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3

홍대용·박지원의 기행문이 조선시대 어떻게 바꿨나 봤더니_『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 서울신문 언론 소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중국과 일본을 다녀온 후 무엇을 보고 느꼈을까요?그들은 사행을 통해 당시 세계의 변화와 조선의 현실을 날카롭게 직시했습니다. 조선의 폐쇄성을 깨닫고,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이 바로 이 사행록에서 시작되었습니다.『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은 사행록을 단순한 여행기가 아닌 '지식 생산의 장'으로 바라봅니다. 사행록 속에 담긴 경험적 지식이 어떻게 조선의 사상과 학문을 변화시켰는지 추적하며, 홍대용, 박지원 등 대표적인 실학자들이 사행록을 통해 깨달은 것들을 분석합니다. 특히 홍대용의 을병연행록과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담긴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기록들을 조선 후기의 사유 전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로 바라봅니다. 사행록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어떻게 .. 2025. 2. 20.
‘조선사절단 기록’ 문학을 넘어 지식 교류사로_『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 국제신문 언론 소개 부산 하면 떠오르는 역사적 장면 중 하나가 바로 조선통신사입니다. 과거 조선의 선비와 관료들은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향했고 많은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들이 남긴 사행록은 새로운 문물과 사상을 담아낸 지식의 보고(寶庫)였습니다.  『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은 조선통신사를 비롯한 사행록을 기존의 기행문학이 아닌 ‘지식 교류의 역사’로 새롭게 조명하는 책입니다. 울산대 정훈식 교수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의 지식인들이 사행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세계를 바라보았는지를 탐구하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부산은 조선통신사의 출발지였습니다. 통신사들은 이곳에서 배를 타고 일본으로 향했어요. 당시 일본과의 문화 교류를 이끌었던 부산이었기에, 이 기록들이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옵니다. 사행록을 새.. 2025. 1. 31.
사행록을 통해 본 조선 후기의 사유와 변화 :: 『 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 한겨레 언론 소개 이 한겨레에 소개되었습니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일본과 중국으로 사행한 조선 지식인들이 남긴 사행록을 통해 형성된 새로운 지식을 살펴봅니다. 저자는 사행록의 역사적·철학적 의미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지식 담론의 흐름과 변화상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이 책을 통해 조선 후기에 생성된 지식과 사상의 발전 과정을 톺아볼 수 있습니다.  [1월 17일 학술지성 새 책]♦17~19세기 사행록의 지식 생산과 사상 전환조선 후기 조선의 문사(사절단)들은 오랑캐가 지배하는 중국(청)과 일본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도 현지에서 보고 느낀 변화상을 자세히 기록했다. 그들의 사행록은 유가 텍스트에는 없는 정보와 지식을 쌓고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보고가 됐다.정훈식 지음, 산지니, 3만 5000원.▼.. 2025.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