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국제사회에서 공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한다. 1971년 유엔총회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국이 유일한 국가로 인정받으면서 대만은 유엔에서 탈퇴한다. 그 뒤 수교를 맺었던 일본, 미국,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과 줄줄이 단교한다. 현재 수교국은 20개국으로 줄어들었다. 공식명칭은 ‘중화민국’. 이 글에서는 편의상 대만으로 부르겠다.
대만은 고구마 모양처럼 생긴 섬으로 남한 면적의 1/3정도다. 인구는 2,300만 명 선. 아시아의 4룡으로 불리며 2010년 이전까지는 우리 경제보다 한발 앞섰던 나라. 식민지 개척 시절 포르투갈 선원이 이 섬을 발견하고 포르모사(아름다운 섬)란 이름을 붙였다. 우리가 한 번쯤 들어본 『하멜 표류기』의 하멜도 대만에서 일본으로 가려다 제주도로 표류한 것이다.
▲ 2.28기념공원 대만 지도. 원주민 언어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대만은 일제의 첫 식민지가 되었다. 1895년 갑오년, 동아시아 세력 지형이 급격히 바뀐다. 호시탐탐 동아시아 패권을 노리던 일본은 우리나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고, 내쳐 청일전쟁에서 승리하고,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대만을 손에 넣는다. 이후 1945년까지 50년 동안 식민지배가 이뤄진다. 식민 초기 20여년 게릴라식 무력저항을 진압한 일본은 대만 원주민을 탄압하고 명·청 출신들(본성인)을 우대하는 유화책을 펼친다. 그리고 대만에 토지개혁, 전기, 수도, 교통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무역중계 거점화를 꾀한다. 수도 타이베이와 외곽 지 룽항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 중화민국 총통부 건물로 쓰이고 있는 대만총독부 건물.
식민지 잔재, 1919년 완공된 대만총독부 건물은 여전히 건재하다. 총을 든 헌병들, 경계용 철선이 곳곳에 깔려 있다. 가까이에서 사진 한 장 찍으려 했더니 헌병들이 막아선다. 현재 중화민국 총통부로 삼엄한 경계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로, 차이잉원 총통의 집무공간인 셈이다. 아! 머리가 띵했다. 일제잔재를 없애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려는 우리 정서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모습이었다.
그런데 대만총독부는 여전한 셈이다. 이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왜 이들은 일제의 유산을 보전하고 있는가? 대만인들은 되묻는다. “왜 굳이 허무나?” 대만의 입장에서는 일제의 문화통치가 곳곳에 스며들었다. 멀쩡하고 역사적인 건물에 굳이 분풀이를 할 필요가 없다는 실용주의가 한 몫 했을 것이다. 여행자의 심정으로는 착잡했지만, 문화는 상대적이기에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필요할 뿐이다.
▲ 타이베이 곳곳의 일본가옥들은 잘 보전되어 공간을 재활용하고 있다.
대만사범대 주변 치둥가의 일본인 기숙사는 원형의 보존과 활용이 인상적이었다. 치둥가 일대는 2006년 보존구역 및 마을 풍경 보존 특정 전용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일본인 기숙사가 대만에 잘 보존되고 있어, 일본인들이 놀라워하며 많이 찾는다고 한다. 이밖에 차이루이웨 무용학원, 화산문화창의공원(섬유공장), 완화 탕부의 제당공장 등 타이베이 곳곳의 일제 건축물은 잘 보전되어 재활용되고 있었다.
▲ 타이베이시 곳곳에 붙은 시의원 포스터에 일본어가 병기된 것은 일본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처 Marlon Yeh 페이스북)
사실 대만인들에게 일제, 일본은 반감보다 호감이 높은 편이다. 식민시기에 도로, 교통, 전기 등 인프라가 구축이 되었고, 식민지배에 큰 저항이 없었기에 일제의 문화통치가 가능했다. 그런데 해방전후 대만으로 들어온 대륙 사람들이 요직을 독차지하고 국민당 정부는 38년 계엄령 하에 폭압을 일삼았다. 그래서일까? ‘대만독립’을 지지하는 민진당은 ‘일본 친화적’ 입장이다. 타이베이시 곳곳 시의원 후보자들의 선거광고가 눈에 띤다. 한 젊은 시의원 후보자(민진당)의 광고판에 ‘나의 꿈’이란 대만어와 함께 일본어가 병기된 사진이 뉴스를 탔다. 대만이 일본의 식민지냐는 한탄이 나올 법하다. 이번 화롄지진이 났을 때도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 구호(대)를 거부하고 일본 구호대만 받은 것은 대만 외교의 현실이다.
▲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
내면의 식민화란 단어가 머릿속을 맴돌았다. 역자 곽규환 선생은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을 들며 ‘정체성의 균열’을 얘기한다. 유색인종이 백인의 눈으로 자신을 보는 한 ‘우리’는 자기 땅에서 유배당한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 안의 식민성과 우리 안의 파시즘을 극복해 새 사회로 나아가는 과제는 만만치 않은 도전인 셈이다. ‘누런 피부, 하얀 가면’의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고민은 대만에서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심난하게도 떠나는 전날 지진 소식이 들려왔다. 타이베이에서 100킬로미터 이상 멀리 떨어져 있는 대만 동부 화롄에서 진도 6.4규모의 지진이 일어났다. 호텔 건물이 무너지고, 사망, 부상, 실종자가 속출하는 곳으로 여행을 떠나야 하다니, 가기 전부터 마음은 착잡했다. 대만은 환태평양 조산대,일명 ‘불의 고리’에 있어 지진이 잦은 곳이었다. 1999년에는 진도 7.6규모의 지진으로 2,400여명이 사망했고, 이때 이후 대만은 공공, 민간시설에 대해 내진보강을 의무화했다고 한다. 2016년에도 남부 타이난 지진으로 아파트가 무너져 115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지진이 일상화된 나라였다. “휴~ 남들은 지진을 피해서 가는데, 우리는 지진이 일어난 땅으로 가는구나.” 여러 사람이 같이 떠나는 길, 줄줄이 이어진 약속을 물릴 수도 없었다.
