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

[서평] 더 먼 곳으로 항해하라,『해양풍경』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7. 20.


 ‘바다’. 바다는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있어 바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나는 이곳 부산에서 평생을 바다와 가깝게 살아온 사람이지만,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단 한 번도 바다, 즉 해양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이 책을 통해 나의 삶과 또 나아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해양에 대해 심도 깊은 고찰을 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인 구모룡은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로 1959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읽고 쓰며 살아가고 있다. 저자는 꾸준하게 지역문화와 해양문화 그리고 해양문학이 만나는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 저자는 사람들은 자주 바다를 강조하지만 정작 인식의 틀을 바꿀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 말한다. 육역의 세계가 아닌 해역의 세계에서 세상을 바라보면,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질 수 있다. 뭍에 포박되고 국가의 스케일에 갇힌 세계가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책은 1부 해양문화를 보는 시각, 2부 해항도시와 해양 풍경, 3부 해양문학의 양상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저자는 해양문화를 보는 시각에 대해 논한다. 저자는 지금껏 우리나라의 해양 정책이 양적인 성장에만 치우친 채로 해양의식해양문화와 같은 의식의 성장이 등한시되었음을 지적한다. , 우리의 해양의식에 대한 의식 고취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해양을 향한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자발적인 참여가 가능한 것이 무엇일까? 결국 사람들의 욕구를 바다로 향하게 하고 바다를 통하여 그것을 실현하게 하는 데서 찾을 수밖에 없다. … 해양의식을 고취하는 데 있어 가장 먼저 언급되어야 할 부문은 당연하게도 생존과 관련된 것이다. 해양과 수산 과련 기존의 직업들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직업들을 창출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 『해양 풍경』 p.23

 

 아무런 변화 없이 의식을 고취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든 일일 것이다. 인용 내용처럼 인간의 생존과 관련된 것의 변화가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것이고, 이것이 해양의식의 고취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직 이런 부분에 있어 우리나라는 한참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으로는 해항도시로서의 부산과 해역 세계 혹은 섬 네트워크로의 제주에 대해 이야기한다. 부산이 식민도시에서 근대도시로, 또 제2도시가 되기까지에는 부산의 해항도시적 특성에 있음을 말하고, 근대의 표상이라 할 수 있는 부산의 영도다리를 소재로 한 작품들도 제시한다. 또한, 제주를 육역이 아닌 해역 세계로 바라봐야 함을 말하고 있다. 더불어 제주에 관한 이야기는 문학/사상 3에서 더 찾아볼 수 있다. 동아시아의 지중해와 제주의 해녀와 관련된 이야기가 담겨있으니 함께 읽어보면 좋을 듯하다.

 

 

 책의 마지막 파트에서는 해양문학에 대해 설명한다. 한국의 해양문학을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천금성부터 김성식, 이윤길까지의 해양 문학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선원들의 삶의 체험이 문학으로 형상화된 작품들을 통해 선원들의 삶과 자연과 인간 사이의 갈등 등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해양문학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내 심장은 불타는 그리움이 있다
핏줄 뜨겁게 가슴으로 치미는 이름은 있다
인도양, 대서양, 태평양, 남빙양, 북극해
그들은 영혼을 훨훨 날린다                                                                                        - 「오대양」 부분

 

 이윤길 시인의 작품 중 하나의 일부분이다. 시인은 이처럼 바다의 부름에 이끌리고, 바다는 그의 혼을 울리게 한다. 책에는 많은 작품들이 실려 있지만, 나에게 가장 인상적이었던 시는 이것이었다. 어떤 작품보다도 바다에 대한 열정이 잘 드러난 작품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이 경험한 바다는 우리가 여름에 더위를 식히고자 몸을 담가보는 바다와는 차원이 다른 깊고 넓은 바다일 것이다. 선원들이 마주하는 바다는 두려움이 생길 수도 있을 만큼 거대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대양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인의 강인한 기개가 느껴지는 것 같다. 나는 무언가에 이렇게까지 심장 불타는 그리움을 느껴본 적이 있는가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이었다.

 우리는 바다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살아가고 있다. 당신의 해양의식은 어디까지 다다랐는가. 해양풍경을 통해 더 먼 곳으로 항해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65452376&start=pnaver_02 

 

해양풍경

구모룡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는 지금껏 우리나라의 해양정책이 해운과 항만, 해양과학기술과 같은 해양활동이 중요하다는 인식으로는 발전했으나, 양적인 성장에만 관심이 치우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