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투어

[북투어후기] 4화 대만 민주화운동의 성지 그리고...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4. 20.

 

[타이베이 북투어 여행기]

 

 

2018년 2월 8일(목)~ 2월 11일(일) 진행된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북투어

비 오는 타이베이를 걸으며

산지니 어둠 여행단을 보고 느끼고 나눴던

그 시간들을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4화

 대만 민주화운동의 성지 그리고...

그 이면에 남아있는 과제들 

 

 


메이리다오의 함성, 대만 독립 소망
 북투어 일정 둘째 날에는 대만사범대 부근의 ‘공공책소’에 들렀다. ‘공공책소’는『반민성시』를 출판한 ‘유격문화출판사’가 자리 잡은 곳으로, 유격은 게릴라를 뜻한다. 출판사의 성격을 이름이 말해주듯, 장소도 건물 지하에 있었다. 입구에는 공공책소 간판과 함께 대만 지도를 무지개 일곱 색으로 표현한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공공책소 입구. ‘홍콩독립’, ‘대만독립’ 깃발이 곳곳에 걸려있다.

 

 

 계단을 내려가자 책의 향기로 가득 찬 북카페가 열린다. 책과 함께 눈에 띄는 깃발들. ‘홍콩은 중국이 아니다’, ‘홍콩독립’, ‘대만독립’ 그리고 분리 독립을 원하는 티베트와 카탈루냐의 깃발이 곳곳에 걸려있다. 공공책소와 유격문화의 성격이 분명히 드러나는 지점이다. 유격문화출판사의 쿼페이유 대표는 국립 대만대를 나와 큰 출판사를 다니다 독립했다. 공공책소 한 구석에는 대학시절 손으로 직접 쓴 현수막이 걸려있다. 아마도 1990년 야생백합 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리라 짐작한다.

 

 

당시 수천 명의 학생들은 중정기념당에 모여

총통 직접선거, 반공체제 근간인 임시조례 폐지, 정경개혁 등을 요구했다.

 

타이완 민주화의 새 장을 연 것이다.”

 

(책 p131)  

 

 

 학생운동 당시 널리 불린 노래 ‘메이리다오’(美麗島)는 우리의 ‘아침이슬’(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노래)에 견줄 수 있다. 메이리다오는 1979년 음반이 발매되자마자 금지곡이 되었다. 그 뒤로 2016년 차이잉원 총통 취임식에서 새롭게 불리며, ‘대만독립’ 의지를 만방에 알렸다. 노래가사는 아름다운 섬 대만을 예찬하고 있다. 다음은 가사 전문이다.  

 

我们摇篮的美丽岛 是母亲温暖的怀抱
骄傲的祖先正视着 正视着我们的脚步
他们一再重复地叮咛 不要忘记 不要忘记
他们一再重复地叮咛 荜路褴褛以启山林
婆娑无边的太平洋 怀抱着自由的土地
温暖的阳光照耀着 照耀着高山和田园
我们这里有勇敢的人民 荜路褴褛以启山林
我们这里有无穷的生命 水牛 稻米 香蕉 玉兰花
我们的名字就是美丽
在在汪洋中最瑰丽的珍珠
福尔摩沙,美丽,福尔摩沙
福尔摩沙,美丽,福尔摩沙 

 

우리의 요람 메이리다오는 어머니의 따뜻한 품 안
자랑스런 조상들이 우리의 발걸음을 영원히 지켜보네
그들이 거듭 당부하네 잊지말라고 잊지말라고
그들이 거듭 부탁하네 누더기 입고 수레 끌며 산림을 일궜다고
하늘하늘 무한한 태평양이 품고 있는 자유의 땅
따사로운 햇빛이 높은 산과 들판을 비추고 또 비추네
우리는 이곳의 용감한 시민들, 누더기 입고 수레 끌며 산림을 일군다
우리 이곳의 무궁한 생명, 물소 쌀 바나나 목련화다
우리 이름은 아름답다
바다에서 가장 아름다운 진주
福尔摩沙, 아름다움,  福尔摩沙
福尔摩沙, 아름다움,  福尔摩沙 
(대만 아름다운 대만)

 

‘메이리다오’ 곡을 들으니 진정한 독립을 원하는 대만인(들)의 목소리와 눈망울 속에 여행자의 서글픔이 밀려왔다.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라는 나무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민중들의 피와 땀은 어디에나 서려있다. 대륙에서 패퇴한 국민당은 대만에 오자마자 1949년 계엄령을 선포한다. 국민당 외에는 당을 만들 수조차 없었다. 민주투사들은 탄압을 온 몸으로 맞아야 했다.

