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판일기

<샤를리 엡도>지 테러와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1. 13.


다들 프랑스의 <샤를리 엡도>지 테러 사건을 언론지상에서 접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종교라는 이름으로 무고한 시민을 살해한 끔찍한 사건이었는데요.

저는 그 사건을 바라보면서 과연 프랑스만을 옹호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으로 한참 고민스러워졌습니다.

문화평론가 이택광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며칠 전, 경향신문 칼럼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글을 쓰기도 하였습니다.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이 저지른 사건의 이면을 들 보면, 약자들이 문화권력자인 서구인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방법이 단 하나 '폭력'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에 테러범들을 옹호한다는 반대 댓글이 많이 달리기도 하였고요. 국내에서도 '표현의 자유'냐 혹은 '폭력의 또 다른 옹호'냐 하는 논쟁으로 뜨거웠습니다.


[이택광의 왜?]‘표현의 자유’라는 상식에 대한 도전

>>원문보기

프랑스의 시사만평주간지 ‘샤를리 에브도’는 ‘성역 없는 풍자’를 날리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주간지는 ‘풍자’의 대상으로 삼을 ‘성역’에 정치인들은 물론이고 종교지도자들도 포함시켰다. ‘성역 없는 풍자’는 근대 이후 계몽된 시민의 권리 중에서도 최상에 속하는 것이다. 일찍이 많은 사상가들이 앞다퉈 요구하고 옹호했던 권리가 바로 ‘표현의 자유’였고, 이 자유를 실현하고 있다는 척도로서 ‘성역 없는 풍자’에 대한 개인이나 사회의 개방성이 거론되곤 했다. 

이런 관점에서 ‘표현의 자유’는 근대 문명의 원리로 간주되었고, 이를 억압하거나 배척하는 행위는 야만으로 규정되었다. ‘샤를리 에브도’ 사무실에 난입해서 만화가들을 살해한 알카에다를 자처하는 무장 괴한들의 행위를 야만이라고 부르는 서방 세계의 입장도 이런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물론 모든 무장폭력은 문명을 파괴하는 야만적인 행위다. 이런 의미에서 샤를리 에브도에 대한 테러는 일고의 가치도 없이 비판 받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 “내가 샤를리다”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사망한 만화가들에게 조의를 표하는 연대의 목소리는 테러의 폭력성을 규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표현의 자유를 용인하지 못하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게 향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차이는 미세하게 보이지만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역설적으로 “내가 샤를리다”라는 구호는 샤를리 에브도에 대한 테러가 일어난 그 원인을 드러내는 증상에 가깝다. 정작 이 구호에서 빠져 있는 것은 이번 테러를 촉발한 근본적인 문제 중 하나인 “누가 샤를리인가”라는 질문이다. 과연 “내가 샤를리다”라는 구호에 무슬림은 포함될 수 있는가. 무슬림이 “샤를리”이고자 한다면, 그는 세속주의를 용인해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다. “내가 샤를리다”라고 주장하는 세속주의자가 무슬림을 “샤를리”로 인정하려면 종교적 신념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딜레마가 여기에 있다. 

샤를리 에브도가 평소에 주장해온 ‘성역 없는 풍자’는 이런 관용의 정신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었을까. 표현의 자유를 전면에 내세운 이 주간지는 ‘성역’에 대해 세속주의의 관점을 고수하는 입장에 더 가까웠다. 이 세속주의는 근본주의자에게 커다란 위협이었고, 따라서 주간지는 이슬람 세계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무슬림 무장단체들에 ‘눈엣가시’였다. 이런 위협이 현실적이었기에 문제의 테러 사건이 일어나기 전 프랑스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샤를리 에브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던 것이다. 

