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불안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들의 성장 기록-『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

by 에디터날개 2019. 9. 27.

경북도민일보에 이국환 교수님의 에세이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의 기사가 실렸네요.

내용 함께 공유합니다 :)

 

 

 

 

이국환 동아대학교 교수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 출간

 

 

 

 

 

 


 

비루하고 고단한 일상을 살아간 사람들은 안다. 포근한 햇살 내리쬐는 나른한 휴일 오후의 달콤함을. 사회는 오롯한 ‘나’보다, 하나된 ‘우리’를 강조한다. 삶은 그렇게 ‘부정당함’과 ‘인정 받음’이라는 불안의 연속이다. 생의 순간 순간 마주하는 불안은 때때로 우리를 성장시킨다.

최근 출간된 이국환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의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는 불안을 안고 묵묵하게 살아가는 이들이 삶을 지키고 나를 지키게 하는 것들에 대한 기록이다.

“세계는 의미로 가득 차 있다.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 성실하게 산 하루하루가 모여 인생이 된다. 불안하지 않은 삶은 이미 죽은 삶이다. 불안을 끌어안고 우리는 뚜벅뚜벅 나아가야 한다. 그 불안 속에 삶의 의미는 어두운 터널 끝의 빛처럼 또렷하게 나타날 것이다.”(132쪽)

이국환은 예술과 철학에서 찾은 단단한 사유를 활자로 풀어내며 그것들의 의미를 문장과 문장 사이에서 거둬 올린다. 흔들리며 나선 길 곳곳에서 삶의 의미를 만날 수 있다. 그는 47편의 글에서 독서와 글쓰기를 통해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총 4부로 나눠진 책에서 저자는 예술과 철학, 책, 고통과 불안, 사람과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먼저 1부 ‘그래도 산다는 것’에서는 예술과 철학에서 찾은 삶의 가치들에 대한 글을 풀어 놓는다. ‘삶이 예술이 되는 순간’이라는 글에서 그는 ‘음악이든 문학이든, 예술은 아름다움 자체가 아니라 그 아름다움이 자신을 통해 발현될 때 진정한 예술일 수 있다’(19쪽)며 ‘삶이 예술이 되는 순간, 그 순간이 가장 인간다운 순간’(21쪽)임을 고백한다. 우연히 비를 맞고 있는 버려진 클래식 기타를 가져와 닦고 말리며 줄을 매 서툴게 연주했던 기억과, 최영철 시인의 시 ‘쑥국’을 읽고 울었던 날까지. 이국환은 완벽한 예술작품만이 예술이 아니라, 예술의 그 미학이 그것을 행했던, 그것을 행하는 사람들에게서 발현될 때 비로소 진정한 예술로 완성됨을 이야기한다.

2부 ‘그래도 안다는 것’에서는 책을 통해 얻은 앎의 가치들에 대한 글을 풀어 놓는다. ‘공독(共讀), 마음의 경계를 허물다’, ’독서, 인간의 으뜸가는 일’, ‘에토스(Ethos), 운명을 바꾸는 글쓰기’, ’독서, 연민과 자기 이해의 여정’ 등의 글에서 그는 독서와 글쓰기로 ‘나’와 ‘너’, 그리고 ‘사회’를 읽어가야 한다고 전한다.

‘에토스, 운명을 바꾸는 글쓰기’는 그의 수업에 참여한 예순아홉 살 여학생이 맏이의 서글픔을 돌아가신 엄마의 사진 앞에서 풀어놓은 글에 대한 이야기다. 저자는 ‘그녀의 글이 그녀의 생을 위로해주었고, 예순아홉까지의 생에 의미를 부여해주었’다며 ‘의식되지 않은 무의식이 곧 운명이 된다.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의학 분야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 받는 카를 구스타프 융의 이 말을 믿는다면, 우리는 글쓰기로 운명을 바꿀 수 있다’(105쪽)고 말한다.

3부 ‘그래도 견딘다는 것’에서는 고통과 불안 속에 버티는 삶에 가치들에 대한 글을 펼쳐 놓는다. 3부에서는 이 책의 제목인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라는 문장이 담긴 ‘불안은 영혼을 잠식하는가’부터 ‘자존심보다 자존감이 중요한 이유’, ‘폭력은 인간의 숙명인가’, ‘애도, 슬픔을 기록하는 슬픔’ 등 불안한 삶의 하루 하루 속, 그럼에도 살아가는 사람들의 ‘견딤’에 대한 기록이다. 그는 ‘불안한 자의 후예인 인간은 인문학을 발전시켰’(131쪽)고 ‘허약한 존재들이 모여 함께 걸어가는 존재가 인간’(168쪽)이라며 불안하기에 서로를 공부하고 그렇기에 ‘함께’하는 연대의 힘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애도, 슬픔을 기록하는 슬픔’에서는 저자의 반려동물인 ‘별’이가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이야기를 통해 ‘상실한 사랑의 대상과 지속적인 연결점을 찾는 것이 슬픔 치유에 도움이 된다’(171쪽)며 ‘애도는 슬픔을 기록하는 슬픔’(173쪽)임을 이야기한다.

4부 ‘그렇게 살아간다는 것’에서는 사람과 사람, 연결된 삶의 가치들에 대한 글을 풀어 놓는다.

그는 ‘책연’이라는 글에서 책을 매개로 만난 인연의 소중함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가족음악회의 가치’에서는 아내의 부탁으로 가족이 함께 음악회를 꾸몄던 이야기를 꺼내 놓으며 예술과 철학, 고통과 불안을 지나 그래도 오늘을 살아가는 것은 결국, 함께 그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임을 증명한다. ‘가족이라는 이름의 숙제’는 그가 우연히 아이를 때린 부모와 이를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는 아이의 모습을 목도한 이야기다. 저자는 ‘내면아이는 과거의 상처에 압도당했고 고통스러운 행동을 반복하게 하는 자아이다. 이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불행의 반복성에서 벗어나도록 말을 걸어야 한다’(206쪽)고 말하며 행복한 가족을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노력해야 함을 말한다.

“도대체 산다는 게 뭘까 싶었는데, 책을 읽으니 하루도 같은 날이 없었고, 하루하루가 좋았다”고 고백한 이국환. 그가 바라본 세상은 더 없이 넓고 푸르렀으며 그 속의 인간은 따뜻했다. 그는 그렇게 불안을 원동력으로, 외로움을 고독으로 즐기며 묵묵히 걸어갈 때, 햇살이 따뜻하게 내리쬐는 오후를 마주할 수 있음을,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인생임을 전한다.

출처 : 경북도민일보(http://www.hidomin.com)

기사 바로보기 ☞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01074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 - 10점
이국환 지음/산지니

 

 

 

 

 

책 주문하기 >> https://goo.gl/cUJW3o

*산지니 출판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10% 할인, 3권 이상 주문시 택배비 무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