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16 산지니 소식 154호_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공공도서관, 부전도서관의 역사를 정리하다 오늘 발송된 산지니 소식 154호에서는 의 이양숙 저자와의 인터뷰를 보내드렸습니다. 부전도서관은 부산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중 가장 오래된 도서관으로, 1901년 일본홍도회 부산지회의 도서실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 도서관 계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7월, 안전등급 최하위 등급을 받아 현재까지 휴관 중인데요. 이양숙 저자는 이 책에 부전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민들과 각계 전문가들이 함께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책과 도서관을 '찐'으로 사랑하는 '도서관 마니아' 이양숙 저자와의 만남, 그 현장으로 초대합니다!>>https://stib.ee/JujE ★편집자의 쪽지 #sun 편집자 편집자의 쪽지에 소소한 개편이 있습니다. 지난 뉴스레터까지는 .. 2024. 10. 18. 의료 대란을 다룬 표피적 기사에 갈증을 느낀 이들에게 :: 『뒤틀린 한국 의료』 가 시사IN에 소개되었어요. 지역의료 붕괴, 필수과 인력 부족, 공공병원의 존폐 위기. 한국 의료의 추락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이 의사 집단과 한국 사회의 갈등으로 커진 지금, 김연희 저자는 갈등 이면의 의료 문제를 파고듭니다. 는 여러 의료 종사자와 환자의 목소리를 통해 논쟁적인 보건의료 이슈의 해답을 찾고 의료 개혁을 위한 질문을 던지는 책입니다. 🚑 가 시사IN '기자가 추천하는 책' 코너에 소개되었습니다 😊 진심이 가득 느껴지는 소개글의 전문을 공유합니다. 불공정 논란 감수하며 이 책 추천하는 이유 [기자의 추천 책]〈뒤틀린 한국 의료〉김연희 지음산지니 펴냄 손석희 전 JTBC 대표이사는 “어느 시대건 보도의 힘은 팩트에서 나오는 것이다”라고 말했지만, 무엇이 팩트인지부터 합의하지 못하는 사안도.. 2024. 10. 14. 보건의료 시스템을 읽는 ‘리터러시’_『뒤틀린 한국 의료』 시사인, 이데일리, 국제신문 언론 소개 코로나가 재유행하고 있습니다. 질병청은 8월 말까지 유행하다 이후 사그라들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정부는 코로나 환자로 인한 응급실 괴부하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병원과 지병의료원 발열클리닉을 야간과 주말에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공공병원은 지난 코로나 사태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계속된 환자와 의료진 이탈을 극복하지 못해 운영난에 처해 있습니다. 정부는 민간 병원으로의 진입을 유도했고요. 헌신의 대가로 수렁에 빠진 공공병원이 코로나 대응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요. 의료 문제에 관심이 있지만 전문 용어 등으로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의료 시스템을 읽는 리터러시를 기를 필요가 있습니다. 는 현장과 전문가 그리고 시민을 연결한 기자의 말을 통해 의료 산업의 이해를 돕습니다. .. 2024. 9. 4. 해양인이 왜 소중한 존재들인가_『나는 바다로 출근한다』시사인 언론소개 바다를 일과 삶의 터로 삼아 살아가는 해양인들을 인터뷰한 책 『나는 바다로 출근한다』가 에 소개되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해녀, 경매사, 도선사 등 바다에 깃든 해양인들의 억척스러운 생애사에 주목해 주셨습니다. 기사에서 언급해주신 것처럼 이 책이 한국 해양문화에 관한 사료로 자리 잡기를 바랍니다. 나는 바다로 출근한다 김정하 지음, 산지니 펴냄 '해양인들이 왜 소중한 존재들인가?'에 대한 대답은 희미하게나마 마련한 듯싶다. 해양 문화를 연구해온 저자가 바다와 연관된 일과 삶을 유려하고 심도 있게 담아냈다. 28년간 부산에 살면서도 바다와 관련된 담론은 어딘가 늘 부족하다 느꼈다. "해양인에 대한 천시와 박대"를 겪으며 살아온 해양인의 속마음을 알고 싶었다. 새벽 어시장은 죽고 싶다던 사람도 생각이 바뀌.. 2023. 11. 30. <환경에 대한 갑질을 멈출 시간>이 시사IN에 소개되었습니다! 환경에 대한 갑질을 멈출 시간 홍석환 지음, 산지니 펴냄 "내가 낸 세금에 의해 우리의 환경복지를 빼앗기는 이야기" 만약 재판을 받아야 할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직접 조사하고, 판사는 그 자료를 바탕으로 판결을 내린다면 어떻게 될까.말도 안 되는 일이지만, 지금 한국에는 이런 일이 존재한다. 환경영향평가가 그렇다. 평가서 작성 주체가 해당 사업자다. 매년 수많은 환경영향평가서가 이처럼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결과로 작성된다.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인 저자는 특정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 공간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환경문제라고 정의한다.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면 엄청난 이익을 얻지만, 브라질은 아마존을 보호해도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없다. 그래서 환경문제는 어렵고, 임시방편으.. 2021. 7. 1. <정체성이 아닌 것> 시사IN에 소개되었습니다! 정체성이 아닌 것 나탈리 하이니히 지음, 임지영 옮김, 산지니 펴냄 "정체성은 우의 개념도 좌의 개념도 아니다." 지난 몇 년 전부터 한국 사회는 '정체성'이란 개념과 관련 있는 크고 작은 정치적 싸움들에 휘말려왔다. 그러나 정작 '정체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연구원으로 여성과 현대예술에서 나타는 정체성 문제를 다뤄온 저자는 이 책에서 '정체성이 아닌 것'들을 하나씩 제거해나가는 방법으로 '정체성' 개념을 설명하려고 한다. 저자는 우선 정치와 철학의 관점에서 잘못 사용되고 있는 정체성 개념을 비판한 뒤 인류학·사회학·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생산된 정체성의 의미를 종합 정리하는데, 혐오 문제가 점점 더 중대한 사회 현안.. 2021. 6. 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