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인문

그의 음악을 들으면 모두 '바그네리안'이 되고 만다 _『바그너 읽기』:: 책소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3. 18.

 

바그너 읽기

트리스탄, 장인가수, 파르지팔

 

 

 

광활한 바그너 작품 세계,

든든한 초행길 파트너가 되어줄 바그너 안내서!

 

유미주의자부터 군국주의자까지,

그의 음악을 들으면 모두 '바그네리안'이 되고 만다.

 

여기 이름만으로도 장중한 느낌을 주는 한 거장이 있다. 그는 오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이자, ‘악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창시자이기도 한 바그너다. 바그너의 영향력은 현대 음악뿐만 아니라 미술, 철학, 문학, 정치 등 분야를 막론하고 퍼져 나갔으며 그의 음악은 니체, 에른스트 블로흐, 토마스 만 등 서구의 여러 지성들에게 고루 사랑을 받았다. 이렇게 바그너의 성과는 열거하는 것만으로도 너무나 거대해 보여, 그 음악을 들어보기도 전에 괜히 겁을 집어먹게 된다.

사실, 우리가 바그너를 즐기기란 정말 쉽지 않다. 공연 대본은 어렵고 장황한데, 번역조차 드물다. 매력적인 음악이지만 귀를 부담스럽게 하는 것도 사실이라, 내용의 이해가 순조롭지 않은 상황에서는 작품을 제대로 만끽하기 어렵다. 분량도 대단하여, 어지간한 인내심이 아니라면 끝까지 감상하는 것도 수월하지 않다.

이 책은 그런 바그너의 작품들을 ‘일단 이해할 만한 것’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씌었다. 특히 바그너가 마흔 이후에 완성한 <트리스탄과 이졸데>, <뉘른베르크의 장인가수>, <파르지팔> 주요 세 작품에 집중한다. 이 작품들은 <탄호이저>, <로엔그린> 등과 같은 바그너 초기작들에 비하면 확실히 가사의 내용이 낯설고 음률도 예측이 어려워, 나름의 ‘감상 준비’가 필요하다. 그래서 저자가 시도한 것이 바그너 ‘읽기’작업이다. 리브레토를 직접 번역하고 관련 도서를 찾아 읽으며 저자는 서서히 바그너와의 심적 거리를 좁혀갔다. 이 책은 광활한 바그너 작품세계에 먼저 발을 디딘 저자가 바그너를 만나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내미는 친절한 손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그너의 두툼한 작품 하나라도 편히 감상해볼 수 있게 된다면 그 이름이 주는 막연한 부담감도 곧 사라지지 않을까 한다. 철학자이든 작가이든 화가이든 우리가 그 이름에 압도되는 이유는 많은 경우 작품을 들여다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작품을 하나라도 제대로 들여다보면 우리는 더 이상 그 이름에 압도되지 않을 수 있다.

 

바그너라는 이름이 주는 위용 앞에 용감히 선 사람들에게 이 책은 든든한 초행길 파트너가 된다. 각 장은 앞서 언급한 작품들을 독립적으로 다룬 세 편의 에세이로 꾸며져 있다. 작품의 흐름에 따라 줄거리 순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는 에피소드들을 읽다보면, 독자들은 천천히 산책하듯 바그너의 세계를 즐기게 될 것이다.

 

 

아는 자는 과거를 가진 자다

바그너와 독일 민족주의

 

익히 알려져 있듯, 바그너를 떠올렸을 때 자연히 연상되는 것은 반유대주의다. 그는 생전 유대인, 특히 유대인 음악가들을 비판하는 저술을 다수 발표했으며 반유대주의적 입장을 피력하는 대화를 거리낌없이 주고받았다. 그런 바그너의 음악을 히틀러가 매우 아꼈음 또한 자명한 사실이다. 철학자 아도르노는 자신의 에세이집 『바그너에 관한 시도』에서 바그너 작품 속 “배척당하는 인물들은 모두 유대인 캐리커처다.”라 단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바그너가 나치즘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이렇다 하게 입증된 바가 없다. 물론 바그너가 독일 신화에 심취해 있었으며 독일 민족과 독일 문화, 독일 예술을 숭배하였음은 사실이다. 『바그너 읽기』는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독일 민족주의적 면모들을 해명하지 않고 해석한다. 특히 저자의 눈으로 보았을 때 <뉘른베르크의 장인가수>는 바그너의 신념이 가장 또렷하게 표현된 작품이다. 예술만이 사회를 구할 수 있다는, 그리고 그 예술은 보편적 개념이 아닌 ‘독일 예술’이라는 바그너의 자부심. 분명한 것은, 바그너의 반유대주의는 나치즘이 아닌 그의 끔찍한 독일 사랑에서 기원한다는 것이다. 책은 리브레토와 무대연출, 여러 비평들을 살펴보며 작중의 ‘뉘른베르크’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곁가지로 뻗어나간 다양한 읽기자료들이 작품의 이해를 돕는다.

