 하고요. 두 직군이 문학이라는 큰 틀 안에서 서로 오가는데 단절된 부분도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런 부분도 우리 문학을 후퇴시키는 장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구: 대학교 1학년 때 소설가분이 특강을 와서 했던 말이 기억이 납니다. 본인은 소설을 논문 쓰듯이 쓴다고 하셨어요. 지금 상황이라면 뉘앙스가 좀 다르겠네요. 그 당시 논문은 굉장히 엄격하고 완벽한 것이라고 여겨졌거든요. (웃음)

그분 말씀의 요지는 그만큼 완벽한 계획하에 집필해서 완성품을 내놓는다는 뜻이었습니다.그런데 요즘 소설들, 특히 중단편을 보면 그 정도까지 고민을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디지털, 인터넷 시대에 독자가 책을 안 읽는다고 해서 그것에 맞추어 소설과 시가 더 짧아진다면 그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하는 질문을 해봅니다.

최근에 미국 소설가 ‘리사 시’가 쓴 <해녀들의 섬>이라는 제주 해녀와 관련된 600쪽짜리 소설을 읽었습니다. 읽고 나서 정말 놀랐습니다. 소설 한 편을 쓰는데 엄청난 공부를 했더라고요. 제주도에도 직접 몇 번이나 방문해서 해녀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한국 사람이 쓴 해녀 관련 소설보다도 더 자세하게 담겨 있었습니다.

산지니에서 번역된 스위스 작가 아네테 훅의 소설 <빌헬름 텔 인 마닐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소설을 쓰기 위해 마닐라에 체류하면 필리핀 타갈로그어도 공부하고, 역사도 공부하고, 그렇게 노력해서 한 권의 책을 집필했습니다.

디지털 시대이지만 이렇게 노력해서 집필되는 소설도 많습니다. 문제는 시든 소설이든 정말 자기세계를 만들고자 하는 분투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그런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문학의 자리는 갈수록 더 힘들어질 것입니다. 세상이 그러하듯이요. 힘든 것을 회피하려 하면 오히려 좋은 문학이 안 나오기 때문에, 정면으로 부딪히고 죽자 살자 작품에 매달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일정 선에서 멈추면, 결국에는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 책 제목에 ‘폐허’라는 단어를 넣었습니다. 저녁에 특히 세상이 폐허 같다는 생각도 부쩍 하거든요. 하지만 아침에 일어나 비치는 '푸른빛'을 보면 다시 세상이 살아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구: 산지니 저자와의 만남 1회를 함께 했는데 어느덧 103회에서 제가 작가가 되어 참석하게 되었네요. 감회가 새롭습니다.

앞으로 사람이 얼마나 모였니 하는 ‘행사’ 보다도 심도 있는 문학 ‘토론’을 하는 자리를 만들어서, 서너 명이 모일지라도 같이 책 읽고, 토론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이 공간이 잘 활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폐허의 푸른빛』을 내고 평론을 그만할까 생각도 했는데, 요새 와서 우리 가까이에 있는 시인, 소설가들 작품을 더 열심히 읽고, 제대로 이야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시인, 소설가님들을 우러러보면서 작품을 존경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읽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혹시 제가 오늘 조금 건방을 떨었다면 이어지는 송년회 자리에서 술로 해결을 해주시기 바랍니다.(웃음) 감사합니다.

 

참석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 ♡

 

 

저자와의 만남을 마치고 송년회 자리로 이동해 또 한참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었답니다. 저 역시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 )

다음 저자와의 만남은 『팔팔 끓고 나서 4분간』을 쓴 정우련 소설가와 함께합니다.

그럼 2020년에 돌아오겠습니다. 모두 따뜻한 연말 보내세요 ~

 

폐허의 푸른빛 

구모룡 지음 | 472 | 25,000원 | 2019년 930일

 978-89-6545-629-2 03810 | 신국판(152*225)

여러 권의 비평서를 출간하며 ‘지방-지역-세계’라는 중층적 인식 아래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온 구모룡 평론가의 새로운 평론집이다. 저자는 “문학도 비평도 이미 자본의 제단에 바쳐진 희생물에 불과하고, 한갓 유희로 빠지지 않고 여린 진정성에 기대면서 폐허의 시간을 버텨내는 일이 시가 된 지 오래”라고 말한다. 오늘의 문학과 비평은 이와 같은 역설의 시간에 처했지만, 저자는 결코 ‘평론’하는 것에 대한 좌절과 무너짐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문학의 가치를 품고 키웠던 건 폐허의 시간이었다고 말하며, ‘푸른빛’을 띤 문학과 비평의 희망과 가능성을 주지한다.

 

폐허의 푸른빛 - 10점
구모룡 지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