▲ [2018년 2월 8일자 서울신문] 대만 지진 피해 갈수록 늘어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타이베이 어둠 여행’(다크 투어). 책에 있는 장소를 따라 걷는 타이베이 테마 여행, 그것은 설렘과 함께 미세한 떨림으로 찾아왔다. 2월8일(목)~11일(일) 3박4일 동안의 북투어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을 실감케 한 여행이었다. 한국에서 2시간 거리, 이리도 가까운 나라를 처음 방문하다니. 비는 하염없이 내리고, 뿌연 안개는 이 도시의 주름과 어둠을 더욱 짙게 만들었다.
2월 8일(목) 아침 8시30분, 부산 김해공항을 출발한 비행기는 두 시간 만에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의 타오위안 공항에 도착했다. 땅은 흠뻑 젖어있었다. 겨울 우기. 15도 내외의 온도에 상추, 쑥갓, 가지가 텃밭에서 싱그럽게 자라는 대만의 겨울은 녹음이 지치지 않았다. 3박4일 일정 내내 비는 추적추적 내리고 안개는 짙게 드리웠다. 우산을 쓰고 우비를 입은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북투어 단’은 낯선 도시의 골목을 걷고 또 걸었다. 나와 일행들은 역사와 현실의 시공간 속을 헤매이며 복잡다단한(?) 퍼즐을 하나하나 맞춰나가야 했다.
▲ 상추, 쑥갓, 가지가 텃밭에서 싱그럽게 자라는 대만의 겨울
▲ 타오위안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지하철 안에서 바라 본 타이베이 풍경
겨울 우기, 걷고 또 걸으며 타이베이 속으로!!
공항에서 시내로 진입하는 열차에서 바라본 이 도시의 건물들은 이끼로 가득차고, 녹슬고 녹물이 흘러 을씨년스러웠다. 왜색풍의 건물들과 중국풍의 건물들이 뒤섞인 곳, 거리의 일제 자동차들 무리 속에 간간이 보이는 한국차. 도로를 질주하는 스쿠터 행렬….
설날을 며칠 앞둔 2주간의 특수. 홍등으로 반짝이는 디화가의 야시장은 그야말로 불야성이다. 시장 골목은 인파로 가득 차 발 디딜 틈이 없다. 산해진미들은 손님을 맞기 위해 때깔 좋게 차려졌고, 반짝 알바로 고용된 듯한 젊은이들은 미소를 날리며 시식을 권한다. 한국말도 간간히 들려온다. 시식만 해도 배가 부를 지경이다.
▲ 디화가의 야시장 풍경. 장터 위 건물의 2, 3층은 독특한 문양의 엔틱한 개성을 뽐내고 있다.
야시장의 흥에 흠뻑 젖어들면서도 힐끗힐끗 2층, 3층을 올려다본다. 중국, 일본, 서양식 건물 문양의 기묘한 조화. 내 나이 또래의 대만인들이 추억에 젖을만한 소재들이란다. 이방인의 눈에는 큰 감흥이 일어나지 않았다. 어쩔 수 없는 안목과 경험의 한계이리라.
▲ 대도정으로 가는 길과 한적한 대도정 부두 풍경
야시장을 빠져 나와 인근 대도정(大槄埕) 부두로 향했다. 강 건너 마천루 불빛과 유람선, 홍등이 반짝이는 가라오케 무대에서 들려오는 노랫소리. 모래가 쌓여 상업항구 기능을 상실한 곳이라는데 의외로 을씨년스러움은 느낄 수 없었다. 청말 이래 번성하며 전 세계로 대만의 물산이 뻗어 나갔던 화려한 과거. 안개비마저 없었다면 쇠락한 부두의 쓸쓸한 풍광에 스며 있을 아련한 의미를 느끼지 못했으리라.
"미래, 그것은 오고 또 올 것이다. 좋든 나쁘든 그것은 계속 올 것이다" _「천마다방天馬茶房」 중에서
차이루이웨(蔡瑞月)는 대만의 현대무용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무용의 전파에 힘쓴 대만 현대무용의 어머니이다. 1921년 타이난(台南)에서 태어나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당시 현대 무용가인 이시이 바쿠(石井漠) 밑에서 무용의 기초를 배웠다. 배움을 마친 후에는 귀국하여 무용에 모든 것을 다 바치면서 현대 무용의 개념을 대만으로 도입하였다. 차이루이웨는 ‘인도(印度)의 노래’, ‘우리는 우리의 대만을 사랑합니다’ 등 500여편의 현대무용을 창작하였다. 또한 발레, 민족무용, 대만 민속무용 등 다원화된 무용을 결합하여 대만 현대무용의 어머니로 불려지게 되었다. 차이루이웨 무용학원은 역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는 건물로 일제시대에는 관료 기숙사였다. 당시 타이베이에는 다양한 등급의 기숙사들이 있었는데 대부분은 목조로 지은 일본식 주택형식을 따른 것이었다. 1925년 전후에는 수 십 동을 연결하여 만든 목조 기숙사가 중산북로(中山北路)에 지어졌다. 차이루이웨 무용학원도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그 구조를 보면 일본 판임관(判任官 ; 일제시대 하급관리)의 숙소로 쓰였고 1953년에는 차이루이웨의 집이자 무용창작 및 창작무용 연습교실로 사용되었다. 이곳은 후에 무용교실로 바뀌었다. 비록 화재를 겪었으나 1999년에는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이곳을 대만 현재무용이 뿌리내린 곳으로 인정하였고, 이에 다시 재건하기로 결정하여 이곳을 개인 소유하려 했던 건설업자들에게서 벗어나 고적으로서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었다.
