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크리티카&총서

전 지구화 시대의 로컬문화와 민족적 정체성-『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책소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7. 12.

전 지구화의 거센 파고에 직면한

지역을 살펴보다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한국 사회는 오랜 기간 단일민족 신화에 매몰된 채 민족구성원들의 순수성을 강조해왔으나, 이미 많은 수의 외국인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등장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다문화 사회에 있어서 각종 민족 갈등의 양상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 사회는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들을 이미 겪어왔던 국가임을 주목해볼 만하다.



'크리티카&' 총서 다섯 번째 도서.


독일의 대중 작가 보토 슈트라우스는 1993년 <슈피겔>지에 「커져가는 염소의 울음소리」라는 기고문을 통해 독일 사회 내 외국인 증가로 인한 독일 정체성의 상실 위기를 이슈화하였으며, 이를 두고 독일 사회에서는 큰 논쟁이 벌어졌다. 장희권 계명대 독일어문학과 교수의 저서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은 점차 글로벌화되고 있는 지역/로컬의 다문화와 혼종 양상들을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는 문화비평서이다. 저자는 혼종문화가 진행될수록 한국 사회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전면에 내세운 보수주의가 득세할 것으로 바라보았다. 따라서 이 책은 현재 유럽에서 벌어진 문화논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유추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고사에 참여한 장 마리 위르티제 사장. <동아일보>(2009년 5월 21일)


전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로컬적으로 행동하라!

전 지구적 사유의 틀 속에서 지역의 요구에 부합하는 실천을 하자는 이 슬로건은 세방화(世方化), 글로컬리즘(Glocalism) 등의 용어로 정착화되었다. 그러나 초국적 기업들에게는 이 단어가 대개 현지화 마케팅의 일환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저자는 2009년 장 마리 위르티제 르노삼성자동차 사장이 부산공장 고사에 직접 두루마기를 차려 입고 큰절을 올리는 장면을 예로 들며 글로컬리즘의 사례를 설파하고 있다. 이는 소비 전략의 이면에 여전히 강렬하게 자본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의 흥망성쇠는 필연적인 것이나, 이때 파산으로 인한 고통은 초국적 자본가들에게는 부과되지 않는다. 저자는 마케팅 용어로 전락한 ‘현지화’ 현상을 강하게 비판하며 전 지구적 문화 속에서 타자들이 권리와 주체를 찾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독일 지식인 마르틴 발저의 문제적 역사인식

마르틴 발저

현재 독일에서 귄터 그라스와 더불어 대중적 지명도가 가장 높은 작가인 마르틴 발저는 그의 일련의 글들을 통해 최근 독일사에 대한 모호한 역사인식과 함께 반유대주의적 경향을 내비쳤다. 저자인 장희권 교수는 독문학자의 시선으로 발저의 문학적 성취를 열거하기보다 그의 사상적·정치적 입장을 문제시하는데, 이는 독문학 연구자 사이에서도 크게 회자된 바 있다.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전반기를 통틀어 독일의 좌파 지식인들 중에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한 마르틴 발저가 이제는 자신의 보수적 색채를 분명하게 드러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저의 입장은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는 영화로 국내에도 유명한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 역사학자 에른스트 놀테 등 독일지식인들의 반유대주의 및 나치과거 논쟁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독일의 정신사적 지형도를 살펴보다-회귀하는 보수주의

나치의 범죄는 너무나 심각해서 도덕적인 수치심이나 그 밖의 다른 시민적인 감정으로는 보상되지 않는다. (…) 인간의 상상을 넘어서는 이 죄는 한 세대 혹은 두 세대가 지난다고 쉽게 ‘처리’되지 않을 것이다 _보토 슈트라우스, 「커져가는 염소의 울음소리」(Anschwellender Bocksgesang), Der Spiegel, 261쪽.


저자는 독일의 문사 보토 슈트라우스의 글이 네오나치적인 포퓰리즘과는 분명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트라우스가 보수주의 사상의 계보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와 루돌프 보르하르트에서 찾고 있음에 주목했다. 1920~30년대 당시 보수혁명을 주장하였던 보르하르트는 나치즘의 길을 터주는 데 일조하였는데, 이와 함께 90년대 슈트라우스의 문학/문화 논쟁들을 함께 엮어냄으로써 독일 지식인들이 과거의 전통과 복고로 나아가려는 조짐을 동시에 언급한다.




유전공학 시대, 니체적 초인(超人)에 대한 환상

니체의 모습으로 변해가는 슬로터다이크 'Die Zeit' 36호(1999년)

2004년 5월 국내에서 황우석 교수팀이 인간배아복제를 위한 줄기배양에 성공함으로써 생명공학 연구에 성과를 이룬 바 있으나, 그 안에 꾸준히 성찰되어야 할 ‘윤리성’ 문제는 그간 한국 사회에서 격렬하게 논의된 바 없다. 저자는 이러한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또 한 번 독일 사회에서 끄집어내고 있다. 당시 독일 연합뉴스는 인간배아세포 실험이 특허권을 받았다는 보도를 내면서 생명공학 관련 전문가인 슬로터다이크에게 인간배아세포 실험의 견해를 물어본 바 있다. 이때 슬로터다이크는 니체의 짜라투스트라 사상에 기대어 인간 역시 인간의 사육자이므로 유전공학 시대의 선별의 주체성을 옹호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이는 우생학적 사고로 간주되면서 대중의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는데, 초인의 출현을 꿈꾼 니체의 형이상학이 결과적으로 히틀러의 출현으로 실현되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저자는 역설한다. 이처럼 이들 신보수주의자들의 분쟁이 독일 사회뿐만 아니라 유전공학 시대를 맞이한 한국사회에 있어서도 유의미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 이 책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이다.





글쓴이 : 장희권

현재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독일어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9년 부산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1993년에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독문학, 문예학, 교육학으로 석사학위를, 2000년에 독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비평전문계간지 『오늘의 문예비평』의 편집동인으로 활동한 바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독일현대문학, 문화연구, 유럽지역연구이다. 저서로 『역사와의 유희-디터 퀸의 전기체 소설 연구』, 『혁명 이후의 문학』(공저),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공저),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공저), 『로컬의 문화지형』(공저)이 있고, 『안톤 라이저』, 『최후의 세계』, 『소수에 대한 두려움』을 번역하였다.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크리티카& 05

장희권 지음

독일문학, 문화연구 | 신국판(223*152mm) | 320쪽 | 25,000원

2013년 6월 28일 출간 | ISBN : 978-89-6545-220-1 94850

점차 글로벌화되고 있는 지역/로컬의 다문화와 혼종 양상들을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는 문화비평서. 저자는 혼종문화가 진행될수록 한국 사회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전면에 내세운 보수주의가 득세할 것으로 바라보았다. 따라서 이 책은 현재 유럽에서 벌어진 문화논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유추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차례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 10점
장희권 지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