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

[서평] 잘못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또다른 잘못을 저지르는 게 혁명이라면 _김유철, 『레드 아일랜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 4. 3.

    잘못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또다른 잘못을 저지르는 게 혁명이라면 

김유철, 레드 아일랜드 


인턴 최예빈_


어김없이 올해도 4월이 돌아왔습니다. 바깥에선 봄기운이 일렁거리는데, 한국의 4월은 추운 기억이 많은 달입니다. 

오늘은 4월 3일, 제주 4.3 희생자 추념일입니다. 4.3을 맞아 김유철 작가의 소설, 『레드 아일랜드』를 읽어봅니다. 



제주 4.3 사건의 전말은 이렇습니다.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식에서 기마경찰의 말굽에 어린 아이가 다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어린 아이를 치고도 사과 없이 떠나는 경찰의 태도에 군중들은 돌을 던지며 경찰을 쫓아갔고, 이를 경찰서 습격으로 오인한 경찰이 총을 발포하여 6명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집니다. 

사망자 6명 중에는 당시 11살에 불과했던 어린 아이도 있었으며, 이에 격분한 주민들은 3월 10일 총파업에 돌입합니다. 이 총파업은 제주 내 관공서와 통신기관, 자영업자, 기업인, 학교, 경찰 등 166개 단체와 4만 1200여명이 참여한 대규모 민관 총파업으로 당시 제주도민 대부분이 파업에 참가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파업에 남로당 제주도당이 조직적으로 참여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미군정은 "경찰의 발포로 도민 반감이 고조된 것을 남로당 제주조직이 선동해 증폭시켰다. 제주 인구의 70%가 좌익 동조자다." 라는 너무나 비약적인 결론을 내립니다. 

결국 미군정은 좌익색출이라는 미명 아래 경찰과 서북청년단(이하 서청) 등 극우 조직을 동원하여 끔찍한 제주 탄압의 서막을 열게 됩니다. 특히 서청에 의한 불법 학살과 폭력이 심각했고, 이어지는 폭력과 고문 아래 4월 3일 새벽, 남로당 제주도당의 주도 아래 무장봉기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들은 경찰과 서청의 탄압 중지와 남한의 단독선거 반대, 통일정부 수립 촉구 등의 슬로건을 내걸었고, 제주도 내 12개 경찰지서와 우익단체를 공격하여 경찰과 우익인사 12명 사망이라는 결과에 이르게 됩니다. 

서청과 경찰은 이 무장봉기로 인해 더 적극적으로 '좌익색출'에 나섰고, 애꿏은 도민들이 계속해서 희생되는 가운데 4월 28일, 김익렬 연대장과 무장대 총책 김달삼의 평화협상이 이루어집니다. 

합의 내용은 72시간 내 전투완전중지, 점차적 무장대 무장 해제, 주모자 신변보장, 무장대 귀순절차 마련 등으로 협상대로라면 더이상의 희생자 없이 사건이 종결되었어야 하지만, 5월 1일 서북청년단에 의한 '제주읍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으로 협상은 수포로 돌아가게 됩니다.

5월 5일 미군정 제주도사태관련회의가 개최되지만, 미군정은 협상파인 김익렬 연대장을 해임하고 박진경 연대장을 부임시킴으로써 사실상 학살을 방조하고 부추기는 결정을 내립니다. 

5월 10일, 선거구 3개 중 2개에서 과반수 미달로 투표가 무효처리되면서 제주도는 남한 유일 선거 거부지역이 되었고, 10월 19일에는 여수에 주둔한 제 14연대 병사들이 제주징발명령을 거부하고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 미군 철수를 주장하는 여순사건이 발발합니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겁먹은 남한정부로 하여금 초토화작전과 계엄령을 진행하게 하는 구실이 되었습니다. 

11월 17일, 이승만 대통령은 제주에 계엄령을 선포하였고, 계엄령 이후 본격적인 양민학살이 시작됩니다. 서북청년단 1천명 이상이 경찰 제복을 입고 진압작전 한복판에 나섰고, '해안선에서 5km이외 지점 및 산악지대를 무허가로 통행한 사람은 모두 폭도로 간주, 무차별 총살하겠다'는 초토화 작전이 전개됩니다. 