타이베이 친다오관의 주요 건물
▶ 치둥가 일본식 기숙사(齊東街日式宿舍)
치둥가(齊東街)는 청대에 산반차오가(三板橋街)로 불리며 맹갑과 석구(錫口 ; 現 송산(松山))를 연결하는 중요한 ‘쌀의 길(米道)’로써 타이베이 성내 지역에 식량과 석탄 및 각종 생필품을 공급했다. 일제시대 타이베이의 개발은 점차 동쪽으로 확장했고 치둥가는 사이와이정(幸町)에 편입됐다. 당시 치둥가 및 치남로(齊南路) 일대에는 1920년부터 1940년 사이에 지어진 많은 관료 기숙사가 존재하여 ‘사이와이정 관료기숙사촌’으로 불렸다. 이 곳의 기숙사는 총독부의 관리 아래에 있었으며 8개의 등급을 나누어 거주토록 했다. 직급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 좋은 기숙사를 배정받게 된 것이다. 치둥가에는 2급 이상의 관료들이 머무는 관사가 있었다. 현재 타이베이 친다오관(臺北琴道舘)이 있는 건물은 보존 상태가 가장 훌륭하고 규모도 가장 크며 관사의 위계 또한 가장 높았다. 2010년에 타이베이시 문화국에서는 건축가 쑨치롱(孫啟榕)에게 수리 복원을 맡겼으며 현재 시 지정 고적 및 역사건축물로 지정되어 있다. 건물 밖에는 시에서 보호하고 있는 오래된 나무 50여 그루가 서 있고 녹음이 짙어 옛 정취를 한층 더 느낄 수 있다.
화산문화창의공원 정면
▶ 화산문화창의공원(華山1914文化創意產業園區)
화산문화창의공원은 원래 1914년 일본방양주식회사(日本芳釀株式會社)에서 만든 술을 생산하는 공장이었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 국민당 정부에서 공장을 접수하여 대만성전매국타이베이양조공장(台灣省專賣局台北酒工廠)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식확장으로 인해 주변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환경문제가 대두되자 양조장은 1987년 타오위안(桃園)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술을 생산하는 공장이었다는 흔적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데 들어서는 입구 3층 벽돌 건물은 쌀로 빚은 곡주를 위한 공간으로 시멘트를 얽어서 짜놓은 모양을 하고 있고 여러 차례 보수되면서 건물마다 높이가 다를 뿐만 아니라 건축 양식도 차이가 있다. 현재 이곳은 타이베이 개발 역사를 생생히 보여주는 공업 유적지가 되었으며 지금은 이름을 바꾸고 복합문화창작공간, 예술단지로 다시 태어났다. 단순하게 지어진 공장 건물과 두꺼운 담장, 높이 솟아 있던 창고는 예술작품 전시, 공연, 특색 있는 식당 등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대만 디자이너 주간, 심플라이프 페스티벌, 음악회 등의 행사를 열면서 타이베이 문화예술계의 중요 장소가 되었다
▶ 박애특구(博愛特區)
박애특구(博愛特區)는 타이베이 중정구(中正區) 안의 총통부를 중심으로 하는 구획된 특별지역이다. 이곳에는 총통부, 행정원, 사법원, 외교부, 법무부, 최고법원, 타이베이 지방법원 등 주요 정부기관이 모여있는 곳으로 대만의 정치 중심구역으로 불리는 만큼 대만 계엄령시기부터 군 당국이 구획하여 ‘타이베이시 박애특구 경비구역’으로 특별 관리하고 있다. 때문에 이곳을 중심으로 항공법 및 건축법 등 많은 규제들이 따른다. 현재 대만 정치의 중심구역인 즉, 일제시대 당시에도 정치 중심구역이었기 때문에 많은 일제시대 건축물들이 위치하고 있다.
▶ 아스토리아 카페(明星咖啡館, Astoria Café)
러시아 혁명 이후 황실 군관 Elsne艾斯尼가 상해로 망명하게 된다. 비슷한 시기에 동향(同鄕)인 Burlinsky布爾林가 상해에 ‘명성카페(明星咖啡館)’를 개업한다. 후에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건너올 때 같이 건너와 18세의 졘진주이(簡錦錐)와 나이를 뛰어넘는 우의를 다진다. 그리고 布爾林을 포함한 몇몇 동향인들과 1949년 우창가(武昌街)에 ‘명성 서양과자점(明星西點麵包廠)’을 개업하고 그 2층에 ‘명성카페’의 문을 열었다. ‘명성(明星)’이라는 이름은 ‘Astoria’에서 왔는데 Astoria가 러시아 말로 ‘우주’라는 뜻이다.
