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화진7

기획회의 8월호에 『S언니 시대』가 소개되었습니다! 『캐리어 끌기』로 다채로운 여성의 삶을 보여주었던 조화진 소설가의 신간 장편소설 『S언니 시대』가 기획회의 8월호에 소개되었습니다. 1970년대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사춘기 시절을 보낸 중학생 '수자'의 이야기, 『S언니 시대』에서 만나 보세요! S언니 시대 ▶ 연결의 힘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사춘기 소녀의 성장 이야기. 친자매만큼 친하게 지내는 '수양 언니'의 준말인 'S언니'를 만드는 것이 유행하던 당대의 모습을 보여주며, 중학생 소녀의 시선에서 바라본 S언니 문화의 모습과 그들과의 관계를 섬세하게 표현했다. #조화진 지음 #산지니 #17,000원 소설 살짝 맛보기 p.56~57 겨우 한두 살 많을 뿐인 2학년이나 3학년 선배들은 점심 도시락을 재빨리 해치우고(대개 2교시 쉬는 시간부터 도시락.. 2023. 8. 18.
70년대엔 S언니, 00년대엔 양 언니_『S언니 시대』 매일신문 소개 여러분에게는 S언니, 양 언니에 대한 추억이 있으신가요? 조화진 소설가의 장편소설 를 보고 자신의 양 언니를 떠올린 매일신문의 소개기사가 재미있었습니다 :) 양 언니는 글을 작성해주신 기자님뿐 아니라 저에게도 익숙한 문화인데요. 를 보면 시대도 언니를 부르는 호칭도 다르지만 비슷한 문화를 공유한 사춘기 여성들의 연대와 관계가 돋보입니다. 를 보며 자신의 양 언니에 대한 일화를 소개한 매일신문의 기사, 함께 보아요! [책] S언니 시대 양 언니(친언니 같은 친한 언니). 90년대생의 여성이라면 초등학생 시절 유행했던 '양 언니'를 가져본 경험이 있지 않을까. 적어도 기자가 다닌 초등학교에서는 2000년대 초반, 양 언니 열풍이 일었다. 돌이켜보면 '풉' 거릴 정도로 유치한 놀이었지만 당시의 나와 친구들은 .. 2023. 8. 4.
시대적 변화 속 여무는 여성들의 정체성_『S언니 시대』부산일보, 국제신문, 경남도민일보, 연합뉴스, 무등일보, 뉴시스 소개 “S언니”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 저에게는 좀 낯선 단어였는데요, 이 단어를 오랜만에 듣고 “아...!” 하고 기억에서 꺼낸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S언니’는 ‘Stepsister’ 혹은 ‘수양 언니’의 준말로, 친자매만큼이나 가까이 지내는 사람을 뜻합니다. 정치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던 1970년대 한국, 그 속에서 피어난 여성의 다채로운 우정과 연대의 모습을 『S언니 시대』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꿈틀거리는 주체성을 억누르는 것이 미덕이라 여겨지던 그 시기, 당시 여성들이 뿌리내린 삶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사춘기 소녀의 시각에서 그리는 소설이랍니다. 사회 변화 속 저마다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여성의 모습을 관찰한 『S언니 시대』를 소개한 기사들을 만나보시죠! [이 주.. 2023. 7. 31.
때는 이른바 S언니 시대! _조화진 장편소설 『S언니 시대』 책소개 책 소개 때는 이른바 S언니 시대! 그 시절 우리는 S언니와 S동생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 1970년대,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다 『캐리어 끌기』로 다채로운 여성의 삶을 보여주었던 조화진 소설가의 장편소설 『S언니 시대』가 출간되었다. 이번 소설은 레트로풍으로 1970년대 시대적 변화를 겪는 사춘기 소녀 수자가 성장통을 겪으며 S언니들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내용이다. 일명 시영언니와 시영동생이라 불리던 ‘수양’의 호칭이 이 시대에 와서는 S언니, S동생으로 불리며 남달리 친하게 지내는 일부 여학생 사이의 문화인 셈이었다. _p.57 ‘S언니’는 step sister, 혹은 수양 언니의 준말로, 친자매만큼이나 가까이 지내는 사람을 뜻한다. 동네, 학교 선후배 간에 S언니, S동생을 만드는 것.. 2023. 7. 25.
언젠가 바스러질 삶일지라도 아직은 괜찮아_『캐리어 끌기』 경남도민일보에 서평이 실렸네요^^[원문바로가기]언젠가 바스러질 삶일지라도 아직은 괜찮아우울한 삶 견디는 여성 이야기 담담하게 '상실' 다룬 단편들 알차고 야무진 문장력 돋보여바쁜 와중에 하마터면 읽지 못하고 해를 넘길 뻔한 소설이다. 조화진 소설집 (산지니, 2020년 9월). 딱히 클라이맥스라고 할 것도 없이 담담하게 흘러가지만 여운이 제법 긴 단편영화 같은 소설들이 담겼다.40대 중반이던 2002년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길 위에서'로 당선하며 등단한 작가는 그동안 소설집 (문학나무, 2013년)과 (북인, 2016년)를 냈다. 그리고 다시 4년 만에 낸 소설집이다."마음처럼 살아지지 않는 것이 인생 같다. 손에 잡히지도 않고 잡았더라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 원하는 대로 살아지지 않는 것, 그.. 2020. 12. 23.
박현주의 그곳에서 만난 책 <94> 조화진 소설가의 소설집 ‘캐리어 끌기’ 박현주의 그곳에서 만난 책 조화진 소설가의 소설집 ‘캐리어 끌기’“나 사실은…” 친구가 사랑·실연 고백하듯 여성 7인 속내 끄집어내다 - 혼자 책 읽고 습작하던 문학소녀 - 40대 중반에 신춘문예 당선 - 엄마 응원하는 딸 든든한 지원군 - 소설집에 이어 장편 준비중 - 인생 관통하는 깨달음 반영해 - 다양한 여성의 삶 내밀히 관찰 결혼하고, 아이 낳아 키우고, 이런 저런 일들을 겪으며 살아가는 지인들의 하소연을 들을 때가 있다. 허무하다, 답답하다, 다 내려놓고 훌쩍 떠나버리고 싶다, 그런 이야기들이다. 이야기한다고 해서 뾰족한 해결방안이 나올 리가 없다. 그저 가만히 듣기만 했는데, 그들은 하소연의 마무리를 이렇게 한다. “이야기 하고 나니 그래도 조금 후련하다.” 오히려 이야기를 들은 필자의 마음은.. 2020.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