내부적인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화는 이주노동자들과 공존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냈다. 결과적으로 공존은 이제 선택 사항이라기보다 필수 사항이다. 이런 조건에서 표현의 자유라는 근대적 원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원칙적으로 표현의 자유는 모든 이들에게 허락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다. 우리 모두는 인간이지만, 일상에서 차별과 배제는 항상 일어난다. 그 까닭은 현실에서 작동하는 권력 때문이다. 말하자면, 다 같은 표현의 자유라고 해도 권력의 유무에 따라 결과는 각기 다르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표현의 자유는 사회적 약자에게 필요한 권리였다. 권력자에게 표현의 자유는 피곤한 것이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우화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적 약자는 표현할 것이 있더라도 쉽게 표현하기 어렵다. 그러니까 표현의 자유는 약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합리적인 장치였던 셈이다. 독일 철학자 칸트도 이런 맥락에서 이성을 공공적으로 사용하는 것, 쉽게 말해 언론과 학문의 자유는 무한하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표현의 자유는 화폐가치처럼 모든 것을 동일한 가치로 나누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이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약자의 목소리가 소외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필요한 권리이다. 이번에 발생한 프랑스의 비극은 오늘날 상식으로 굳어진 표현의 자유에 대한 생각을 다시 돌아보게 만든다.

이번 테러 사건이 일어난 배경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상식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관점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층위를 가지고 있다. 한국 역시 이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극우주의자들이 피해자를 자처하면서 무한한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고, 혐오감에 근거한 테러 행위를 ‘애국’이라고 치장하는 일이 버젓이 일어나고 있는 한국의 상황은 프랑스의 비극이 소극으로 되풀이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택광 | 경희대 교수·문화평론가>


저는 개인적으로 홍세화 선생님의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를 읽고 자라며, 프랑스에 대한 좋은 시각으로 성장한 세대이기도 합니다.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프랑스로 망명한 그의 프랑스 생활을 보며, '똘레랑스'(관용)라는 프랑스인들의 고유한 정신이 무척이나 부럽기도 하였는데요.

이번 사건을 계기로 프랑스의 똘레랑스 정신이 훼손되고, 종교적 대립이 극심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지만 저는 이 기회를 계기로 기독교인인 프랑스인들이 먼저 반성하고 성찰한다면 이슬람을 바라보는 시각이 개선되지 않을까 하네요.

무차별 시민을 테러한 것은 분명 잘못된 일이나, 상대주의를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폭력은 어떤 이유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논리도 있지만요)

이번 기회로 프랑스인들이 모두 'Je suis Charilie'를 외치며 대동단결했다던데, 그들이 외치는 자유는 '프랑스인들만의 자유'인걸까요? 프랑스인들의 자유가 프랑스인들에게 소중한 만큼, 저는 이슬람인들의 종교적 가치도 무슬림들에게 소중하다고 봅니다. 



계명대 독일러문학과 장희권 교수의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이슬람 첨탑 금지 홍보 벽보. 첨탑이 미사일 탄두 모양으로 묘사됨. <바디쉐 짜이퉁>, 2010년 10월 12일. 독일사회의 이슬람 반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이슬람 테러리스트를 옹호하려는 게 아닙니다. 기사(링크 참조)에도 나와 있듯 노르웨이인들 또한 무고한 이슬람 교도들을 더 많이 살해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런 일은 왜 제대로 보도되지 않고, 제대로 된 사과도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묻혀버렸나 하는 것이죠.

정치적 역학관계 속에서 서구언론 위주로 편향적으로 보도된 우리 언론의 문제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사태는 이슬람 원리주의를 주창하는 무슬림 테러리스트들이 잘못을 저지른 것은 맞습니다. 과연 무슬림들은 총기 난사라는 해결책밖에는 없었던 것일까? 그들이 믿고 있는 신 또한 이런 결말을 바랐던 것일까, 하고 말이죠. 세월호 사건의 직접적인 책임이 이준석 선장과 유병언 회장에 있듯이요.

하지만, 세월호 사건의 근본 원인이 우리 사회구조 안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듯, 이번 사태의 원인 또한 단순히 무슬림 테러리스트의 잘못만은 아닐 것입니다.

'펜에는 펜으로 대항하라'라는 논지는 사실 이택광 교수가 지적했듯, 약자인 무슬림들에게 맞지 않습니다. 그들에게는 프랑스인들의 표현의 자유에 대항할 마땅한 '펜'(문화 권력)이 없기 때문이죠. 그들이 칼을 들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한번 더 고찰한다면 글로벌과 전 지구화 사회의 이주현상, 곳곳에서 벌어지는 민족 갈등에 대해 숙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함께 읽어볼만한 책 :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글로컬리즘과 독일문화논쟁 - 10점
장희권 지음/산지니


*본 포스팅은 엘뤼에르 편집자 개인의 생각으로, 산지니 출판사의 입장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