맹갑(艋舺, 중국어로 멍지아)은 타이베이의 최초 집거지로 알려져 있다. 청나라 말기 타이베이성, 대도정(大稻埕)과 함께 타이베이 핵심 구역 중 하나다. 또한 ‘맹갑’이란 명칭은 현재 완화(萬華) 구역의 옛 명칭이다. 청나라 시기 대만 원주민들이 한족과 교역을 할 당시 사용하던 통나무 배(카누 獨木舟)를 방카(Bangka)라고 불렀는데 대만어(민남어 閩南語)로 맹갑을 방카(Bangka)로 발음하기 때문에 이후 맹갑으로 표기하였다. 완화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일본이 1920년, 맹갑의 대만어 발음인 방카(Bangka)와 비슷한 반카(萬華)로 명명하면서부터다. ‘영원토록 번화하라(萬年繁華)’는 뜻을 담고 있다. 과거에는 단수이(淡水) 강을 통해 정크선이나 작은 증기선이 오갔지만 단수이 강 수심이 얕아져 운송 기능을 상실하면서 맹갑은 차츰 쇠퇴했다. 하지만 현재 맹갑에는 옛 가옥들과 좁은 길을 따라 형성된 상점가의 면모가 그대로 보존 돼 있어 타이베이 초기 역사를 감상하기 좋다.
▶ 탕부문화구역(糖廍文化園區)
일제시대의 설탕제조공장으로 1911년에 설립됐다. 식민지 시기 타오위안(桃園) 북쪽에 위치한 유일한 제당소였다. 일본 정부는 ‘공업의 일본, 농업의 대만’ 정책을 실시하면서 개인이 소유한 제당소를 사들여 대형집약경양 방식을 추진하였다(당시 개인 제당소의 규모는 크지 않고 품질 또한 일정치 않았다). 반챠오(板橋) 임가(林家)의 임웅징(林熊徵) 등이 타이베이 제당주식회사를 설립한 후, 전기제당공장을 합병 인수하여 이듬해 공장을 완화(萬華) 지역에 건설하였다. 이후 1916년에 타이베이 제당주식회사는 대만제당주식회사로 합병되며 타이완 제일의 신식 제당공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1943년, 태평양전쟁의 긴박한 전황으로 인해 사탕수수와 일손의 공급이 부족해져 타이베이 제당소는 결국 문을 닫게 된다. 전후에 이르러 남아있는 창고는 대만설탕공사(臺灣糖業公司)에 인수되었지만 머지않아 바로 설탕 제조를 중지하고 저장 창고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 징신뉴스(徵信新聞 ; 現, 중국시보(中國時報))가 대만설탕공사의 창고를 인수하여 신문 출판업을 시작하였고, 이는 주변의 인쇄산업의 집약으로 이어졌다. 1970, 80년대부터는 철도운송이 편리해짐에 따라 기성복 도매산업이 다리가(大理街)에 모여들었다. 그러나 산업환경변화와 도시발전 축의 동쪽 이전(現, 신이구(信義區) 일대)으로 완화 지역의 공업 환경은 점차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인구가 조밀해지고 건물이 빽빽히 들어선 후에는 실질적인 환경의 질이 점차 나빠졌고, 공공설비는 주민들의 생활기능에 부합하지 못하여 점점 더 도시발전에서 소외되었다. 이후 다리가 지역주민들은 요양원 설립을 반대하고 마을 공원 설립을 쟁취하였으며 대만 최북단에서 제당구조가 남아있는 타이베이 설탕공장을 보존하였다(다리가 지역 사회의 항쟁은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 참고). 수 년 간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타이베이 시정부는 2003년에 남아있는 세 동의 창고와 설탕을 옮기기 위해 사용했던 플랫폼을 고적으로 지정하였고 2011년에 탕부문화구역으로 이름을 바꾸며 새로운 완화문화 관광명소를 창조하였다.
맹갑공원 옆의 중고 노점의 모습
▶ 맹갑공원(艋舺公園)
맹갑공원(艋舺公園)은 용산사(龍山寺) 옆에 있으며, 원래 명칭은 ‘완화12호공원(萬華十二號公園)’으로 타이베이 시정부가 예술을 테마로 개발한 매우 특색 있는 공원이다. 공원 내부에는 문화적 의의를 지닌 디자인이 많다. 동쪽에 있는 용형태의 조소는 중국 풍수 중에 좌청룡의 상서로움을 상징하고 서쪽에 있는 배형태의 조소는 타이완 선조들이 일찍이 강을 건너, 운수, 무역 등 교통수단으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중앙의 연못은 중국 풍수와 접목 시켜 북두칠성 방향에 맞게 설치하였으며 매일 한번 분수쇼를 공연한다. 공원 북측에 있는 사찰 광장(廟埕廣場)은 용산사 사찰과 그 연장선에 있다. 광장 내의 별자리 표시는 중국의 별자리와 서양의 열두 별자리를 결합시켜 디자인한 것으로 총 2천여 개의 작은 별들을 박아 넣어 밤이 되면 각종 다른 빛깔의 빛을 발산한다. 맹갑공원은 시정부의 ‘축선 반전, 서구 재건(翻轉軸線、再造西區)’이라는 구호아래 건축된 중요 공원이다. 이 공원과 그 연장선에 있는 용산사는 타이베이시 역사, 문화와 종교의 중요 관광지로서 서구 도시의 재발전을 기대하고 있으며, 상업의 유동성, 국제 관광 명승지로 재건함으로써 맹갑 200년의 멋스러움을 재현할 것이다.
