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투어

[북투어후기] 2화 도시 곳곳에 남겨진 식민지의 잔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4. 5.

 

[타이베이 북투어 여행기]

 

 

2018년 2월 8일(목)~ 2월 11일(일) 진행된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북투어

비 오는 타이베이를 걸으며

산지니 어둠 여행단을 보고 느끼고 나눴던

그 시간들을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2화

 도시 곳곳에 남겨진 식민지의 잔재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대만의 눈

 

 

 

일제의 첫 식민지 대만, 건재한 총독부 건물

 대만은 국제사회에서 공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한다. 1971년 유엔총회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국이 유일한 국가로 인정받으면서 대만은 유엔에서 탈퇴한다. 그 뒤 수교를 맺었던 일본, 미국,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과 줄줄이 단교한다. 현재 수교국은 20개국으로 줄어들었다. 공식명칭은 ‘중화민국’. 이 글에서는 편의상 대만으로 부르겠다.

 

 대만은 고구마 모양처럼 생긴 섬으로 남한 면적의 1/3정도다. 인구는 2,300만 명 선. 아시아의 4룡으로 불리며 2010년 이전까지는 우리 경제보다 한발 앞섰던 나라. 식민지 개척 시절 포르투갈 선원이 이 섬을 발견하고 포르모사(아름다운 섬)란 이름을 붙였다. 우리가 한 번쯤 들어본 『하멜 표류기』의 하멜도 대만에서 일본으로 가려다 제주도로 표류한 것이다.

 

 

2.28기념공원 대만 지도. 원주민 언어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대만은 일제의 첫 식민지가 되었다. 1895년 갑오년, 동아시아 세력 지형이 급격히 바뀐다. 호시탐탐 동아시아 패권을 노리던 일본은 우리나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고, 내쳐 청일전쟁에서 승리하고,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대만을 손에 넣는다. 이후 1945년까지 50년 동안 식민지배가 이뤄진다. 식민 초기 20여년 게릴라식 무력저항을 진압한 일본은 대만 원주민을 탄압하고 명·청 출신들(본성인)을 우대하는 유화책을 펼친다. 그리고 대만에 토지개혁, 전기, 수도, 교통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무역중계 거점화를 꾀한다. 수도 타이베이와 외곽 지 룽항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중화민국 총통부 건물로 쓰이고 있는 대만총독부 건물.

 

 

 식민지 잔재, 1919년 완공된 대만총독부 건물은 여전히 건재하다. 총을 든 헌병들, 경계용 철선이 곳곳에 깔려 있다. 가까이에서 사진 한 장 찍으려 했더니 헌병들이 막아선다. 현재 중화민국 총통부로 삼엄한 경계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로, 차이잉원 총통의 집무공간인 셈이다. 아! 머리가 띵했다. 일제잔재를 없애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려는 우리 정서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모습이었다.

 

 그런데 대만총독부는 여전한 셈이다. 이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왜 이들은 일제의 유산을 보전하고 있는가? 대만인들은 되묻는다. “왜 굳이 허무나?” 대만의 입장에서는 일제의 문화통치가 곳곳에 스며들었다. 멀쩡하고 역사적인 건물에 굳이 분풀이를 할 필요가 없다는 실용주의가 한 몫 했을 것이다. 여행자의 심정으로는 착잡했지만, 문화는 상대적이기에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필요할 뿐이다.

 

 

 

타이베이 곳곳의 일본가옥들은 잘 보전되어 공간을 재활용하고 있다.

 

 

 대만사범대 주변 치둥가의 일본인 기숙사는 원형의 보존과 활용이 인상적이었다. 치둥가 일대는 2006년 보존구역 및 마을 풍경 보존 특정 전용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일본인 기숙사가 대만에 잘 보존되고 있어, 일본인들이 놀라워하며 많이 찾는다고 한다. 이밖에 차이루이웨 무용학원, 화산문화창의공원(섬유공장), 완화 탕부의 제당공장 등 타이베이 곳곳의 일제 건축물은 잘 보전되어 재활용되고 있었다.

 

 

타이베이시 곳곳에 붙은 시의원 포스터에 일본어가 병기된 것은 일본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처 Marlon Yeh 페이스북)

 

 

 사실 대만인들에게 일제, 일본은 반감보다 호감이 높은 편이다. 식민시기에 도로, 교통, 전기 등 인프라가 구축이 되었고, 식민지배에 큰 저항이 없었기에 일제의 문화통치가 가능했다. 그런데 해방전후 대만으로 들어온 대륙 사람들이 요직을 독차지하고 국민당 정부는 38년 계엄령 하에 폭압을 일삼았다. 그래서일까? ‘대만독립’을 지지하는 민진당은 ‘일본 친화적’ 입장이다. 타이베이시 곳곳 시의원 후보자들의 선거광고가 눈에 띤다. 한 젊은 시의원 후보자(민진당)의 광고판에 ‘나의 꿈’이란 대만어와 함께 일본어가 병기된 사진이 뉴스를 탔다. 대만이 일본의 식민지냐는 한탄이 나올 법하다. 이번 화롄지진이 났을 때도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 구호(대)를 거부하고 일본 구호대만 받은 것은 대만 외교의 현실이다.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

 

 

 내면의 식민화란 단어가 머릿속을 맴돌았다. 역자 곽규환 선생은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을 들며 ‘정체성의 균열’을 얘기한다. 유색인종이 백인의 눈으로 자신을 보는 한 ‘우리’는 자기 땅에서 유배당한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 안의 식민성과 우리 안의 파시즘을 극복해 새 사회로 나아가는 과제는 만만치 않은 도전인 셈이다. ‘누런 피부, 하얀 가면’의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고민은 대만에서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 3화에서 계속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 10점
왕즈홍 외 지음, 곽규환 외 옮김/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