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언론스크랩

잘 알려지지 않았던 아렌트의 과오와 성찰을 재검토하다_『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이 부산일보, 연합뉴스,이데일리에 소개되었습니다

by ellelitunlivre 2025. 2. 17.

한국 독자에게 잘 알려진 유대인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 그러나 한나 아렌트가 흑인과 백인 아이들을 같은 학교에 다니도록 하는 법을 위한 흑인들의 시위를 비판했다는 것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아렌트는 흑인 대표 단체가 노동, 주택 시장, 교육과 같은 사회적 차별보다 인권, 시민권, 보통선거권 등 보다 정치적인 과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요. 이러한 아렌트의 비판을 본 흑인 소설가 랠프 엘리슨은 한 인터뷰에서 아렌트를 비판하게 됩니다.

흑인과 유대인, 두 존재 모두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차별을 경험한 이들입니다. 그러나 둘 사이의 입장이 완전히 같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아렌트와 엘리슨으로 대표되는 유대인과 흑인 사이에는 어떠한 경험과 생각의 차이가 존재했을까요. 그 간극을 살펴보는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이 <부산일보>와 <연합뉴스>에 소개되었습니다.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

똑같이 바다를 건너 미국으로 흘러들어왔지만 유대인과 아프리카계 흑인은 조건과 입장이 달랐다. ‘악의 평범성’에 대해 이야기한 한나 아렌트조차도 인종 차별 문제를 오해한 것이다. 흑인 소설가 랠프 엘리슨이 아렌트를 비판하자, 아렌트는 사과의 편지를 쓴다. 20세기 중반 두 사람의 논쟁은 인종 차별에 대한 보다 깊은 시각을 제공한다. 마리 루이제 크노트 지음/서요성 옮김/산지니/192쪽/1만 8000원.

 

출처: 2025년 2월 13일 자 <부산일보> 박종호 기자

 

[이 주의 새 책]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 外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똑같이 바다를 건너 미국으로 흘러들어왔지만 유대인과 아프리카계 흑인은 조건과 입장이 달랐다. ‘악의 평범성’에 대해...

www.busan.com

 


▲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 = 마리 루이제 크노트 지음. 서요성 옮김.

1954년 워싱턴 연방대법원은 공립학교의 인종 차별은 헌법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1957년 아칸소주의 리틀록에 사는 아홉 명의 흑인 학생에게 지역 공립 고등학교의 입학이 허가됐다. 이 같은 조처에 백인들은 반발했고, 이 문제는 흑백 갈등으로 비화했다.

홀로코스트 연구로 저명했던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1959년 발표한 에세이 '리틀록 사건을 돌아보며'를 통해 학교를 무대로 삼은 흑인들의 정치 운동을 비판했다. 학교에서의 인종 차별 철폐는 아렌트에게 있어 정치적 과제가 아닌 사회적 과제였다.

이에 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을 쓴 흑인 소설가 랠프 엘리슨이 아렌트를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아렌트가 흑인 문제에 문외한이고, 모든 흑인 어머니의 머릿속에 어떤 고통이 있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렌트는 엘리슨에게 즉각 사과의 편지를 썼다.

1950년대 미국에서 흑인에 대한 차별은 심각했다. 비평가이자 작가인 저자는 아렌트와 엘리슨이 남긴 저작과 기록물, 편지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번영과 발전으로 가득했던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조명한다.

산지니. 192쪽.

 

출처: 2025년 2월 14일 자 <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신간] 그림 속 여성들의 삶과 패션…'초상화의 옷장'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 초상화의 옷장 = 김정연 지음.

www.yna.co.kr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마리 루이제 크노트|192쪽|산지니)

유대인 철학자 한나 아렌트와 아프리카계 흑인 소설가 랠프 엘리슨이 남긴 차별과 불평등에 관한 기록물과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재조명했다. 각기 다른 주장을 펼친 두 인물 간의 논쟁을 통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인종 차별 문제에 관한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출처: 2025년 2월 19일 자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200자 책꽂이] 쫓겨난 권력자 外

△쫓겨난 권력자(박천기|284쪽|디페랑스)베니토 무솔리니, 리처드 닉슨, 사담 후세인, 무아마르 카다피 등 현대 세계사에서 독선과 타락으로 무너진 권력자들의 사례를 분석했다. 책은 대중의

www.edaily.co.kr


도서 구매하기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

똑같이 바다를 건너 미국으로 흘러들어 온 유대인과 아프리카계 흑인 사이에 어떠한 대조적인 조건과 입장이 존재했는지 파고든다. 저자 마리 루이제 크노트는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이 남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