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18

택배 기사가 된 목사님, ‘이웃’의 의미를 깨닫다 :: <목사님의 택배일기>가 부산일보에 소개되었습니다! 택배 상자들고 이웃의 세상에 뛰어 든 목사의 이야기. 『목사님의 택배일기』가 부산일보에 소개되어 공유드립니다 😊『목사님의 택배일기』는 개척교회의 목사, 구교형 목사가 2015년부터 택배기사로 노동하며 겪고 깨달은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입니다. 배달 업무의 고충과 함께 '진짜 세상'을 경험하며 종교와 종교인의 자리에 대해, 이웃에 대해, 땀 흘리는 노동에 대해 생각하고 삶의 이치를 깨닫게 됩니다. 종교인에게 직업과 노동은 무엇이며, 이 치열한 현실 속에 종교가 있어야 할 자리는 어디일까요?더 자세한 책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택배 기사가 된 목사님, ‘이웃’의 의미를 깨닫다  다양한 연령대가 모인 택배 현장에서는 자연스럽게 동료애가 싹튼다. 산지니 제공  몸 쓰는 일은 정직해서 보.. 2024. 8. 30.
목사님이 택배 들고 만나러 갑니다! :: 『목사님의 택배일기』가 기독일보에 소개되었습니다 온실같이 보이는 성경과 교회. 그 바깥의 현실적이고 치열한 신도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택배 상자를 든 목사의 이야기. 『목사님의 택배일기』가 기독일보에 소개되어 공유드립니다 😊『목사님의 택배일기』는 상념에 빠져 목사 일이 손에 잡히지 않던 구교형 목사에게 어느 지인이 배달이라는 육체 노동을 권하여 택배 기사로서 교회 밖으로 나가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배달 업무의 고충과 함께 신도들이 살고 있는 '진짜 세상'을 경험하며 종교와 종교인의 자리에 대해, 이웃에 대해, 땀 흘리는 노동에 대해 생각하고 삶의 이치를 깨닫게 됩니다. 종교인에게 직업과 노동은 무엇이며, 이 치열한 현실 속에 종교가 있어야 할 자리는 어디일까요?   [신간] 목사님의 택배일기 목회자와 사회운동가로 살아온 사람이 있다. 바로 본 도서.. 2024. 8. 20.
불이사상으로 세상을 꿰뚫다_『불이문을 넘어 붓다의 세계로』 현대불교신문 언론 소개 는 불이사상을 통해 부처의 진리를 파악합니다. 하나와 나머지 여럿의 관계가 둘이 아니라 말하는 불이사상은 단절과 분열로 힘든 현대 사회에 깨달음을 전달합니다. 이찬훈 저자 역시 불이사상을 통해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바라봅니다.  는 불교의 시선으로 현대사회를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를 소개하였습니다. 기사 전문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이문을 넘어 붓다의 세계로] 不二사상으로 세상을 꿰뚫다 불이문을 넘어 붓다의 세계로/ 이찬훈 지음/ 산지니/ 3만8000원 불이(不二). 부처님이 깨진 마음자리, 대립을 떠난 경지를 의미한다. 이는 〈유마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마 거사를 병문안 간 부처님의 제자들이 불이의 뜻에 대해 서로 토론하게 됐다. 이 토론에 참가한 제자가 무려 32명.. 2024. 4. 25.
불교신문과 법보신문에 <불교란 무엇인가>가 소개되었습니다. “오직 부처의 말씀에 집중하라” 불교 하면 대부분은 고요한 분위기 속 명상이나 수련 등을 떠올린다. 최근의 불교는 종교, 믿음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마음의 평안을 갖기 위한 자기 수련의 방법에 치우친듯하다. 이에 대해 일본의 불교학자 하카마야 노리아키 전 고마자와대 불교학부 교수는 최근 펴낸 에서 “불교 발전 과정에서 대중에게 쉽게 흡수되기 위해 당시 대중적이었던 영혼긍정설을 받아들인 것이 지나치게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책 1장에서는 불교의 발상지이자 불교학의 중심지인 마가다 지역으로 거슬러 간 뒤 ‘북방불교’와 ‘남방 불교’의 지리지를 기술한다. 2장은 불교 성립 이전 인도고대의 사상적 개략, 불전, 삼장의 성립 전개를 비롯하여 불교 발전기의 의미를 묻는다. 3장에서는 신앙의 측면에서 .. 2022. 9. 23.
부처의 말씀에만 집중하다_『불교란 무엇인가』:: 책소개 ‘붓다의 말씀’이라는 의미야말로, 불교라고 한역되어 온 것 중에서 가장 정통적인 의미이다. 마음과 영혼은 불교의 본래적인 것이 아니므로 부처의 말씀에 집중해야 한다. 책소개 ▶ 오로지 부처의 가르침에만 집중하다 불교 하면 대부분은 고요한 분위기 속 명상이나 수련 등을 떠올릴 것이다. 최근의 불교는 종교, 믿음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마음의 평안을 갖기 위한 자기 수련의 방법이나 부처가 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불교가 종교에서 멀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불교 발전 과정에서 대중에게 쉽게 흡수되기 위해 당시 대중적이었던 영혼긍정설을 받아들인 것이 지나치게 확대되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1장에서는 불교의 발상지이자 불교학의 중심지인 마가다 지역으로 거슬러 간 뒤 ‘북방불교’와 ‘남방 불교’의 .. 2022. 8. 30.
제937호 새로 나온 책_인도불교의 역사 ■ 인도불교의 역사 | 다케무라 마키오 지음 | 도웅스님·권서용 옮김 | 산지니 | 288쪽 불교는 최초 출현 이후 어떻게 전개되어 여러 주변국에서 지금의 모습으로 자리 잡은 걸까? 이 책은 인도불교의 출현, 분파로 전개된 이후 밀교와 쇠퇴, 그리고 주변국으로 전파된 과정까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석존의 생애부터 입멸 후 부파불교의 전개, 대승불교의 출현, 공의 논리, 유식의 체계 등 인도불교의 사상적 전개를 추적하면서, 특히 초기불교와 인도불교를 이루는 다섯 개의 축, 즉 설일체유부, 경량부, 대승불교, 대승중관불교와 대승유식불교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아시아 불교의 근원인 인도불교 사상의 발전과 전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뿐 아니라, 특히 한국에 유입된 대승불교의 출현과 함께.. 2018.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