우리가 아무리 ‘안다’고 현재형으로 말해도, 아는 것은 모두 과거로부터 온 것이다. 그래서 <파르지팔>의 구원자는 과거에 대한 기억이 없는 인물, 아무것도 모르는 자, 바보 천치다. ‘독일’과 ‘과거’라는 단어가 나란히 설 때, 우리에게는 연상되는 역사가 있다. 그러니 저자의 말대로, 정말 ‘아는 자’란 ‘과거를 가진 자’가 아니겠는가? 이 모든 연결을 떠올리면 바그너의 음악을 들을 때만큼이나 전율이 인다.

기독교 정신에 타락했다며 바그너를 비난했던 니체조차 “어느 모로 생각해보아도, 바그너 음악이 없었다면 나는 내 청년기를 견디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절절하게 고백했던바 있다. 시대를 불문하고 듣는 이를 매혹시켜 왔던 바그너, 이제 당신이 만나볼 차례다. 『바그너 읽기』와 함께!

 

첫문장

우리는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을 때 주저하지 않는다.

 

책속으로 / 밑줄긋기

P.59 이졸데로 하여금 칼을 떨어뜨리게 만든 감정은 실제로는 사랑이었다. 음악을 들어보면 알 수 있다. “그가 내 눈을 들여다보았다”고 할 때 비올라 솔로는 아주 부드럽게 심금을 울리며 이른바 ‘시선의 모티브’를 연주한다. 브란게네는 아마 듣지 못할 이 음악을 오케스트라는 우리에게 들려준다.

p.70 죽음의 약을 마셨다고 믿었기에 사랑을 고백할 수 있었던 이들 연인. 나중에 알고 보니 사랑의 묘약을 마신 거라 하여도, 죽음을 앞둔 게 아니라 하여도 이제 그들의 태도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일시적으로야 당황하지만). 사랑을 가동하기 위해 죽음이 닥친 상태를 필요로 했던 두 사람. 이제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 죽음을 찾아 나설 것이다. 뒤바뀐 묘약의 이름에서 우리는 이 드라마 전체를 관통하게 될 핵심어에 일찌감치 주목한다. 죽음, 사랑. 사랑의 묘약이 실상 죽음의 묘약이다.

p.121 고유한 개성을 지닌 개체가 타인의 영역을 존중하는 사회는 보통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바그너식 사랑개념에서 볼 때 그런 사회는 사랑이 불가능한 곳이다. 위의 대화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서로의 이름을 바꿔 불렀다가 이름 자체를 포기하는 것은 그런 한계를 넘는 사랑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회적 존재에게 주어지는 한계가 소멸되고 개체가 해볼 수 있는 모든 것, 펼칠 수 있는 모든 것을 무제한으로 실행하는 ‘공간’, ‘상태’에서라야 사랑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p.159 미화된 과거가 필요한 것은 현재가 남루하기 때문이다. 과거는 초라한 현재가 멋진 미래를 꿈꿀 때 불러낼 이미지로서 손색이 없다. 빈회의 이후 독일 땅에서 통일이 절체의 관심사가 된 가운데, ‘독일 조상’에 대한 이런 신화화 작업은 19세기 내내 이어졌다.

P.347 미래는 예언자나 아는 일. 그러니 평범한 우리가 무엇을 ‘안다’고 할 때는 그 시점 직전까지의 과거에 속한 것을 아는 셈이다. 우리가 아무리 현재형으로 말해도 우리가 안다는 그것은 언제나 과거에서 왔다. 그러므로 아는 자는 과거를 가진 자다. 과거를 가진 쿤드리는 아는 게 정말이지 얼마나 많은가!

 

저자소개

김윤미

서울대 독어교육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에서 독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 학술연구교수로 있으며, 독일문학 속 음악과 관련한 주제를 다룬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옮긴 책으로 『마법분필』(공역), 『타너가의 남매들』, 『트인 데로 가는 길』이 있다.

 

바그너 읽기

김윤미 지음|404쪽|978-89-6545-712-1 03670

18,000원|2021년 03월 10일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서양음악

이 책은 그런 바그너의 작품들을 ‘일단 이해할 만한 것’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씌었다. 특히 바그너가 마흔 이후에 완성한 <트리스탄과 이졸데>, <뉘른베르크의 장인가수>, <파르지팔> 주요 세 작품에 집중한다. 이 작품들은 <탄호이저>, <로엔그린> 등과 같은 바그너 초기작들에 비하면 확실히 가사의 내용이 낯설고 음률도 예측이 어려워, 나름의 ‘감상 준비’가 필요하다. 그래서 저자가 시도한 것이 바그너 ‘읽기’작업이다. 리브레토를 직접 번역하고 관련 도서를 찾아 읽으며 저자는 서서히 바그너와의 심적 거리를 좁혀갔다. 이 책은 광활한 바그너 작품세계에 먼저 발을 디딘 저자가 바그너를 만나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내미는 친절한 손이다.

알라딘: 바그너 읽기 (aladin.co.kr)

 

바그너 읽기

바그너의 작품들을 ‘일단 이해할 만한 것’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쓰인 책이다. 특히 바그너가 마흔 이후에 완성한 트리스탄과 이졸데, 뉘른베르크의 장인가수, 파르지팔 주요 세 작품에 집중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