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평32

우리의 유토피아는 어디에 있나요_『유토피아로 가는 네 번째 방법』 여러분들은 꿈을 많이 꾸시나요? 어떤 꿈은 너무나도 끔찍해서 다시 떠올리기도 싫은 반면, 어떤 꿈은 이어서 꾸길 간절히 바랄 만큼 황홀하기도 합니다. 내가 꿈을 꾸긴 했는데.. 하고 기억조차 제대로 나지 않는 꿈도 있지요. 그런데 꿈을 우리가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꿈속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을 원하는 만큼 즐길 수 있고, 또 이를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유토피아로 가는 네 번째 방법』은 여기서 시작합니다. 『유토피아로 가는 네 번째 방법』의 핵심소재는 깨어있는 꿈, 자각몽입니다. “꿈의 유토피아에선 뭐든 해도 되는 건가요?” 무득이 묻자 탁우는 호탕하게 웃었다. “뭘 하고 싶어?” 무득은 자신이 뭘 원하는지를 떠올려보았다. 하늘을 날고 싶은 바람과 언젠가 장난처럼 범죄자를 .. 2022. 7. 12.
나의 뿌리는 어디에 있는가 - 에바 틴드 <뿌리> 서평 『뿌리』는 한국계 덴마크 소설가 에바 틴드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에바 틴드는 한국의 부산에서 태어나 1살에 덴마크로 입양되었고, 20년 후 그녀는 자신을 낳아준 부모를 찾아 홀로 한국으로 향한다. 그러나 지구 반 바퀴를 돌아 도착한 한국은 너무나도 낯선 나라였다. 한국어 이름은 잃어버린 지 오래였고, 한국어는 한마디도 할 수 없었다. 나의 혈통적 기원은 깊은 심연 속으로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 때문에, 나의 존재적 근원은 무작위로 이름을 붙여도 상관없을 정도였다. 에바 틴드는 이후 작품을 통해 기원의 개념을 탐구하고, 각 사람이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 파고들어간다. 우리는 흔히 자신의 본성 혹은 근원을 이야기할 때 나의 ‘뿌리’라고 이야기하곤 한다. 이때 대개 사람들이 .. 2022. 7. 7.
대화 잘 하는 법_ 『할머니 이야기를 들려주세요:인터뷰 글쓰기 잘하는 법』 유튜브와 각종 OTT프로그램이 판을 치는 이 시대, 덕분에 밥친구가 늘었다. 수많은 밥친구를 만났다 헤어졌지만 여전히 내 곁에서 롱런중인 것은 '문명특급'이다. 문명특급의 컨텐츠는 다양하지만 그중 인터뷰를 가장 좋아한다. 주로 연예인을 인터뷰하는데, 브라운관에 비춰지는 모습으로는 알기 힘든 속내나 무대 아래의 그 사람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그리고 누구를 만나든 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끌어내는 MC 재재에게 감탄하곤 했다. 이 책의 제목 '인터뷰 글쓰기 잘하는 법'을 보고 책을 집어 든 것도 재재를 떠올려서다. 내가 누군가를 인터뷰할 일은 없을 듯하지만 재재의 비결을 이 책으로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할머니 이야기를 들려주세요』는 우리 주위의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기록하.. 2022. 5. 31.
잊을 수 없는, 잊어서는 안되는 이야기 『작별하지 않는다』서평 제주 4.3사건 추념일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아직 끝나지 않은 제주 4.3사건을 추모하며 김유철 작가의 『레드 아일랜드』에 이어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를 읽었습니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흰』 이후 5년 만에 출간된 한강 작가의 신작이자 제주4.3사건을 그린 장편소설입니다. 이번 서평은 줄거리 소개, 두드러지는 소재와 그 의미 그리고 제가 책을 읽으며 느낀 점 순서로 얘기하고자 합니다.   먼저 줄거리입니다. 학살에 대한 책을 쓴 후 유서 쓰는 일을 반복하던 경하는 병원으로 와달라는 인선의 문자를 받습니다. 병원으로 간 경하는 손가락이 잘려 봉합수술을 한 인선을 보게 됩니다. 인선은 경하의 꿈을 재현해 보자는 중단된 프로젝트를 홀로 진행하다 손가락이 잘리고 말았습니다. 인선은 경하에게 제주.. 2022. 4. 1.
가장 깊은 어둠 속의 밝음, 『밤의 눈』서평 국민보도연맹, 아마 많은 이들이 낯설게 느낄 이 연맹은 사회주의 이념과 관련이 있다. 해방 후 단독정부가 들어서며 과거 좌익에서 전향한 사람들을 가입시켜 만든 단체이기 때문이다. 소설 『밤의 눈』은 이 국민보도연맹의 형성부터 보도연맹을 둘러싸고 일어난 비극을 상세히 기록한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군과 경은 대한민국 국민 중 숨어있는 내부의 적, 공산주의자를 가려낸다는 명목으로, 연맹원들을 구금하고 이어 무차별적으로 학살한다. 하지만 그들이 내세운 명분과 달리 연맹원 중에는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평범한 민간인이 훨씬 많았다. 생필품을 준다는 이유로, 구장이나 읍장의 할당량을 채우기 위한 강요로, 사람들은 보도연맹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가입했다. 하지만 이들을 향한 총구는 그들의 사정 따위 헤아리지 않는다.. 2022. 3. 11.
문화일보에 <중산층은 없다> 리뷰가 게재되었습니다! '중산층'이라는 거짓 희망... 금융시장의 덫에 걸린 세상 - 중산층은 없다 | 하다스 바이스 지음, 문혜림·고민지 옮김 | 산지니 이스라엘 출신 인류학자인 저자 美·獨 등 여러 나라 사례 소개 재산 증식 위해 투자 강요 당해 이윤 챙기는건 필수적 경제활동 큰 손실 생겨도 개인 책임 돌려 스스로 착취 자본 몸집만 키워 투자자 외피 입은 현대 노동자 불안·부채·강박적 과로 시달려 “우리는 결코 중산층이었던 적이 없고, 중산층이 될 수 있다는 이데올로기만 존재한다.” 스스로 ‘중산층’이라 생각하고 있다면, 당황스러울 수 있는 단정이다. 저자의 주장을 면밀하게 들여다보기 전, ‘중산층’의 의미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사유재산을 가지고 있지만 ‘자본가’에는 끼지 않는 사람들, 경제적 수준이나 사회 문화적 수.. 2021.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