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

[서평] 올해도 오월이 왔다_소설『1980』과 「전라도 닷컴」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 5. 15.

올해도 오월이 왔다

소설 『1980』과 <전라도닷컴>

_인턴 최예빈



 "사람들하고 같이 있을 때문 놈(남)이 우슨께 기양 따라 웃어요. 재미지게 웃어싼 사람 보문 뭣 때문에 웃으까 속으로 그래져요. 나는 웃음이 어디로 가불었어. 웃어도 헛웃음이여요. 오월이 오문 마음이 더 슬프고 질(길)에 가도 아들 또래만 눈에 들어오고..."

<전라도닷컴> 217호, "놈이 가슴 아픈 일 저끄문 꼭 이녁일 같단 말이요" 中



민주화 주간인가보다. 『어느 돌멩이의 외침』을 시작으로, 대표님께 자꾸 이런 책을 받는다. 달력을 보니 수긍이 간다. 오월이니까. 가정의 달이라는 5월에, 가족을 잃은 사람이 많다.


노재열 작가의 『1980』을 읽었다. 

소설은 1980년을 전후한 1년여의 이야기를 부산의 시점으로 다루고 있다. 1980년은 광주에서 5.18민주화 운동이 있었던 해다. 저자는 그보다 한 해 앞선 1979년에 부마항쟁을 이끌었다는 죄목으로 경찰에게 쫓기다 수감되었다. 그는 전두환군사정권 8년 동안 수차례 감옥을 들락거리며 사회운동에 힘썼던 사람으로, 현재는 부산에서 노동상담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자의 이력을 보니, 『1980』이 그의 자전적 소설이라는 점을 확실히 알겠다. 소설은 15P영창에서 주인공 정우가 얼차려를 받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그가 수감된 전말과 그 전후 상황을 상세히 들려주며 근현대사의 질곡을 묘사해간다. 

작가의 분신으로 이해되는 주인공 '정우'는 독재정권 치하에서 대학 내 지하서클에 가담중이던 '뼛속까지 운동권' 학생이다. 서클 내에서 연애를 했다는 이유로 아끼던 후배를 퇴출시킬 만큼 그에게는 오직 "민중"뿐이다. 


'이 엄혹한 시대에 연애 따위를 할 여유가 어디 있느냐 혁명운동에 온몸을 다 바쳐도 모자라지 않느냐, 특히 남녀가 연애를 할 경우 정신이 흩트려지기 쉽다. 서로가 연애감정을 갖는 건 개인적 취향에 따른 것일 뿐, 인류평등의 사상이나 보편적인 인간애와는 동떨어진 부르주아적 관념이다.'

『1980』 中


정우의 이러한 인식은 2010년 후반대에 대학을 다닌 나를 왠지 민망스럽게 하는 구석이 있을정도로 엄중하고 진지하다. 먹고사니즘만이 유일한 이데올로기로 부유하는 대학에서, 이제 혁명이란 어디 먼나라 이야기 같기도, 영영 빼앗긴 단어인 듯 느껴지기도 한다. 

내가 1~2학년일 때는 술자리에서 이런 노래를 부르곤 했다. 

"사랑은 감미롭게, 투쟁은 치열하게, 아~ 미운 사람!" 

내가 별 생각 없이 주워다 불렀던, 먼 윗대 선배들로부터 내려왔다던 이 노래도 차츰 안부르게 된지 몇 년이 지났는데, 『1980』을 읽으면서 불현듯 떠올랐다. 그래, 예전에 대학생들은 투쟁을 했었다. 

 

대부분의 인간은 자신이 직접 경험하거나 자신에게 주어진 사실이 진실이라는 확신이 설 때 그것을 자신의 의식으로 정립하는 겨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어떠한 논리를 편다고 할지라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동의를 얻어 내기가 어렵다. 경험이나 확신조차도 믿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도.

『1980』 中


사회모순과 자신의 문제의식을 대하는 정우의 태도는 매우 진지하다. '진지하다'의 뜻이 "마음 쓰는 태도나 행동 따위가 참되고 착실하다" 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는 정의감에 따라 행동하지만, 자신이 정의내리는 정의에 대한 질문 또한 계속해서 병행한다. 『1980』의 미덕은 여기에 있다. 이 소설은 불온한 역사의 탄압속 맡은바를 느끼며 민주화 운동을 펼쳐야 했던 대학생 정우의 투쟁기를 담은 '운동권 소설'이나, 다양한 인물을 통해 정우에게 지속적으로 생각할 거리를 던져줌으로써 사건을 좀더 입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무력투쟁으로 정권을 탈취하는 것만이 지름길이라며 행동주의를 강령으로 삼았던 영호, 고문 후유증으로 정신착란을 겪으며 예수를 자임했던 정군, 맞아죽을 바에야 스스로 모가지를 따야한다며 자살한 반장 번개까지 차례차례 정우에게 방향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꽃은 봄에만 피는 것이 아니라 여름에도 피고 가을에도 피고, 심지어 추운 겨울에도 꽁꽁 언 땅을 비집고 눈 속에서도 피어난다. 그러므로 꽃피는 봄이 봄이라면 사계절이 모두 봄이어야 했다.

