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

[서평]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 정광모 작가의 『콜트 45』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7. 15.

소설을 쓰는 것과는 거리가 있는 부산대, 한국외대 정책과학대학원을 졸업하신 작가, 정광모 작가의 네 번째 단편집 콜트 45. 단편집에는 총 6개의 단편으로 표제인 콜트 45외에도 57번 자화상, 처형, 축제의 끝, 『견습생 풍백, 그림자 도시가 들어가 있다.

모든 단편은 3-40페이지로 구성되어 오랜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쉽게 읽을 수 있는 분량들로 구성되어 있다. 단편들은 현대를 배경으로 하기도, 아니면 판타지적 세계관을 구축하여 쓰였다. 각 단편은 모두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찬찬히 읽어보면 결국 어떤 하나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로는 이것은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아주 근본적이고 오래된 질문을 마주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57번 자화상은 미술, 즉 예술에서 자본이 개입되는 순간 그것은 예술성을 잃는 것인가.라는. 큰 틀 속에서 이런 자본주의에 굴복하기 싫었던 화가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처형에선 교도관과 수감자를 그려내, 인간이 인간을 죽이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 그렇다면 살인을 저지른 사람에게 가장 큰 보복은 무엇인가에 관해 이야기한다.

축제의 끝에선 고도로 발달한 AI와 인간. 스팀펑크적 세계관에서 그려진 판타지적 이야기이다. 어째서 AI의 이야기가 나오면서 스팀펑크(1970~80)적 세계가 나오냐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소설을 읽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AI와 기술발전을 통해, 인간을 구분하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견습생 풍백에선 단군신화를 재해석하여 추악한 인간을 우화적으로 그려낸다.

그림자 도시는 그림자를 사고팔 수 있다는 판타지적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리며, 인간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는 무언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런가, 나는 진실을 좋아하지 않아. 그건 깊은 바닥에 뭘 감췄는지 모를 심연을 닮았거든. 사람들은 진실을 싫어해." (『57번 자화상』 34p.)
“사형 얘기만 나오면 인권 어쩌고 하며 벌벌 떠는 그들이 가증스럽다. 눈앞에서 강도가 아내와 자식을 푹푹 찔러 피바다 속에서 죽였다고 상상해 보라. 당신이라면 강도를 교도소에서 삼십년이나 살려둘 수 있겠는가?"
(『처형』 103, 104p.)
“주인님, 나와 타나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나요. 오늘까지 주인님은 저를 타나로 아셨어요. 인간이 지닌 눈과 코와 귀의 감각은 본디 허약하기 짝이 없어요." (『축제의 끝』 152p.)
“그래도 청요산으로 휴가를 간 풍백과" 우사와 운사는 꿈쩍하지 않았다. 그들은 휴가 기간에는 하늘이 움직여도 끄떡도 하지 않는다는 신조를 지켰다. (『견습생 풍백』 172p.)
“그림자 눈은 주인이자 동반자인 사람에게 붙어 있기를 원해. 그래서 행동하기를 촉구하고 격려하는 거야.”
(『그림자 도시』 198p.)

표제인 콜트 45에선 부산 동구 수정동을 배경으로 현재와 과거의 이야기를 한다. 주인공인 는 할아버지 세대에서부터 살던 집이 싫어서 대학도 가지 않고 취업하여 수정동을 빠져나와 원룸에서 결혼 생활을 한다. 그러다 아내와 커피잔 하나로 싸우게 되는데 이때, ‘는 홧김에 아내를 때린다. 이에 충격을 받은 아내는 집을 나가고, ‘는 아버지의 부름으로 수정동으로 돌아가게 된다. 아버지는 찬찬히 이야기를 듣고선, 탁자에 나무상자를 놓고선 상자 안에서 콜트 45를 꺼내어 의 이마에 겨눈다. 창백해진 의 앞에서 아버지는 총을 거두고 심호흡을 세 번 한다. 아버지는 이마에 총을 겨누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자식에게 총을 겨누는 아버지는 얼마나 될까. 그리고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남편이 또 얼마나 있을까. 아버지는 이런 자기 아들이 역겹고 혐오스러움에 치를 떨며 아들을 죽이려 했다. 폭력의 연쇄를 이어가는 듯했지만 아버지는 콜트 45에 엮인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연쇄를 끊는다.

곧 아버지는 이 콜트 45에 엮인 이야기를 에게 전해준다. 할아버지가 전해 받았다는 콜트 45엔 한국 전쟁 때, 할아버지가 겪었던 이야기가 깃들어 있었다. 전쟁 중, 누군가를 죽이고 죽는 것이 흔해 빠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동료가 죽었다고 전쟁, 그 자체가 되어버린 소년병을 죽이려 한 고든 중위를 말리는 할아버지. 그는 폭력이 만연한 세상 속에서 마지막 인간성을 잃지 않기 위해 상사를 말리는, 어떻게 보면 군법에 위반되는 일을 하면서도 고든을 말린다. 그렇게 전쟁이 끝난 뒤 다시 만난 고든은 할아버지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렇게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폭력의 연쇄를 끊어냈다. 이제 남은 것은 누구인가. ‘’,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독자들.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든 정당화될 수 없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 그것은 자비와 관용일 것이다.

“아버지는 콜트 45를 손으로 쓸어보고 조용히 말했다. 아들아 네게 이 권총을 물려준다. 화가 날 때면 이 총을 생각해라. 한 번씩 총의 차가운 몸에 손을 얹고 마음을 다스려봐라. 불과 몇 초만 심호흡을 하며 화를 참으면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총보다 더 무섭고 무서운 게 분노다. 분노가 튀어나가면 쏴버린 총알처럼 되잡을 수 없다.”
(『콜트 45』 77p.)

소설의 기본은 판타지. 그렇지만 현실과 연결되지 않은 판타지는 그저 잠시의 유희일뿐이다. 현실과 판타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읽는 독자로 하여금 무언가를 깨닫고 계몽시키는 것이 소설의 근본적인 기능일 것이다.

인간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철학적이고, 깊이 고민하면 점점 회의적인 생각으로 가득 차오른다. 그럼에도 이런 질문이 조명받는 것은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이기 때문이다. ‘는 무엇이고, 왜 살아가는 것인지 평생에 걸쳐 질문하고 그 해답을 찾아다닌다.

이 단편집에선 해답을 주진 않지만 좋은 질문을 던져준다.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 ‘인간과 인간이 아닌 것을 구분 짓는 방법은 무엇인가.’와 같은 깊이 있는 질문을 던져준다. 이 질문에 답을 내리는 것은 독자마다 모두 다른 대답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문학의 순기능일 것이다.

함께의 삶에서 혼자의 삶으로 들어가 버린 지금. 자신이 무엇인지 고민이 많은 이 지금. 콜트 45와 함께 고민해 보는 것은 어떠한가.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2379503

 

콜트 45

<작화증 사내>로 2013년 부산작가상, <토스쿠>로 아르코창작기금을 수상한 정광모 작가의 소설집. 상상력을 자극하는 독특한 소재와 특유의 냉철한 시각으로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해온 저자는,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