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자8

환경·지역·언론… 진지하게 버무린 고뇌들 :: 『은양』 국제신문 언론 소개 이 국제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김서련 소설가이 첫 장편소설인 이 작품은 가상의 소도시 은양의 쓰레기 산에 얽힌 갈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소설가는 기자들의 고뇌와 지역 언론의 생리를 세밀하게 묘사하며 한편으로는 환경 문제, 특히 은양에 위치한 거대한 쓰레기산을 소재로 환경 소설로서의 독창성을 드러냅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서련 작가 첫 장편소설 ‘은양’, 열악한 지역언론 기자가 주인공 - 소도시 배경으로 환경문제 제기- 인간의 욕망과 내적갈등 그려내 소설가 김서련은 첫 장편소설 ‘은양’(산지니 펴냄) 맨 뒤 ‘작가의 말’에 이렇게 썼다. “지역 언론의 열악한 환경을 배경으로 각자도생하는 인간군상을 그리던 소설은 자연스럽게 환경 쪽으로 흘러갔다.” “오래 붙들고 있었던 .. 2024. 9. 11.
진실 보도를 향한 무거운 발걸음 :: 『은양』 뉴시스 언론 소개 기자로서의 사명을 말하는 이 뉴시스에 소개되었습니다.  소설가 김서련의 첫 장편소설 은 가상의 도시 '은양'에서 벌어지는 환경 문제와 이를 밝히려는 한 기자의 이야기입니다.주인공을 은양으로 이끈 것은 그린워싱 사건입니다. 나'는 성공에 대한 욕심으로 회사에 친환경 이미지 마케팅을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한 유튜버에 의해 그린워싱으로 고발되었고 주인공은 은양으로 떠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과거 자신의 잘못을 떠올리게 하는 쓰레기산을 마주합니다.은양은 기자의 직업정신과 환경 문제, 두 가지를 연결시켜 깊이 있는 주제의식을 던집니다. 경제 원리에 의해 진실이 묻히고, 진실을 밝히려는 이들의 노력은 번번이 좌절됩니다. 소설은 은양이라는 작은 도시를 무대로 하지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현대 사회 전체의.. 2024. 9. 4.
쓰레기가 만연한 세계의 문제를 밝히다_『은양』 :: 책 소개 작은 소도시 은양의 거대한 쓰레기 산욕망과 비리가 만든 굳건한 성채를 무너뜨릴 수 있을까  🗻쓰레기 산에 얽힌 욕망을 파헤치다월간문학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서련 소설가의 첫 장편소설 『은양』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와 진실 추구의 중요성을 깊이 있게 탐구한 작품이다.은양이라는 작은 지역의 신문사 은양매거진에서 기자로 일하고 있는 ‘나’는 우연히 희끄무레한 쓰레기 산을 발견한다. 쓰레기 산은 삼일건기에서 쌓은 건축폐기물이지만 지역 유지인 허이재의 막강한 영향력으로 이에 대한 기사는 단 한 줄도 나오지 않는다. ‘나’는 은양매거진에 이러한 기사를 쓰고 싶어 하지만, 주변인들은 기자 경력이 변변찮은 ‘나’에게 별로 기대가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는 은양매거진에 들어오기 전에 다니던.. 2024. 9. 2.
국제신문에 실린 정경환 희곡집 『춤추는 소나무』 국제신문에 정경환 희곡집 『춤추는 소나무』가 소개되었습니다:) 며칠 전 부산예술회관에서 출판기념회를 개최하며 정경환 작가는 부산의 극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다지기도 했죠. 해피북미디어의 예술문화총서 8번째 책으로 출간된 『춤추는 소나무』는 자유바다 소극장, 부산시민회관 소극장, 대학로, 연우무대, 청춘나비아트홀 등에서 꾸준히 공연하며 부산에서 자리를 지키며 연극 창작과 연출 활동을 해온 정경환 작가의 대표작 6편을 담은 책입니다. 정경환 극작가 희곡집 ‘춤추는 소나무’ 출간 정경환 극단 자유바다 대표는 중진 극작가·연출가이다. 그가 펴낸 희곡집 ‘춤추는 소나무’(해피북미디어)는 ‘극작가 정경환’의 치열함·진지함·깊음·타협할 줄 모름·개성을 한 권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매우 뜻깊게 다가온다. 수록 작.. 2023. 2. 7.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 절로 ― <나절로 인생> 책소개 나절로 인생 ▶ 나절로 살고자 하는 마음으로 원고를 정리하다 기자와 방송국장을 지내고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경성대 등에서 초빙교수로 일했으며 몇 권의 시집과 칼럼집 등을 발표한 바 있는 장동범 시인의 산문집. 이번 책에는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과 함께 기록한 단상을 비롯하여 산문, 칼럼, 독서일기 등이 담겼다. 『나절로 인생』이라는 제목은 “산 절로 수 절로 산수 간에 나도 절로/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 절로”처럼 살고자 하는 마음으로 지었다. 300쪽에 달하는 꽤 두툼한 책에는 칠순의 나이에 흩어진 글을 하나하나 살피며 반듯하게 엮어내는 모습과 주체적으로 살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드러난다. 표지그림과 제호는 저자의 호를 지어준 통도사 수안 스님의 작품이다. ▶ 비로소 인생의 참맛을 아는 나이에 공개하.. 2021. 5. 20.
언론인이자 시인, 농축된 삶의 시어 윤현주 선생님의 시집 『맨발의 기억력』에 대한 부산일보 기사가 나왔습니다! 정말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시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는데요, 가을의 들머리에 읽기 좋은 시집입니다^^ *** '나는 노쇠한 개, 이빨은 파뿌리처럼 뽑혔고/야성은 서리 맞은 들풀이오/어둠마저 빨려 들던 눈의 광채는 어둠에 갇혀 버렸고/십 리 밖 악취를 낚아채던 후각은 권력의 향기에만 민감하오'('기자들') 현직 언론인인 윤현주 시인이 시 68편을 묶어 시집 (사진·산지니)을 펴냈다. 시집은 기자이자 시인의 삶에서 빚어진 고뇌의 응축물이었다. (중략) 기자로서 사회 부조리를 바라보는 날카로운 시선은 여전하다. 홀로 스크린도어를 고치다 지하철에 치여 세상을 떠난 청년('젖은 눈망울'), 죽음조차 뉴스로 바라봐야 하는 상황('사회부장은 이.. 2017.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