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겨레29

본적은 마산, 주소는 신의주형무소, 직업은 혁명운동_『김명시』한겨레 언론 소개 마산 출신으로 소련과 중국을 넘나들며 항일무장투쟁의 최전선에 섰던 여장군 김명시, 김명시는 '이채 띤 장군', '백마 탄 여장군'으로 불리며 일제강점기 당시 활발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해방 후에는 여성운동 최대 결집체인 조선부녀총동맹 간부로 활동하는 등 운동가로서의 면모도 엿볼 수 있었는데요, 우리 모두가 오래 기억해야 할 인물입니다. 흩어져 있던 김명시에 관한 자료와 기사를 모아 김명시의 생애를 복원한 책 『묻힐 뻔한 여성항일독립영웅:김명시』가 에 소개되었습니다. 항일무장투쟁 여성 장군 김명시 일대기 책으로 일본 영사관 습격 등 항일 무장투쟁 1949년 부평경찰서에서 의문의 죽음 지난해 애국장 독립유공자 서훈 “친일파나 민족반역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 뭉치가 되어야 한다.” 여성 독립운동가인 김명시 장.. 2023. 10. 27.
<정체성이 아닌 것>이 한겨레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정체성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정체성이 아닌 것: 존재 인식에 대한 자유, 나와 타자에 대한 자유 나탈리 하이니히 지음, 임지영 옮김/산지니·1만8000원 전통적으로 좌파는 여성, 장애인, 흑인, 이민자 등 소수자의 시민권과 ‘인정’을 위한 투쟁에서 ‘정체성’ 개념을 발견하고 정치적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흐른 뒤 우파 역시 ‘국가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서로 다른 정치적 용법 아래에서 정체성 개념에 혼란이 일었다.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이 2007년 ‘국가 정체성’을 선거의 핵심 이슈로 삼고, 집권 뒤 국가 정체성 부처를 만든 것이 한 사례다.프랑스 출신 사회학자 나탈리 하이니히(66)는 2018년에 내놓은 짧은 저작 에서 “잘못 통용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 개념을 웅덩이에 내.. 2021. 5. 21.
<약속과 예측>이 한겨레, 국제신문에 소개 되었습니다! [한겨레] 1월 8일 학술 새 책약속과 예측: 연결성과 인문의 미래 동아대 젠더·어펙트연구소 공동연구팀의 첫 성과. ‘젠더·어펙트 총서’ 시리즈의 문을 여는 이 책은 정동이론을 젠더 연구와 연결하고, 이를 ‘젠더·어펙트’ 연구로 제시하고자 한다. 주체와 객체 등 근대적 이원론으로 온전히 포착되지 않는 현실을 드러내 보이는 정동적 분석을 담은 열두 편의 글이 실렸다. 권명아 외 지음/산지니·3만원. 아래 '한겨레'를 누르면 기사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한겨레 [국제신문] [신간 돋보기] 페미니즘·소셜 미디어 등 분석약속과 예측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지음/산지니/3만 원 2019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된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공동연구팀의 첫 성과물이다. 정동 이론을 .. 2021. 1. 8.
[한겨레] 우리는 JTI(전태일) 팬클럽! 한겨레에 전태일 50주기 공동 출판 프로젝트 '너는 나다'가 소개되었습니다. 우리는 JTI(전태일) 팬클럽! 11개 출판사 모인 ‘555회’ 1년 5개월간 ‘전태일 50주기 공동출판 프로젝트’ 진행 결실왼쪽부터 이민호 북치는소년 대표, 조영권 비글스쿨 편집장, 유문숙 보리 대표, 윤은미 산지니 편집자, 전길원 리얼부커스 대표, 이광호 레디앙 대표, 박정훈 철수와영희 대표, 연용호 학교도서관저널 본부장, 조정민 나름북스 대표, 이제용 갈마바람 대표가 지난 21일 오후 서울 청계천로 전태일 기념관에서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2018년 12월11일 오후 5시. 서울지하철 5호선 공덕역 5번 출구 근처 한 식당은 떠들썩했다. 이날 10여 곳의 출판인들이 모여 2020.. 2020. 4. 24.
마르크스에서 ‘인류와 지구 위기’ 대안을 찾다_『21세기 마르크스 경제학』(한겨레) 마르크스에서 '인류와 지구 위기' 대안을 찾다 >>한겨레 기사링크 https://goo.gl/cUJW3o*산지니 출판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10% 할인, 3권 이상 주문시 택배비 무료) 2020. 3. 13.
학살된 '비정상적 죽음'을 기억할 이유_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한겨레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빨갱이'가 된 인간의 뼈, 그리고 유해발굴 노용석 지음/산지니·2만5000원 전쟁의 가장 큰 희생자는 군인이 아니라 민간인이다. 종교나 이념 대립, 민족 갈등, 권력쟁탈전 등의 무력충돌에선 종종 ‘국가’의 이름으로 대규모 학살이 동반된다. 우리 현대사에서도 한국전쟁, 4·19혁명, 5·18광주항쟁 등 비극적 국가폭력의 피해자가 100만명이 넘는다. 그들의 죽음을 기억하고 진실을 드러내고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어두운 과거사 청산과 공동체 회복의 필수 조건이다. 는 국가폭력 연구자인 노용석 부경대 교수가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의 실태와 반세기 만에 이뤄진 유해발굴 사업의 과정과 결과를 되짚고 그 상징적 의미를 고찰한 책이다. 지은이는 2006년부터 진실화해위원회.. 2018.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