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출판 진흥을 위한 6대 정책 제안] - ② 초,중,고 '독서' 과목 신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19.

[출판 진흥을 위한 6대 정책 제안]

 - 초, 중, 고 '독서' 과목 신설 -

 

 

 

 

 

대선 정책 제안 자료집.pdf

 

독서 활동은영상매체 이용과 달리 행위자의 능동적 개입과 독서 능력을 전제로 한다. 초, 중, 고등학교 교과목에 '독서'를 신설하여 다양한 독서 체험을 쌓고, 신생아부터 어르신까지 가정, 학교, 직장, 도서관, 공중시설 등에서 손쉽게 책을 벗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을 마련함으로써 독서습관이 몸에 밴 '생애의 독자'를 늘려야 한다.

 

 

 

●필요성

 

▶ 암기와 사지선다형 시험 위주의 재래식 교육과정으로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어려움. 창의력과 융합적 상상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독서를 개인의 선택적 활동이 아닌 정규 공교육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미래 세대를 교육해야 함. 현재 학교 독서는 '국어' 교과의 하위 개념으로 취급되고 있으나 독립적인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다양한 분야의 책 읽기와 독서 관련 활동을 수행하도록 교육과정의 개정 필요

 

 ▶ 어릴 때부터 독서습관이 몸에 밴 '생애의 독자'를 육성, 지원하는 환경 조성 및 생애주기별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국민 독서율을 제고하고, 책을 읽지 않는 '비독자'를 '독자'로 전환하는 독서 계기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

 

 

●현황과 문제점

 

▶ 학교 교육과정에서 '독서' 시간이 없고, 교과 연계형 독서 활동 또한 부족함. 초, 중, 고 학생의 독서 활동은 주로 독후감 쓰기나 독서관 이용법 관련 교육 등으로 독서에 흥미를 갖기 어려움

 

-학교에서 독서 지도가 전혀 없는 경우도 중학생 7.6%, 고등학생 11.3% 정도.

 
 ▶ 성인 독서율이 1994년 86.8%에서 2015년 65.3%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임.<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 등 정부 주도의 독서진흥 사업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나 일회성 행사 위주이며 독서율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성 높은 독서정책을 찾기 어려움. 생애주기별 맞춤형 독서활동도 실제 추진  실적은 매우 미진함

 

 

 

 ● 정책 방안

 

① 초, 중, 고에 '독서' 교과목 신설

 

가. 초, 중, 고 정규 교육과정에 '독서' 과목을 신설하여 다양한 읽기 자료 및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독서 관련 체험 활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생애의 독자'양성

 

- '독서' 과목은 전통적인 국어 교과의 읽기 자료에 해당하는 보조적 개념이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하고 창의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종합적인 문해력, 지식, 정보 탐색 능력, 자기 표현력을 함양하고, 읽기-쓰기 연계 활동, 독서 자료의 검 및 독서법, 독서관 및 서점 활용 지식을 알려주는 등 모든 교과목의 기초 교과로 역할을 해야 함.

- 교육부와 문화부 합동으로 '독서' 교과목 신설을 휘한 연구용역 시행 및 추진 방안 마련.

- 초, 중, 고교별 시범학교 선정, 시행 및 성과를 토대로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

 

② 국민의 생애주기별 독서 프로그램 확대 시행

 

나. 영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국민이 생애주기별로 책을 접하고 독서가 생활화될 수 있도록 민간의 북스타드(Bookstart)활동 지원, 독서동아리(학교, 직장, 도서관, 서점, 온라인 등)활성화 지원, 책 일근 시간(학교 아침독서, 직장 10분 독서), 찾아가는 문예, 인문학 강좌, 큰 활자 출판 및 보급 지원, 장애인 독서활동 지원, '책 읽는 도시' 지자체 확대 방안 등 마련. [각 사업별 전국 단위 지원계획 수립]

 

-영국 등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비독자'를 '독자'로 전환하는 프로그램 확산.

 

 

③ 대중매체의 독서정보 제공 및 독서 공익광고 집행

 

다. 국민에게 영향력이 큰 방송 등 대중매체에서 독서 관련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 이상 편성하도록 방송법 시행령 개정

- 전체 방송 시간의 1% 이상을 독서 프로그램에 할애하도록 의무화.

- 독서 공익광고를 위한 민관 추진체 구성 및 매체별 시행방안 마련.

 

 

 ● 기대효과

 

▶학교에서의 '독서' 수업 및 독서 활동에 의한 어린이, 청소년의 독서 관심도 제고

▶독서 생활화 기반 조성을 통한 독서인구 저변 확대

▶독서 활동의 활성화에 의한 출판시장 확대 기반 구축

 

 

댓글