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마신 모과차 한잔
모과차는 작년에 직접 담근 것입니다.
담고 보니 유리병으로 4~5병이나 나왔습니다.
집에서 먹기엔 너무 많아 여기저기 선물하고
출판사에도 한병 갖다 놓았는데 별로 인기가 없네요.
커피는 잘 나가는데 말이죠^^
모과차를 담궈보기 전엔 모과가 이렇게 딱딱한 열매인 줄 몰랐습니다.
차를 담그려면 잘게 채를 썰어야 하는데 잘 안 썰어져 씩씩거리면서 칼질하던 기억이 납니다. 돌덩이를 써는 느낌이었습니다. 평소 하던 대로 사다 먹을걸! 마구 후회가 되더군요.
하지만 사먹는 것과는 조금 다른 맛입니다.
모과의 새콤한 맛이 더 살아 있습니다.
모과차는 감기에도 좋다고 하네요.
어제 <1980>을 쓴 '노재열 저자와의 만남' 행사가 영광도서에서 있었는데 감기 때매 뒷풀이 자리엔 빠지고 일찍 집에 갔습니다.
감기 걸리신 분들 커피 대신 몸에 좋은 모과차 추천합니다.^^
'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 에너지 없이 살 수 있을까? 살 수 있다. (5) | 2012.01.11 |
---|---|
새해 첫 출근 (3) | 2012.01.02 |
인기 없는 모과차 (2) | 2011.11.02 |
디지털 다이어트 (1) | 2011.11.01 |
꼬지는 산적 요리할때만 쓰는 건줄 알았는데 (0) | 2011.10.09 |
캘리그라피 수업 첫날 (2) | 2011.09.09 |
모과차 담으려면 정말 모과 써는 게 큰 일이지요.
잘게 썰어도 주전자에 넣고 푹 끓여 먹으면 참 좋아요.
감기에 걸렸을 때 생강 몇 조각 넣고 함께 끓여서
수시로 드시면 감기약이 따로 필요없구요.
푹 끓인 모과차를 큰 보온병에 담아 두면 사람들이 잘 먹지 않을까요?
그냥 저 혼자 생각입니다.
페북에서 새내기와 인터뷰한 글 따라 블로그까지 왔어요.
잘 둘러보고 갑니다.
답글
모과차는 집에서도 인기가 없어 저만 먹는데,
끓여서 보온병에 담아두면 매번 끓이지 않아도 되고...
아주 좋은 방법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