그렇다면 봄은 무엇일까? 유난히 봄에 꽃이 많이 피어서 꽃피는 봄이 되는 것인가? 그리고 또다른 봄, 꽃피는 봄이 아닌 때에도 꽃이 피는 것은 왜일까? 그 봄을 기다리기에는 너무나 먼 날들이기 때문일까? 그 기다림이 다하기도 전에 꽃들이 전부 죽어 버릴까봐, 다른 계절에 몇 송이 꽃이라 할지라도 꽃을 피우게 되는 것일까? 

그래서 그 꽃이 민중이라면 민중의 봄을 기다리고자 한다면 그 민중으로 다가가는 억울한 자들이 계절의 꽃이 되는 것인가? 그러므로 꽃피는 봄은 소외된 자의 봄을 딛고 억울하게 갇혀 잊힌 자들의 봄을 딛고 꽃이 만발하는 것인가? 

『1980』 中



소설은 정우가 10.16부마민주항쟁, 박정희의 죽음, 전두환의 취임을 연이어 목격하면서 스스로 '도망자' 생활을 끝내고 '탈주'하기를 선택하면서 끝낸다. 이어질 1980년 5월의 열기를 암시하며.


1979년 10월 소설 속 정우가 이끌었던 부마민주항쟁이 있은지 바로 다음해, 광주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다. 5.18은 갑자기 단독으로 튀어나온 것이 아닌 10.16의 연결선상에 존재한다. 부산과 광주의 이 경험들이 각각의 독립된 사건처럼 이해된다면 그 끝은 또다시 지역감정(이라고 쓰이지만 사실은 일방적인 전라도 혐오)으로 수렴되고 말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 한다. 


전두환 군사쿠데타세력은 1980년 5월 광주시민을 폭도로 몰아붙이기 7개월 전에, 이미 부산시민을 폭도로 몰아붙였다. 1979년 10월 부산시민의 투쟁과 1980년 5월 광주시민의 투쟁은 연속선상에 있었다. 그 7개월이라는 시간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된 것이었고, 그 속에서 진행되었던 민중들의 투쟁은 점점 커져가는 폭압에 맞서 자신들의 투쟁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었다. 

『1980』 中


이렇게 연결지점을 찾고, 지속해서 공통의 이야기를, 역사를 일궈내는 일이야말로 날조된 지역감정 복원에 일조한다.


부산의 이야기, 『1980』을 읽고 전라도 지역잡지인 월간 <전라도닷컴>을 들춰봤다. 40돌을 맞은 5.18을 특집으로 한 기획기사들을 읽을 수 있었다.  


"모든 슬픔은, 말로 옮겨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에 관해 이야기를 한다면, 참을 수 있다."


살아남은 자의 가장 중한 역할이란 죽은자들에 대한 기억을 망각으로부터 지켜 내는 일이라고 했다. 오월은 매년 오고, "남이 가슴 아픈 일을 겪으면 꼭 이쪽 일 같다"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도 마음을 다잡는다. 남의 슬픔까지도 껴안는 사랑은 감미롭고, 투쟁은 언제까지나 치열해야 한다. 


 

주소인 양 담담히 "우리 아들은 3묘지 66번이요"라고 묘역 번호를 말하는 어매.

"보고자플 때마다 가요. 부상자 친구들이 조르라니 묘가 있어요. 아들 친구들도 다 보고 와요."

수많은 주검들이 여전히 서늘하고 처연하게 오월을 증언하는 망월동 묘지. 그럼에도 한편에선 오월을 둘러싼 왜곡과 폄훼가 극악하다.

"지만원 같은 사람들은 오일팔을 북한에서 넘어온 군인들이 저지른 일이라고 거짓말을 해쌓고 또 어떤 사람들은 오일팔을 자그마니 우려묵으라고도 하고...."

남의 아픔을 헤집고 진실을 조롱하는 자들 너머 자신이 고통을 딛고 남의 슬픔을 껴안는 사람들이 있다.

"놈이 가심 아픈 일 저끄문 꼭 이녁일 같단 말이요. 세월호 사고로 죽은 아그들도 짠하고 부모도 짠하고. 팽목에도 가보고 그 부모들도 만났어요. 우리가 그 부모들 나이 때였어요. 우리 애기들 갈 때가."


<전라도닷컴> 217호, "놈이 가슴 아픈 일 저끄문 꼭 이녁일 같단 말이요" 中



1980 - 10점
노재열 지음/산지니

다시 시월 1979 - 10점
10·16부마항쟁연구소 엮음/산지니


*산지니 출판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10% 할인, 3권 이상 주문시 택배비 무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