4개월간 100여개 마을에서 방화와 총살로 1만여 명이 집단 살상되었으며, 7년이 지난 1954년이 되어서야 한라산 금족령이 해제되면서 사건은 마무리 됩니다. 희생자는 약 3만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제주인구의 10%로 10살 이하의 희생자가 772명, 11~20살이 2464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아름다운 제주의 바다 


『레드 아일랜드』는 바로 이 제주 4.3을 다룬 소설입니다. 

인상깊은 구절을 옮겨 봅니다.


 한석희와 사찰주임의 이야기를 듣던 인선에게는 여전히 누가 좋고 나쁜 사람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 형제처럼 지내던 사람들이 어느 순간 산으로 올라가거나 사람 목숨을 앗아가기도 하고 도민들을 보호해야 할 경찰과 군인들 역시 마음대로 사람을 잡아가거나 죽이고 있는 것이다. 살인을 저지를 만큼 서로가 서로를 증오하는 이유를 그녀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좌익이든 우익이든―그 구분을 어떻게 하는지는 몰라도다같이 모여 살면 그만인 것을 모두가 행복하게 잘 살자고 만든 것이 법이고 정치고 사상이라는 것일 텐데 오히려 그것이 사람들을 불행하게 만들고 있는 거라고 그녀는 생각한다. 


작가의 말처럼, 『레드 아일랜드』에 나오는 인물들은 대부분 전형성을 띠고 있습니다. 기회주의자에 자본가의 전형이었던 김종일, 친일지주계급의 지식인으로 모순된 현실에 비판적이었지만 결국 체제에 순응하고 마는 김헌일, 노비로 태어나 혁명을 꿈꿨던 민중 방만식, 순박하고 선량했던 제주의 민초들. 전형적이기에 등장인물들이 당시 사람들을 잘 대변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인상 깊었던 대목은 경찰들에게 좌익세력으로 지목받고 수용소에 끌려간 김헌일과 장준오(기자)의 대화였습니다.



"김 형도 내 말 명심하시오. 절대로 자신을 벌레처럼 생각해선 안된다는 걸. 무슨 짓을 당하더라도 자신이 누구라는 사실을 결코 잊어버려선 안된다는 걸 말이오."

"무슨 짓을 당하더라도....... 말입니까?"

김헌일이 장준오와 시선을 마주치며 묻는다. 기자는 백열전구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대답한다.

"어디든 희망이란 있는 법이니까."

(생략)

김헌일은 애써 자신의 이름을 마음 속으로 외쳐본다. 난 김헌일이다. 난 지은 죄가 없다. 여기서 살아 나가 아내와 성진을 돌봐야 한다. 그러나 그는 곧 절망감에 빠져든다. 다시 취조실에 끌려간다면 도저히 견뎌낼 재간이 없을 거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없는 죄까지 고백하고 총살을 당하는 게 어쩌면 행복한 일일지도 모른다.



김유철 작가는 소설을 쓸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이 1948년의 제주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글을 쓰는 내내 자신을 절망스럽게 만들었다고 고백합니다. 

현실은 녹록치 않고, 희망은 너무나 쉽게 폐기되곤 합니다. 

해방 이후 일본군이 철수하면 모두 행복해질 거라 믿었던 사람들이 메카시즘의 광풍을 마주했을 때 느꼈을 절망은 감히 예측하기도 힘이 듭니다.  그러나 아픈 역사를 기억하는 활동을 저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나가고, 책으로 남기고, 그 책들을 꾸준히 찾아 읽으며 타인의 슬픔에 대한 공부를 멈추지 않는 이 모든 의지들이 우리 사회를 조금 더 양지 바른 곳으로 견인하지 않을까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되고, 옳고 그름에 대한 게으른 사유가 참혹한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어쩐지 아렌트가 떠오르기도 하는 책이었습니다.  

4.3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레드 아일랜드 - 10점
김유철 지음/산지니

책 주문하기 >> https://goo.gl/cUJW3o

*산지니 출판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10% 할인, 3권 이상 주문시 택배비 무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