용산사 광장
▶ 용산사(龍山寺)
정식으로는 맹갑 용산사(艋舺龍山寺)로 부르지만 맹갑의 용산사가 가장 유명하기 때문에 흔히들 간단히 용산사로 부른다. 용산사는 맹갑 청수암(艋舺清水巖), 맹갑 청산궁(艋舺青山宮)과 함께 맹갑 3대묘로 불린다. 혹자는 맹갑 신흥궁(艋舺新興宮 ; 現 시먼딩 천후궁(西門町天后宮))까지 포함하여 맹갑 4대묘라 부른다. 또한 용산사는 맹갑 청수암, 대룡동 보안궁(大龍峒 保安宮)과 함께 타이베이 3대 묘로 부르고 있다.
용산사는 청 건륭(乾隆) 3년(1738년)에 천주 삼읍인(泉州 三邑人)들이 건립한 타이베이 시내 사찰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다. 청 가경(嘉慶) 연간에 발생한 대지진으로 용산사는 큰 피해를 입어 개수하였으며 1867년에 폭우로 인해 다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일제시대에는 일부 공간을 학교와 군영, 사무실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919년, 용산사 승려 복지법사(福智法師)가 오랜 시간 훼손된 절을 보고 지방 유력자들에게 기부금을 모아 중건하여 현재와 같은 면모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어 현재의 건물은 1957년에 다시 복원한 것이다. 중국 남방 양식과 대만 전통식 건축의 조화로 화려함을 더했다. 불교와 도교, 유교가 공존하는 사원이라는 점도 독특하다. 본존에는 관세음보살, 본전 뒤에는 마조(媽祖), 관우 등 도교와 민간신앙의 신들을 모셔 놓았다. 본존은 본당에 안치된 관음보살이지만 그 외에도 보현보살, 마조, 관제(關帝), 삼신할머니(誕生娘娘) 등의 신불을 모시고 있다. 특히 관음보살은 전쟁으로 본당이 불에 탔을 때도 전혀 손상을 입지 않았기 때문에 영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음력 2월 19일 관음보살 탄생일에는 성대한 제전이 열린다.
▶ 보피랴오 역사거리(剝皮寮歷史街區 ; 타이베이시 향토교육중심)
완화의 옛 거리의 골목을 다니다 보면 보피랴오(剝皮寮)라고 하는 옛 거리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은 여전히 백여 년 전 청대의 거리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붉은 색의 벽돌, 무지개형의 기루(騎樓), 꽃을 조각한 창문틀 등이 우아하면서도 소박한 아름다움을 뿜어내고 있다.
보피랴오 역사거리는 청대의 거리모습, 청대 전통 가게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는데 건축공간이 맹갑 시가의 발전을 보여주고 있으며 독특한 역사문화와 건축특색을 드러낸다. 타이베이시 향토교육센터는 교육과 문화의 이념을 융합하여 향토교육을 진행하는 장소로 발전시켜 왔는데 학교교육과 커뮤니티 문화를 결합시켜 여러 가지 주제와 보피랴오 관련 역사 특별전 등을 열고 있으며 각종 교육 활동도 진행하여 휴가를 겸한 교육이란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문맹루 내부
▶ 문맹루(文萌樓)
문맹루는 1925년 일본 건설회사 호라이사(蓬萊會社)가 지은 예전 공창관이다. 공창관이 성행하던 시기의 구이수이가(歸綏街)는 사람들의 소리와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주변 역시 역시 각종 장신구, 의복, 화장품을 파는 곳이나 약국 및 정력제를 파는 좌판 장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문맹루 뒤쪽의 경찰서가 위치하고 있는데 과거 공창제도가 존재할 당시 공창관 손님들간의 분규를 해결하는 등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2006년에 타이베이시는 고적으로 지정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전 대만에 유일하게 보존된 합법적 성매매 공간이다. 일제시대 대만의 성매매 산업의 역사와 근대 대만 사회운동사에 매우 중요한 곳이다. 현재 건물 자체는 존재하지만 문맹루는 존재하지 않는다.
▶ 볼레로(波麗路) 레스토랑
볼레로는 1934년에 영업을 시장하여 대만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레스토랑이다. 볼레로라는 이름은 프랑스 작곡가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이 1928년에 작곡한 관현악곡 ‘볼레로(BOLERO)’에서 따왔다. 개업자인 랴오수이라이(廖水來)는 일본인이 개업한 서양 식당에서 요리를 배운 후 창업하였다. ‘향촌카레점’, ‘뛰어난 서양식 레스토랑’으로 유명했다. 2006년 타이베이시는 볼레로 레스토랑 본점을 타이베이시 역사 건축물로 지정했다.
