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지니 책/인문

근대 부산은 영화의 중심지였다.

by 산지니북 2009. 4. 30.

부산국제영화제가 10여 년 동안 성공을 거두면서 부산 하면 영화, 영화 하면 부산을 떠올릴 정도가 되었는데,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사실 부산은 초기 영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던 시절부터 영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부산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극장문화가 시작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22개의 극장이 존재했을 정도로 극장문화가 꽃핀 곳이었다. 일본식민지로부터 광복을 맞기까지 부산의 극장문화는 대중문화를 이끈 하나의 축이라 할 수 있었다. 우리 영화 역사상 처음으로 주식회사 형태의 규모를 갖추고 자본금 75,000원, 불입금 18,750원을 출자하여 1924년 7월 11일 설립된 조선키네마주식회사가 설립된 곳도 부산이었다.



<해관장 관사와 마주하는 위치의 러시아 영사관 건물을 임대 사용한 조선키네마(주)의 주변 모습>

1910년대에 벌써 본격적인 상설관이 영업을 시작하였는데, 그중 보래관, 행관, 상생관은 삼두체제를 이루면서 극장문화를 선도해나갔다. 보래관은 천연색활동사진주식회사, 행관은 하야카와(早川) 연예부, 상생관은 일본활동사진주식회사 특약점으로 각각 일본 배급사와 맺은 계약을 앞세우고 흥행우위권 다툼이 치열하였다. 활동사진 상설관시대 2년차에 접어든 1915년 영화관 흥행실적은 엄청났다. 부산좌, 질자좌, 변천좌, 동양좌에서 이루어진 가부키(歌舞伎) 공연이 115일 동안 24,721명, 신파극이 113일 간에 25,360명, 나니와부시〔浪花郞, 사미센(三味線)의 반주로 곡조를 붙여 부르는 일본 고유의 창(昌)〕가 226일 동안에 21,005명을 동원하였다. 욱관, 보래관 그리고 연말에 개관된 행관의 활동사진 흥행은 661일 상영에 180,903명이 관람하여 활동사진은 호황을 누린 반면 기존의 공연물들은 활동사진에 밀리는 현상을 보였다. 1916년에는 더욱 심한 격차를 보여 공연물은 1,143일 동안 총 115,727명이 입장하였다.

                                <1910년대 부산 영화극장의 삼두마차 보래관, 상생관, 행관>

찰리 채플린의 영화는 그 시대에도 인기가 대단하여 빠지지 않고 상영되었다. 내가 80-90년대에 대학교에서 흑백 무성영화로 보았던 <황금광시대>, <채플린의 월급날> 등이 그 시대에 벌써 상영되었다니 놀라웠다.

이 책을 편집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다.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편집하면서 새로운 사실과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지식을 넓혀가는 것은 편집자로서 또 다른 즐거움이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는 태평양 전쟁을 시작하고, 전쟁 홍보영화를 꾸준히 만들어 극장에서 상영하였다. 티브이도 라디오도 없던 시절, 전쟁뉴스를 영화로 만들어 매일 극장에서 상영한다는 것은 그 선전효과가 대단했을 것이다. 일본의 대륙침략전쟁의 전초기지가 되었던 우리나라로서는 감내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기도 했다.
제목 또한 <일장기 펄럭이다>, <국기 아래서 나는 죽는다>, <함락특보>, <입성> 등을 붙여 비장하기도 하거니와 일본의 승전보를 실시간 알리는 식의 상투적인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내용을 다룬 『부산근대영화사-영화상영자료(1915∼1944)』는 1915년부터 1944년까지 부산의 13개 영화관에서 상영된 영화 14,697편의 방대한 목록을 수록함으로써 근대 부산의 영화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한국영화자료연구원 홍영철 원장이 쓰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가 엮은 이 책은 마이크로필름화된 당시의 일간신문에서 일일이 상영자료를 찾아내는 지난한 작업을 통해 목록화한 것으로, 근 30년 동안 부산에서 상영된 총 영화상영자료를 수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가 처음 전해진 극장 태동기에서부터 조선키네마주식회사가 부산에 설립되기까지의 과정 등 부산영화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영화사의 오류까지 정확하게 짚어내고 있다. 이 책은 한국영화사에서 부산이 차지했던 비중이 대단히 컸음을 드러내고 부산영화사의 가치를 제대로 자리매김한 성과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 근대 영화사 - 10점
홍영철 지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산지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