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판일기

2020년 11월, 한형석 탄생 110주년 기념 『한형석 평전』출간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 10. 31.

 사진 출처: 국제신문(https://url.kr/s1IndD)


위 사진은 부산포식당에 있는 편액입니다. ‘그냥 갈 수 없잖아라고 쓰인 저 글귀는 빼앗긴 조국을 되찾겠다는 독립운동가의 기개를 담고 있습니다. 편액은 예술구국활동으로 독립운동의 사기를 드높였던 한유한(韓悠韓)이 직접 쓴 것입니다. 한유한은 한국광복군 한형석이 항일예술작품 활동을 할 당시 일본 제국주의 감시를 피하고자 쓴 가명으로, ‘한국을 생각하며 그리워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광복군 제2지대 선전대장 시절의 한형석(1945. 6. 15.)

 사진 출처한형석 평전』, 106쪽.


한형석은 예술구국이라는 항일투쟁 노선으로 중국 관내 한인 무장 세력을 규합하고 한·중 연대 투쟁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작품성으로 주요 활동지였던 중국의 예술 발전에도 큰 영향을 줬죠.


중국 학계는 한형석의 예술작품과 활동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 출처: 중국 논문 검색 사이트 즈왕(知王, https://kns.cnki.net/kns8/defaultresult/index)


2020년은 한국독립군 창립 80주년이자, 적후방 선무활동에서 두각을 드러냈던 한형석 탄생 1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한형석의 고향이자 귀국 후 주요 문예활동지였던 부산은 한형석의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여 그가 개관한 국내 첫 아동극장(부산 부민동 소재)<자유아동극장>의 복원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산문화재단은 그의 일대기를 담은 뮤지컬 창작과 평전 출간을 기획했죠. 뮤지컬<그이름 먼구름>과 평전은 11월에 만나볼 수 있습니다.


한형석은 한국전쟁 시기 사재를 털어 <자유아동극장<색동야학원>을 개설하여 전쟁고아를 보살폈다그는 극장에서 아동극인형극그림연극을 2년 동안 500여 회 상연(11만 8천여 명 관람)하여 전쟁에 지친 사람들을 위로했다

 사진 출처: 부산 서구 블로그(http://blog.daum.net/well0/2470)


먼 타국에서 일본 제국주의에 예술로 맞섰던 한형석은 전쟁과 분단으로 상처 입은 조국을 예술로 어루만졌습니다. 11, 한형석 평전으로 예술 구국에 생을 바친 독립운동가 겸 문화예술운동가 한형석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한형석 다큐멘터리 보러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