18세기 말의 대도정은 단수이항이 열린 이후 발전을 하기 시작하여, 상업과 무역이 번영하고 인문이 한데 모이는 곳으로 변했다. 대도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는 1853년에 발생한 주도권 다툼이다. 맹갑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삼읍인(三邑人)과 동안인(同安人)들 사이의 다툼은 결국 삼읍인의 승리로 끝났으며 주도권 싸움에서 진 동안인들은 대도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싸움에서 승리한 삼읍인은 맹갑에 남고 패배한 동안인들은 대도정으로 옮겼으나 이후 번화하고 부귀해진 곳은 맹갑이 아니라 대도정이니 역사의 아이러니라 할 수 있겠다. 대도정은 화려한 바로크식 건축물, 전통적인 민남식 단층집, 붉은 벽돌로 지어 올린 밝은 양옥집을 갖추고 있는데 고적건축물, 전통민속 건축물, 차 도매상, 천 도매상, 한약재상 및 현지 맛집 등 할 것 없이 어디든지 모두 고성의 역사궤적을 지니고 있다. 대도정에서 대표적인 곳이 바로 디화가(迪化街)이다. 타청제(塔城街)의 연장인 디화가와 그 주변은 건어물, 한약 등의 도매상 밀집 지역이다. 대만 식문화가 집대성 된 거리로 입구부터 강한 한약 냄새가 코를 자극하는데 50 곳 정도의 약재상이 있다. 거리 가득 한약재와 진귀한 식품이 진열된 모습도 충분한 구경거리다. 음력설 전에는 식재료를 사러 모인 사람들로 빈틈이 없을 정도로 혼잡하다.
당신에게 여행은 어떤 의미인가? 여행은 누군가에겐 휴식이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새로운 도시와 문화를 만나게 되는 계기가 된다. 후자의 경우에 조금 더 집중해보자. 당신이 만난 새로운 도시의 풍경들은 어떤 모습인가? 미남 배우가 웃고 있는 광고 간판, 질서정연하게 짜인 건물과 도로, 네온사인으로 빛나는 길거리…. 여기서 질문을 던진다. 지금 눈앞에 반짝이는 그것들은 진짜 그 도시의 이야기일까?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는 조금 불편한 타이베이 여행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이 책에는 TV에서 보던 화려한 관광지로서의 타이베이가 없다. 대신 국가권력, 자본주의, 이성애주의 등과 같은 주류의 힘에 맞서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실제 일어난 일이지만, 화려한 불빛에 가려져 잊히고 있는 이야기.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에는 그런 도시의 목소리들로 가득하다.
이제는 친숙한 도시가 된 대만의 타이베이,
이 책을 통해 그 눈부신 풍경들 속에서
희미하게 빛나는 저항의 영혼들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자본과 정치가 만든 풍경 속,
저항하는 도시의 반민들에 대하여
'반민叛民'은 무엇인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정부를 배반하여 반란을 일으킨 백성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여기에 몇 가지의 물음표를 달아보자. 이들은 왜 정부를 배반해야 했는가? 그리고, 어디까지를 반민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것인가?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는 도시의 유행적 개발에 따라 거리로 나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도시사史를 수놓은 저항들은 도시의 주류적 풍경에 저촉되고 차별받으며 배척당하는 오명의 집단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주류 가치세계는 이들의 목소리를 감추고, 묵히며, 잊히게 함으로서 표면적 평화를 들추어낸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타이베이의 풍경 구석구석에 반민의 목소리가 있다.
이 책은 52곳의 역사적 현장을 돌아보고 당시의(혹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야기와 갈등을 전한다. 타이베이의 낯선 풍광 속에서 일찍이 목격했던 익숙한 장면들이 스쳐 지나갈 수 있다. 한국과 대만, 두 공간에서 시민들의 운명은 일제강점기, 전란과 냉전의 대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풍파 속에서 분연히 떨쳐 일어난 민주화의 과정을 통해 몹시 유사한 구조와 결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용산사 민주강연, 중산북로 포위 사건, 타이완대학교 학생들의 항쟁 등 정치적 권리 운동의 모습들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그림자를 생각나게 한다.
“아름다운 타이베이는 없다”
먹거리, 볼거리가 없는 불편한 도보 여행 가이드이자
생각거리를 키우는 인문서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는 크게 두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도보 여행 가이드라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도시사史를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상기시키는 인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이 책을 가지고 도보 여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52곳의 지역들에 대한 지도를 QR코드로 삽입했다. 각 지역의 이야기와 사진들이 끝나는 지점에 주소와 QR코드를 넣어 역사적 사건이 있었던 공간을 찾아가기 쉽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화려한 욕망, 그 이면에 자리한 상처들을 짚어나가며 권력과 자본이 필연적으로 잉태하고선 돌보지 않는 사람들과 공간을 들여다본다. 여기서 우리는 지배, 건설, 개발과 함께 따라오는 저항, 파괴, 몰락의 모습을 만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불편한 이야기들을 따라가며 타이베이의 속살을 헤집는다.
타이베이의 어둠을 걷는다
풍경의 틈새에 박혀 있는 저항을 걷는다
최근 타이베이는 한국인이 많이 찾는 여행지가 됐다.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할배: 대만 편>이 히트를 치면서 대만 방문 한국인의 수가 2014년 50만 명을 돌파했고, 2016년 기준으로 80만 명에 달한다(한국관광공사 통계 참고). 이에 따라 대만 관련 여행 서적도 많이 나왔다. 맛집에서 아기자기한 골목길, 멋진 풍광을 자랑하는 타이베이 근교까지, 아름다운 타이베이의 모습이 여기저기에 넘친다. 여기에 조금은 다른 타이베이 여행서를 추가한다.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는 현재 타이베이가 관광지로서 보여주는 아름다운 풍광 그 이면에 대한 여행서다. 타이베이의 52곳에서 일어난 저항의 움직임을 비교적 거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 4편의 칼럼을 통해 항쟁 승勝·성聖지, 정치권리, 강제이주 반대 운동, 역사보존의 내용을 덧붙여 설명한다.
여행과 도시, 그리고 저항.