 

 

 용산사 정문 앞. 용산사는 우리의 명동성당에 해당하는 민주화운동의 성지다.

 

 

 용산사는 우리의 명동성당에 해당하는 민주화운동의 성지다. 용산사 광장은 재야인사들의 연설무대였다. 1986년 5월 19일,정난룽, 장펑젠 등 당외 인사들이 용산사 앞에서 계엄시행 37주년 집회를 열었고, 기나긴 계엄은 이듬해인 87년 해제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인물은 ‘정난룽’이다.

 

 

2.28기념관 내 정난룽 흉상.

 

 

 정난룽(1947~1989)은 <자유시대> 등 잡지를 발간해 반독재 민주화 세력을 결집했다. 그는 반란혐의로 법정출석을 요구받았으나 거부하고, 강제체포가 집행될 때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분신자살했다. 그는 타이완 민주화의 화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국민당은 나를 체포할 수 없다. 그저 나의 시체만을 가져갈 수 있다.
타이완인과 중국에서 건너온 사람들 사이에는
해결하기 힘든 원한이 있다.
그러나, 어쨌든 간에 이 원한은 반드시 풀어야 한다.

 

-정난룽, <독립은 타이완의 유일한 활로>

 

 

 “나는 타이완 독립을 주장한다”는 정난룽의 외침이 갖는 현재적 의미는 무엇일까. 『반민성시』의 대표저자 왕즈훙 교수는 이렇게 평하였다.

 

 

“현 시점 타이완의 언론자유와 정보의 농단 문제는

이미 독재정권의 정치적 억압에서 자본가에 의한 통제로 전환된 상태다.

정난룽의 고귀한 죽음은 그가 자신의 생명을 내걸고 진정성 있게 실천한

자유’에 대한

무한한 추구의 자리에 놓여 있다.”

 

(책 p149)

 

 

 자유를 위한 실천, 민주화의 흐름은 도도하게 이어졌다. 우리의 광화문 거리에 해당하는 ‘권력의 중추’ 중산북로는 그때마다 항의시위대로 가득 메워졌다.

 

 

독재 권력의 자리는 시장 권력이…

 

 

용산사 앞 맹갑공원. 우리나라의 탑골공원 같은 곳이다.

 

 

 타이베이의 구도심 완화지역, 용산사 앞 맹갑공원은 우리나라의 탑골공원 같은 곳이다. 날품팔이들이 모이던 이 공간은 유민, 노숙인들이 많이 모인다. 삼삼오오 대화를 나누는 사람들, 투전이 벌어지기도 하고, 공원 옆에는 싼 먹거리 가게들이 즐비하다.

 

 

▲ 역사풍경지구로 지정된 보피랴오. 사람은 떠나고 건물만 남아있다.

 

 

 보피랴오는 영화 맹갑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또한 이 일대는 역사풍경지구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개발광풍과 전시행정으로 인해 건물과 거리는 잘 꾸며진 영화세트장처럼 다가왔다.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책 속의 ‘박제된 표본’이란 말이 실감나게 다가왔다.

 

 

 무허가 판자촌이 있던 자리에 다안삼림공원이 조성되었다. 공원 내 관음상 모습.

 

 

 린이슝 옛 주택 부근의 다안삼림공원은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며, 그 크기는 축구장 16개 정도이다. 이곳은 원래 말단 군관과 가족들이 살던 곳이다. 하급 군인들은 무허가 판자촌(권촌)을 지었고, 정부는 이를 용인했다. 하지만 개발의 광풍은 계속해서 이들을 외곽으로 쫓아냈다. 다안삼림공원 조성 과정에서 관음상은 종교의식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용케 살아남았다. 그렇게 공원은 타이베이 시민의 휴식 공간이 되었지만 녹색 불도저에 밀린 무허가 판자촌의 사람들의 삶은 관심 밖으로 밀렸다.

 

 3박4일 북투어 걸음걸음마다 타이베이 곳곳에 패인 깊은 주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거민, 빈민, 노숙인, 이주노동자…. 사회적 약자들의 삶은 화려한 도시의 불빛 속에 잠들어있다. “이제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는 말처럼, 우리사회의 역사와 과제도 대만사회와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기나긴 독재의 수렁을 지나 자본의 독재가 펼쳐지는 사회. 우리는 국가와 개인의 무한한 욕망, ‘보이지 않는 손’과 마주하고 있다. 다른 듯 비슷한 역사와 현실이 던진 무거운 과제를 안은 ‘타이베이 어둠 여행’(다크 투어)은 그렇게 저물었다.

 

 

 

>> 5화에서 계속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 10점
왕즈홍 외 지음, 곽규환 외 옮김/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