반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색다른 여행지 타이베이로
당신을 초대한다.
저자 / 역자 소개
*총책임편집자 왕즈훙(王志弘)
타이완 대학교 건축과 도농연구소(臺灣大學建築與城鄉研究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타이완 대학교 건축과 도농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분야는 도시 및 문화 거버넌스, 환경 거버넌스, 이동과 사회 등을 연구하며 관련 국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도시와 인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심층을 탐구하는 실천적 학자다. 공간과 삶, 삶의 공간, 이 두 날줄과 씨줄을 엮고 푸는 데 천착하며 살았다.
*대표저서
『젠더화 흐름의 정치와 시학(원제: 性別化流動的政治與詩學)』, 台北: 田園城市, 2000.
『타이완 모더니티 박물관 전시자원 연구(원제:臺灣現代性博物館展示資源研究)』, 台北: 國立臺灣博物館, 2010, 공저
『문화 거버넌스와 공간 정치(원제: 文化治理與空間政治)』, 台北: 群學, 2011, 공저
*아래 저자들은 모두 타이완 대학교 건축과 도시연구소 졸업생 혹은 대학원생들이다.
*린구이웨이(林佳瑋)
타오위안(桃園) 시 산업총노조 비서장, 전국 공장폐쇄 노동자 연합항쟁에 참여
*훙둥리(洪冬力)
샤오싱(紹興) 공동체 내 교육 프로그램 간사,샤오싱 공동체 항쟁 및 공동체 구성 참여
*쉬잉펑(徐瑩峰)
영상시각업계 종사
*천리쥔(陳俐君)
반역이 하나의 미덕임을 뒤늦게 깨닫고 관련 활동 중
*천정방(陳政邦)
도시와 사람을 고민하며 살고 있다.
*천린(陳琳)
도도행동(跳島行動)과 샤오싱 교육 프로그램 간사.
샤오싱 공동체 항쟁 및 공동체 구성 참여
*양이징(楊宜靜)
화광공동체 방문조사팀 및 민간계획대책팀 구성원. 도시기획자
*차이정윈(蔡正芸)
타이완 도시들의 이야기를 추적하며 살아가는 사람
*종한(鍾翰) 연극인
*역자들은 모두 한국-대만 관련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窓 Project’의 구성원이다.
곽규환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중국 길림대학 중국근현대사 석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길림대학 공공외교학원 박사과정(국제관계 및 초국경문화연구)에 있으며 동아시아 국제관계·공간문화·사회 등을 연구한다. ‘窓 Project’를 기획했다. 한반도, 중화 문화권, 일본, 동남아를 잇는 매개·접점 공간에 주목하며 유랑 중이다.
한철민
경북대학교 사학과, 국립대만사범대학 역사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동북아시아 화교를 연구한다. ‘窓 Project’를 총괄하고 마이리얼트립 대만 여행 ‘징검다리’ 가이드로 활동하며 대만의 속살을 헤집었다. 책과 현장을 넘나들며 살고 있다.
이제만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 현재 대만사범대학 역사학과 석사 과정
장효주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
허동근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제1구역 완화萬華, 다퉁大同
01 다리가 탕부 문화구역과 런지요양원
-님비NIMBY에서 보존까지
02 맹갑공원과 유민-하늘과 땅을 집으로 삼고, 거리를 마당으로 삼아
03 용산사 민주강연-지방의사당에서 계엄 해제의 성지로
04 보피랴오 역사거리-박제된 일상
05 중화상가-기억으로 망각에게 대항하다
06 바오더우리, 문맹루와 매춘 폐지 논란-꾀꼬리와 제비가 연지골목을 날다
07 대도정 역사거리-공간보존과 생활보존
08 천마다방-공공기억의 먼지
제2구역 중정中正, 중산中山
09 장미 고적, 차이루이웨 무용학원
-신체를 매개로 한 여성의 사회실천
10 천룡국에서 작은 인도네시아까지
-숨겨진 그 선을 넘어
11 창더가 사건
-여름밤의 연꽃, 오늘 만개하다
12 화산문화창의공원
-전위예술 기지에서 백화점으로
13 치둥가 일본식 기숙사 보존 운동
-역사의 흔적이 머물러 있는 옛 거리
14 샤오싱 공동체-강제이주에 반대하고 공동주택을 요구한다
15 바오창옌-판자촌에서 예술촌으로
16 14, 15호 공원-우리집은 캉러리, 시청 불도저를 규탄한다
17 중산북로 포위 사건
-거리를 가득 메운 항의민중
18 젠궈맥주공장
-푸르렀던 시절을 기억하는가?
제3구역 다안大安, 원산文山
19 화광공동체-금싸라기 땅 위의 유민들
20 7호공원-무허가 판자촌과 타이베이 돔 구장은 떠나고, 삼림공원과 관음보살만이 남다
21 융캉공원 보존운동-부르주아지의 부상
22 린이슝 가택살인사건-원한마저 삼켜버린 공의의 빛
23 타이완대학교 정문-교문을 나서서 사회로 나아가다
24 사범대학교 상권쟁의 사건-위대한 거리의 탄생과 몰락
25 찬추산 마을 보존운동
26 자이싱 마을과 하모니 홈 항쟁
-사랑의 이름으로
제4구역 숭산松山, 신이信義, 난강南港,
네이후內湖
27 정난룽 분신사건-화염 속에서 불타오른 자유의 영혼
28 융춘 재개발 논쟁-알박기? 융춘 호랑이
29 숭산담배공장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의 충돌
30 난강 202 병기창-시민의 허파, 기득권의 놀이
31 산주쿠 쓰레기 매립지 항쟁-10년의 나무, 100년의 쓰레기
32 츠지 네이후 보호구역-자선의 이름을 건 생태 개발
제5구역 스린士林, 베이터우北投,
단수이淡水, 바리八里
33 스린 제지공장-집단 기억의 해석권
34 신광방직 스린공장-사들여진 청춘
35 원린위안 도시개발 강제철거 반대운동-페이스북, 라이브 방송, 붉은 벽돌 화덕
36 서쯔다오 개발안-연민에서 벗어나 자립으로 나아간 지역사회의 역량
37 베이터우 케이블카에 반대하다-내 삶의 행복으로 만든 당신의 온천길
38 관두자연공원-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원주민’
39 단수이-베이터우 자동차 전용도로
-단 7분을 단축하기 위한 여정
40 단수이 중젠가-안녕히 계세요! 중젠가의 할머니
41 13행 유적의 박물관화
제6구역 신뎬新店, 융허永和, 투청土城
42 징메이 인권문화공원-예술의 외투를 뒤집어쓴 과거청산
43 시저우 마을 투쟁-고향의 이름으로
44 류궁전 비관영 군인마을-기억으로 이야기할 때
45 융허 커뮤니티 칼리지-그 학교들은 가르치지 않는 것들
46 투청 탄약고-형무소를 반대하고 녹지를 지켜내자
제7구역 산충三重, 루저우蘆洲, 우구五股,
신좡新莊, 궁랴오貢寮
47 싼충 다퉁남로 일대의 젠트리피케이션-군인마을, 공공지원주택 그리고 도시 재개발
48 얼충 둔치와 농민 항쟁-한 마을의 생사흥망
49 얼충 둔치의 외곽 노동자-전민택시의 이동항쟁
50 공장을 집으로 삼은 둥링전자-공장 폐쇄와 실업의 축소판
51 러성요양원–중대건설에 희생은 불가피한가?
52 반핵시위와 항쟁 퍼레이드
-LOVE, PEACE or FIGHT?
칼럼 1. 타이베이 항쟁 승리의 장소-반민 충돌의 핫스팟
칼럼 2. 국가권력과 질서 속에서, 반민의 민주화와 정치권리 운동이 부상하다
칼럼 3. 개발권력에 맞서 거주권을 지키다- 강제철거 반대운동의 실천과 난관
칼럼 4. 영원히 길 위에서-타이완 고적 보존을 반추하며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
왕즈홍 외 9인 지음 | 곽규환, 한철민 외 3인 옮김 | 306쪽| 20,000원 |
2017년 10월 30일 출간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는 조금 불편한 타이베이 여행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이 책에는 TV에서 보던 화려한 관광지로서의 타이베이가 없다. 대신 국가권력, 자본주의, 이성애주의 등과 같은 주류의 힘에 맞서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실제 일어난 일이지만, 화려한 불빛에 가려져 잊히고 있는 이야기. 『저항의 도시, 타이베이를 걷다』에는 그런 도시의 목소리들로 가득하다.
약속과 예측
정동 이론을 젠더 연구와 연결시키고, 이를 ‘젠더·어펙트’ 연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책에는 물질과 담론, 자연과 문화, 주체와 객체 등 근대적 이원론으로 온전히 포착되지 않는 현실을 드러내 보이는 정동적 분석을 담은 열두 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문학/사상 2 : 주변성의 이행을 위하여
‘중심’과 ‘주변’이라는 문제틀은 실체가 있는 대상이 아니라, 다르게 배분되는 정치적 힘을 가리키는 은유라고 해야 더 알맞다. 그렇다면 우리는 중심/주변의 관성적 이항대립을 깨뜨리기 위해 어떤 개념적 장치를 가져야 하는가?
통증보감
아프면 병원 가고, 약 먹고, 수술하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는 세상. 누구나 지니고 있는 자연치유력과 생활습관으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비법을 소개한다. 질병의 증상과 통증 부위에 따라 원인을 정리하고, 도움이 되는 운동을 정리해 실었다.
베스트셀러
말랑말랑한 노동을 위하여
★좋은 일의 기준이 달라진다★ 우리 사회가 가진 일에 대한 낡은 관념을 되짚어보고 변화하는 좋은 일의 기준에 대해 말한다. 삶과 함께하며 일할 권리, 나쁜 노동을 거절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 어떠한 고용형태라도 차별 받지 않는 구조, 어린 노동자들도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노동환경 등 일에 대해 활발하게 논한다.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
★2020년 부산 원북원도서 선정도서★ "살면서 어쩔 수
없이 마주해야 하는 불안, 고통, 슬픔. 지치고, 지겨운 삶 속에서도 견뎌야 하는 이유,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에는 매일매일 살아가는 이들에게 삶을 지키고 자신을 지키게 하는 글들이 담겨 있다.
벽이 없는 세계
★국경 없는 시대에 필요한 지정학 전략★ 자유주의적 국제 질서의 붕괴와 포퓰리즘 부상을 필두로 한 50개의 주요 이슈를 통해 국제 정치 현안을 다룬 책이다. 미국, 중국, 터키, 러시아 등 세계 주요국의 지정학 전략을 통한 국제 정세를, 서구의 시각에서 벗어난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한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재밌네요.
역사 공부 다시 하는 기분!
대만에 대해 잘 몰랐다는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